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약 구매: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상거래을(를) 삭제함, 분류:마케팅을(를) 추가함)
3번째 줄: 3번째 줄:
상품 등을 미리 구입하고 판매를 시작하자마자 상품을 받는 일.
상품 등을 미리 구입하고 판매를 시작하자마자 상품을 받는 일.


== 게임 예약 구매 ==
== 매체별 특징 ==
=== 게임 ===
{{youtube|LxZpa4OPsU8|||center}}<br />
{{youtube|LxZpa4OPsU8|||center}}<br />
[[게임]] 출시일 이전에 미리 예약 구매를 받는 일은 흔하며, 개발·배급사들은 예약판에 온갖 한정 굿즈와 DLC 등을 끼워 높은 값을 받기도 한다. 온라인 DLC가 활성화되면서 [[얼리 엑세스]](알파~베타버전 先구매), [[시즌 패스]](DLC 패키지 先구매)같은 형태도 나타나고 있다.


경계해야할 일. [[시즌 패스]]도 참고하면 좋다.
게임이 돈값을 한다면 아무런 문제가 없다. 하지만 간혹 돈값을 하지 못하는 게임이 나오거나, 얼리 엑세스 상태로 개발중인 게임을 포기하고 잠적해버리는 등 잘쳐줘야 상도덕 해이, 심하게는 사기 수준의 행위를 벌이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인디 게임 회사 대형 게임 회사 할거없이 게임 회사들이 예약 구매를 통해 미리 돈을 받는 행동을 한다. 이때 게임 스킨, 추가 팩, 월페이퍼 등으로 미끼를 던져서 유저들이 미리 돈을 내도록 유도한다. 그러나 돈을 미리 받은 게임 회사들은 배가 불렀기 때문에 게임을 토막내 [[DLC]]로 따로 판매하거나 얼리액세스 게임의 경우에는 돈만 받고 개발을 중단, 잠적을 시도한다.
이를 피하는 것은 [[유저]]의 선택에 달린 일이므로, "내가 이 게임의 광팬이다"같은 게 아니면 숙고해보는 것이 좋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예약 구매를 하지 말고 출시 후 리뷰, 평가, 동영상 등을 보고 게임 구매 판단을 내리면 된다. 예약 구매를 할지 말지는 게이머 본인의 자유지만 이런 위험성이 있다 정도는 알아두는게 좋다.
{{각주}}
{{각주}}


[[분류:마케팅]]
[[분류:마케팅]]

2017년 7월 20일 (목) 16:22 판

개요

상품 등을 미리 구입하고 판매를 시작하자마자 상품을 받는 일.

매체별 특징

게임


게임 출시일 이전에 미리 예약 구매를 받는 일은 흔하며, 개발·배급사들은 예약판에 온갖 한정 굿즈와 DLC 등을 끼워 높은 값을 받기도 한다. 온라인 DLC가 활성화되면서 얼리 엑세스(알파~베타버전 先구매), 시즌 패스(DLC 패키지 先구매)같은 형태도 나타나고 있다.

게임이 돈값을 한다면 아무런 문제가 없다. 하지만 간혹 돈값을 하지 못하는 게임이 나오거나, 얼리 엑세스 상태로 개발중인 게임을 포기하고 잠적해버리는 등 잘쳐줘야 상도덕 해이, 심하게는 사기 수준의 행위를 벌이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를 피하는 것은 유저의 선택에 달린 일이므로, "내가 이 게임의 광팬이다"같은 게 아니면 숙고해보는 것이 좋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