종합편성채널: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한국일보 기사 추가)
10번째 줄: 10번째 줄:


== 종합편성채널의 탄생 과정 ==
== 종합편성채널의 탄생 과정 ==
[[추가바람]]


== 종합편성채널의 탄생 이후 ==
== 종합편성채널의 탄생 이후 ==
종편 탄생 전의 뜨거운 찬반논란을 비웃기나 하듯이 개국 첫 해에 시청률 평균 1%도 넘기지 못했다. 오죽하면 종편은 시청률을 퍼센트(%)가 아닌 퍼밀(‰)로 표시해야 된다는 드립도 나왔다.
종편 탄생 전의 뜨거운 찬반논란을 비웃기나 하듯이 개국 첫 해에 시청률 평균 1%도 넘기지 못했다. 오죽하면 종편은 시청률을 퍼센트(%)가 아닌 퍼밀(‰)로 표시해야 된다는 드립도 나왔다.
* [[한국일보]]의 "막오른 미디어 전쟁 - 종편 그 후" 기획
** [http://www.hankookilbo.com/v/0c7121ab57394fdb886fe17463308539 <1> 특혜 퍼주기 논란]
** [http://www.hankookilbo.com/v/bc41c60c9ab34cf588d512ef243fb6a6 <2> 콘텐츠 빈곤의 악순환]
** [http://www.hankookilbo.com/v/9dd522d229ae49e9be258ee0e58b6c06  <3> 여론 독과점 심화]
** [http://www.hankookilbo.com/v/7423d9716b76497c84e950aea25de03a <끝> 블러드 오션 광고시장]
== 같이보기 ==
* [[JTBC]]
* [[MBN]]
* [[채널A]]
* [[TV조선]]


{{각주}}
{{각주}}


[[분류:종합편성채널]]
[[분류:종합편성채널]]

2015년 5월 14일 (목) 11:47 판

틀:넘겨주기 있음

개요

종합편성채널은 2009년 7월 22일 개정된 방송법개정안(속칭 미디어 관련법)에서 새로 추가된 방송형태로써, 보도, 교양, 오락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한 채널에 편성할 수 있는 케이블 TV 채널을 뜻한다. 흔히 약칭으로 종편이라 부른다.

현재 총 4개 방송사가 있으며, 각각 매일경제신문이 출자한 MBN, 동아일보가 출자한 채널A, 조선일보가 출자한 TV조선, 중앙일보가 출자한 JTBC이다.

통합방송법 개정당시 보도전문채널로 연합뉴스TV가 종합편성채널과 같이 개국하였으나, 법적으로 뉴스만 방송하게 되어 있으므로[1] 종합편성채널이 아니다.

종합편성채널의 탄생 과정

추가바람

종합편성채널의 탄생 이후

종편 탄생 전의 뜨거운 찬반논란을 비웃기나 하듯이 개국 첫 해에 시청률 평균 1%도 넘기지 못했다. 오죽하면 종편은 시청률을 퍼센트(%)가 아닌 퍼밀(‰)로 표시해야 된다는 드립도 나왔다.

같이보기

각주

  1. 사실 20%는 다른 프로그램을 방송할 수 있지만, 연합뉴스TV에서는 다큐멘터리를 제외하면 뉴스나 시사 프로그램 외의 다른 프로그램은 방송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