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Marseillaise: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국가을(를) 추가함)
잔글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프랑스]]
{{+1|La Marseillaise}}<br />라 마르세예즈 (마르세유의 노래)
[[분류:국가]]


{{유튜브|SIxOl1EraXA}}
{{유튜브|SIxOl1EraXA}}


미레 마티유(Mireille Mathieu)[[1989년]] 부르는 마르세유의 노래
== 개요 ==
[[프랑스]]의 [[국가 (노래)|국가]]다. [[프랑스어]] 발음을 음차한 ''라 마르세예즈'', 또는 ''마르세유 행진곡''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개요==
가사는 프랑스와 오스트리아의 전쟁 시기에 지어진 것이다. 클로드 조제프 루제 드 릴 (Claude Joseph Rouget de Lisle)이 1792년 4월 작사/작곡한 것으로, 오스트리아에 선전포고를 한 프랑스 혁명 정부가 스트라스부르에 도착하고 부대를 정비하면서 군가와 비슷하게 작곡된 것이다. 그런데 왜 마르세유의 곡이냐하면, 이 곡이 마르세유 의용군에 의해 널리 퍼졌기 때문. 작사가 이런 배경을 가지고 있다 보니 내용이 꽤 직설적이다. 가만 듣고 있으면 별 것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적을 깨부수고 적의 더러운 피로 밭을 적셔라'''는 내용이다.
'''마르세유의 노래(La Marseillaise)'''는 [[프랑스]]의 [[국가 (노래)|국가(國歌)]]다. [[프랑스어]] 발음을 음차한 ''라 마르세예즈'', 또는 ''마르세유 행진곡''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1792년]] [[4월 25일]] 프랑스 혁명 당시 공병 대위 클로드 조제프 루제 드 릴이 하룻밤새 작곡했으며 당시 제목은 '라인 군을 위한 군가'(Chant de guerre pour l' armée du Rhin)였다.
일반적으로 노래로 불리는 것은 1절, 5절, 6절이며, 주로 1절이 많이 불린다. 가사 맨 앞 부분(가령 1절의 경우 Allons enfants)이 약박으로 빠르게 시작하기 때문에 잘못하다가는 타이밍을 놓치기 쉽다.


==가사==
== 가사 ==
출처: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D%94%84%EB%9E%91%EC%8A%A4%EC%9D%98_%EA%B5%AD%EA%B0%80&oldid=14740051 프랑스의 국가], 한국어 위키백과, 2015.09.01.
bis는 해당 소절을 2회 반복한다. Refrain 부는 후렴구이며, 각 2회 반복한다. 1절은 Marchez로 부르며, 그 다음부터 Marchons로 부른다.


===프랑스어 가사===
<poem>
{{^|1절}}
{| class="wikitable"
:Allons enfants de la Patrie,
|-
:Le jour de gloire est arrivé !
|1. Allons enfants de la Patrie,
:Contre nous de la tyrannie,
Le jour de gloire est arrivé!
:L'étendard sanglant est levé,(한번 더)
Contre nous de la tyrannie,
:Entendez-vous dans les campagnes
L'étendard sanglant est levé, (bis)
:Mugir ces féroces soldats ?
Entendez-vous dans les campagnes
:Ils viennent jusque dans vos bras
Mugir ces féroces soldats?
:Égorger vos fils, vos compagnes !
Ils viennent jusque dans vos bras
{{^|후렴}}
Égorger vos fils, vos compagnes!
:Aux armes, citoyens
|1. 가자, 조국의 아들딸들아,
:Formez vos bataillons
영광의 날이 다가왔다!
:Marchons, marchons !
폭군에 결연히 맞서서
:Qu'un sang impur
살육의 깃발을 올렸다 (반복)
:Abreuve nos sillons !
들리는가, 저 들판에서
:Aux armes, citoyens
짖어대는 흉악한 군인들이
:Formez vos bataillons
우리 턱 밑까지 왔다
:Marchons, marchons !
그대들 처자식의 목을 노리고
:Qu'un sang impur
|-
:Abreuve nos sillons !
|(Refrain) Aux armes, citoyens,
{{^|2절}}
Formez vos bataillons,
:Que veut cette horde d'esclaves,
(Marchez, marchez!) Marchons, marchons!
:De traîtres, de rois conjurés ?
Qu'un sang impur
:Pour qui ces ignobles entraves,
Abreuve nos sillons!
:Ces fers dès longtemps préparés ? (한번 더)
|(후렴) 무장하라, 시민들이여!
:Français, pour nous, ah ! quel outrage !
부대를 정비하라!
:Quels transports il doit exciter !
(전진! 전진!) 전진! 전진!
:C'est nous qu'on ose méditer
저 더러운 피로
:De rendre à l'antique esclavage !
우리 밭을 적시자!
{{^|3절}}
|-
:Quoi ! des cohortes étrangères
|2. Que veut cette horde d'esclaves,
:Feraient la loi dans nos foyers !
De traîtres, de rois conjurés ?
:Quoi ! ces phalanges mercenaires
Pour qui ces ignobles entraves,
:Terrasseraient nos fiers guerriers ! (한번 더)
Ces fers dès longtemps préparés ? (bis)
:Grand Dieu ! par des mains enchaînées
Français, pour nous, ah ! quel outrage !
:Nos fronts sous le joug se ploieraient
Quels transports il doit exciter !
:De vils despotes deviendraient
C'est nous qu'on ose méditer
:Les maîtres de nos destinées !
De rendre à l'antique esclavage !
{{^|4절}}
|
:Tremblez, tyrans et vous perfides
|-
:L'opprobre de tous les partis,
|3. Quoi ! des cohortes étrangères
:Tremblez ! vos projets parricides
Feraient la loi dans nos foyers !
:Vont enfin recevoir leurs prix ! (한번 더)
Quoi ! ces phalanges mercenaires
:Tout est soldat pour vous combattre,
Terrasseraient nos fiers guerriers ! (bis)
:S'ils tombent, nos jeunes héros,
Grand Dieu ! par des mains enchaînées
:La terre en produit de nouveaux,
Nos fronts sous le joug se ploieraient
:Contre vous tout prêts à se battre !
De vils despotes deviendraient
{{^|5절}}
Les maîtres de nos destinées !
:Français, en guerriers magnanimes,
|
:Portez ou retenez vos coups !
|-
:Épargnez ces tristes victimes,
|4. Tremblez, tyrans et vous perfides
:À regret s'armant contre nous. (한번 더)
L'opprobre de tous les partis,
:Mais ces despotes sanguinaires,
Tremblez ! vos projets parricides
:Mais ces complices de Bouillé,
Vont enfin recevoir leurs prix ! (bis)
:Tous ces tigres qui, sans pitié,
Tout est soldat pour vous combattre,
:Déchirent le sein de leur mère !
S'ils tombent, nos jeunes héros,
{{^|6절}}
La terre en produit de nouveaux,
:Amour sacré de la Patrie,
Contre vous tout prêts à se battre !
:Conduis, soutiens nos bras vengeurs
|
:Liberté, Liberté chérie,
|-
:Combats avec tes défenseurs ! (한번 더)
|5. Français, en guerriers magnanimes,
:Sous nos drapeaux que la victoire
Portez ou retenez vos coups !
:Accoure à tes mâles accents,
Épargnez ces tristes victimes,
:Que tes ennemis expirants
À regret s'armant contre nous. (bis)
:Voient ton triomphe et notre gloire !
Mais ces despotes sanguinaires,
{{^|7절}}
Mais ces complices de Bouillé,
:Nous entrerons dans la carrière
Tous ces tigres qui, sans pitié,
:Quand nos aînés n'y seront plus,
Déchirent le sein de leur mère !
:Nous y trouverons leur poussière
|5. 프랑스인들이여, 관용의 전사들로서
:Et la trace de leurs vertus (한번 더)
다른 이를 때리는 것을 참아라!
:Bien moins jaloux de leur survivre
불쌍한 희생자는 용서하라
:Que de partager leur cercueil,
어쩔 수 없이 싸우는 자를(반복)
:Nous aurons le sublime orgueil
허나 저 피에 굶주린 군주는 아니다
:De les venger ou de les suivre
저 부이(Bouillé)의 공모자들,
===한국어 번역===
저 호랑이들은 무자비하게
{{^|1절}}
제 어미 가슴을 물어뜯는다.
:가자, 이 땅의 아들딸들아,
|-
:영광의 날이 왔도다!
|6. Amour sacré de la Patrie,
:지성을 뒤엎는 폭압이,
Conduis, soutiens nos bras vengeurs
:피에 찌든 깃발이 있는,
Liberté, Liberté chérie,
:피에 찌든 깃발이 있는
Combats avec tes défenseurs ! (bis)
:저 들판에서 나는 병사들의
Sous nos drapeaux que la victoire
:흉악한 소리가 너는 들리는가?
Accoure à tes mâles accents,
:그들이 우리 코앞까지 왔다
Que tes ennemis expirants
:우리 자식들과 아내들의 목을 찢으러!
Voient ton triomphe et notre gloire !
{{^|후렴}}
|6. 성스러운 우리의 조국애가
:시민들아, 무기를 들고
이 복수로의 무기를 이끈다
:무리를 만들어
자유, 소중한 자유여
:나가자! 나가자!
적의 수비와 싸워나가자 (반복)
:더러운 피를
저 깃발 아래 우리는 승리한다
:밭고랑에 대자!
네 힘찬 승전가를 앞당기고
:시민들아, 무기를 들고
적들이 숨을 거두며
:무리를 만들어
너의 승리 우리의 영광 보도록!
:나가자! 나가자!
|-
:더러운 피를
|7. Nous entrerons dans la carrière
:밭고랑에 대자!
Quand nos aînés n'y seront plus,
{{^|2절}}
Nous y trouverons leur poussière
:저 노예떼가 뭘 바라서
Et la trace de leurs vertus (bis)
:매국노와 왕과 짰나?
Bien moins jaloux de leur survivre
:누가 이런 비열한 쇠사슬을,
Que de partager leur cercueil,
:이러한 긴 다리미를 준비하는가?
Nous aurons le sublime orgueil
:이러한 긴 다리미를 준비하는가?
De les venger ou de les suivre
:프랑스여, 우리에게, 아! 어떤 모욕을!
|
:어떤 감정을 자극하는가?
|}
:그것은 그들의 계획이 감히 우리에게 있다니,
</poem>
:옛날의 노예로 돌아가려면 말이다!
{{^|3절}}
:뭘까? 이 외국의 동료들이여!
:그들은 우리의 집에 법률을 만들 것이리라!
:뭘까? 이들 팔란세의 용병이여,
:우리의 자랑스러운 전사들이여, 엎드리라!
:우리의 자랑스러운 전사들이여, 엎드리라!
:어머나, 세상에! 쇠사슬에 묶여있는 손으로
:우리의 눈썹의 멍에는 밑에 잡힐 것이리!
:야비한 군주의 것이다,
:우리의 운명의 주인이 말이다!
{{^|4절}}
:폭군과 반역자를 떨게 하리!
:모든 당사자들의 치욕은,
:귀하의 약속 파리시데를 떨게 하리!
:그들에게 상을 달라고,
:그들에게 상을 달라고,
:모두가 당신과 싸우는 군인일리!
:그들이 쓰러진다면, 우리의 젊은 영웅들은,
:지구는 새로운 것을 봐라!
:죄수 팀은 싸움을 준비하라고.
{{^|5절}}
:프랑스여, 도량의 전사로,
:공격할 것인지 피할 것인지 판단하자,
:이 슬픈 희생자들을 모아서,
:행정관은 우리에 대한 무장을 갖추었도다!
:행정관은 우리에 대한 무장을 갖추었도다!
:하지만 피에 굶주린 왕이여,
:하지만 이들 공범의
:이러한 모든 호랑이를, 누가 사정없이
:그들의 어머니를 떼었느냐?
{{^|6절}}
:신성한 조국애여,
:우리의 복수심에 불타는 팔을 인도하고 떠받쳐라.
:자유, 사랑하는 자유여,
:너희의 지지자와 함께 싸워라,
:너희의 지지자와 함께 싸워라.
:우리의 깃발 아래에, 승리가
:너희의 씩씩한 노래에 맞춰 돌진하리라.
:너희의 죽어가는 적들이
:너희의 승리와 영광을 보도록.
{{^|7절}}
:우리는 구덩이를 누르고 있도다!
:우리의 선조들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때,
:우리는 그들의 먼지를 발견한다,
:그리고 그들의 미덕의 흔적을,
:그리고 그들의 미덕의 흔적을,
:그들은 생존을 위해 질투하였고,
:그들의 상자를 공유하였으며,
:우리는 숭고한 자존심을 가지고
:복수를 하거나 아니면 기다리거라!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주요 참고문서: [[위키백과:프랑스의 국가]]
*[[의용군 진행곡]] -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 행진곡 형식, 외적을 향한 투쟁심을 고취시키는 가사 등에 공통점이 있다.


{{주석}}
{{주석}}
[[분류:프랑스]]
[[분류:국가]]

2017년 7월 4일 (화) 09:38 기준 최신판

La Marseillaise
라 마르세예즈 (마르세유의 노래)

개요[편집 | 원본 편집]

프랑스국가다. 프랑스어 발음을 음차한 라 마르세예즈, 또는 마르세유 행진곡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가사는 프랑스와 오스트리아의 전쟁 시기에 지어진 것이다. 클로드 조제프 루제 드 릴 (Claude Joseph Rouget de Lisle)이 1792년 4월 작사/작곡한 것으로, 오스트리아에 선전포고를 한 프랑스 혁명 정부가 스트라스부르에 도착하고 부대를 정비하면서 군가와 비슷하게 작곡된 것이다. 그런데 왜 마르세유의 곡이냐하면, 이 곡이 마르세유 의용군에 의해 널리 퍼졌기 때문. 작사가 이런 배경을 가지고 있다 보니 내용이 꽤 직설적이다. 가만 듣고 있으면 별 것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적을 깨부수고 적의 더러운 피로 밭을 적셔라는 내용이다.

일반적으로 노래로 불리는 것은 1절, 5절, 6절이며, 주로 1절이 많이 불린다. 가사 맨 앞 부분(가령 1절의 경우 Allons enfants)이 약박으로 빠르게 시작하기 때문에 잘못하다가는 타이밍을 놓치기 쉽다.

가사[편집 | 원본 편집]

bis는 해당 소절을 2회 반복한다. Refrain 부는 후렴구이며, 각 2회 반복한다. 1절은 Marchez로 부르며, 그 다음부터 Marchons로 부른다.

1. Allons enfants de la Patrie,

Le jour de gloire est arrivé!
Contre nous de la tyrannie,
L'étendard sanglant est levé, (bis)
Entendez-vous dans les campagnes
Mugir ces féroces soldats?
Ils viennent jusque dans vos bras
Égorger vos fils, vos compagnes!

1. 가자, 조국의 아들딸들아,

영광의 날이 다가왔다!
폭군에 결연히 맞서서
살육의 깃발을 올렸다 (반복)
들리는가, 저 들판에서
짖어대는 흉악한 군인들이
우리 턱 밑까지 왔다
그대들 처자식의 목을 노리고

(Refrain) Aux armes, citoyens,

Formez vos bataillons,
(Marchez, marchez!) Marchons, marchons!
Qu'un sang impur
Abreuve nos sillons!

(후렴) 무장하라, 시민들이여!

부대를 정비하라!
(전진! 전진!) 전진! 전진!
저 더러운 피로
우리 밭을 적시자!

2. Que veut cette horde d'esclaves,

De traîtres, de rois conjurés ?
Pour qui ces ignobles entraves,
Ces fers dès longtemps préparés ? (bis)
Français, pour nous, ah ! quel outrage !
Quels transports il doit exciter !
C'est nous qu'on ose méditer
De rendre à l'antique esclavage !


3. Quoi ! des cohortes étrangères

Feraient la loi dans nos foyers !
Quoi ! ces phalanges mercenaires
Terrasseraient nos fiers guerriers ! (bis)
Grand Dieu ! par des mains enchaînées
Nos fronts sous le joug se ploieraient
De vils despotes deviendraient
Les maîtres de nos destinées !


4. Tremblez, tyrans et vous perfides

L'opprobre de tous les partis,
Tremblez ! vos projets parricides
Vont enfin recevoir leurs prix ! (bis)
Tout est soldat pour vous combattre,
S'ils tombent, nos jeunes héros,
La terre en produit de nouveaux,
Contre vous tout prêts à se battre !


5. Français, en guerriers magnanimes,

Portez ou retenez vos coups !
Épargnez ces tristes victimes,
À regret s'armant contre nous. (bis)
Mais ces despotes sanguinaires,
Mais ces complices de Bouillé,
Tous ces tigres qui, sans pitié,
Déchirent le sein de leur mère !

5. 프랑스인들이여, 관용의 전사들로서

다른 이를 때리는 것을 참아라!
불쌍한 희생자는 용서하라
어쩔 수 없이 싸우는 자를(반복)
허나 저 피에 굶주린 군주는 아니다
저 부이(Bouillé)의 공모자들,
저 호랑이들은 무자비하게
제 어미 가슴을 물어뜯는다.

6. Amour sacré de la Patrie,

Conduis, soutiens nos bras vengeurs
Liberté, Liberté chérie,
Combats avec tes défenseurs ! (bis)
Sous nos drapeaux que la victoire
Accoure à tes mâles accents,
Que tes ennemis expirants
Voient ton triomphe et notre gloire !

6. 성스러운 우리의 조국애가

이 복수로의 무기를 이끈다
자유, 소중한 자유여
적의 수비와 싸워나가자 (반복)
저 깃발 아래 우리는 승리한다
네 힘찬 승전가를 앞당기고
적들이 숨을 거두며
너의 승리 우리의 영광 보도록!

7. Nous entrerons dans la carrière

Quand nos aînés n'y seront plus,
Nous y trouverons leur poussière
Et la trace de leurs vertus (bis)
Bien moins jaloux de leur survivre
Que de partager leur cercueil,
Nous aurons le sublime orgueil
De les venger ou de les suivre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