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컬루선: 두 판 사이의 차이

38번째 줄: 38번째 줄:


== 개요 ==
== 개요 ==
[[런던 지하철]]의 노선으로, 노선색은 <span style="color: {{TfL 노선색|BK}};">'''갈색'''</span>이다. 독특하게도 일부 구간은 [[네트워크 레일]] 소유의 [[왓포드 DC 선]]<ref>[[미들랜드 본선]]의 일부로, [[런던 오버그라운드]]가 사용한다.</ref>를 경유한다. 나머지 구간은 다른 런던 지하철 노선과 마찬가지로 런던 교통국 소유 구간으로, 튜브로 대표되는 소단면적 터널 구간이다.
[[런던 지하철]]의 노선으로, 노선색은 <span style="color: {{TfL 노선색|BK}};">'''갈색'''</span>이다. 독특하게도 일부 구간은 [[네트워크 레일]] 소유의 [[왓포드 DC 선]]<ref>[[영국 서해안본선|서해안본선]](WCML)의 일부로, [[런던 오버그라운드]]가 사용한다.</ref>를 경유한다. 나머지 구간은 다른 런던 지하철 노선과 마찬가지로 런던 교통국 소유 구간으로, 튜브로 대표되는 소단면적 터널 구간이다.


런던 지하철 이용객 순위는 9번째로 꽤 낮은 편이다. 하지만 수치상으로는 연간 1.1억명 정도가 이용하고 있어 적은 수치는 아닌 편. 게다가 베이컬루 선 자체가 다른 노선보다 거리도 짧고 역 수가 적기 때문에 실제로는 꽤 준수한 편이다.
런던 지하철 이용객 순위는 9번째로 꽤 낮은 편이다. 하지만 수치상으로는 연간 1.1억명 정도가 이용하고 있어 적은 수치는 아닌 편. 게다가 베이컬루 선 자체가 다른 노선보다 거리도 짧고 역 수가 적기 때문에 실제로는 꽤 준수한 편이다.

2016년 10월 26일 (수) 02:58 판

{{{이름}}}
나라 영국 영국
종류 도시철도
영업거리 23.2 km
역 수 25
소유자 네트워크 레일 (퀸스파크 이북)
런던 교통국 (TfL) (퀸스파크 이남)
운영자 런던 교통국 (TfL)
개통일 1906년 3월 10일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2 (전 구간)

베이컬루 선
Bakerloo Line

개요

런던 지하철의 노선으로, 노선색은 갈색이다. 독특하게도 일부 구간은 네트워크 레일 소유의 왓포드 DC 선[1]를 경유한다. 나머지 구간은 다른 런던 지하철 노선과 마찬가지로 런던 교통국 소유 구간으로, 튜브로 대표되는 소단면적 터널 구간이다.

런던 지하철 이용객 순위는 9번째로 꽤 낮은 편이다. 하지만 수치상으로는 연간 1.1억명 정도가 이용하고 있어 적은 수치는 아닌 편. 게다가 베이컬루 선 자체가 다른 노선보다 거리도 짧고 역 수가 적기 때문에 실제로는 꽤 준수한 편이다.

역사

노선명은 베이커 스트리트와 워털루에서 따온 것으로, 1906년 7월부터 사용되고 있다. 태생 자체는 실패한 두 계획인 1865년 워털루 & 화이트홀 철도, 1882년 차링 크로스 & 워털루 전기철도 계획의 경로를 따르고 있다. 처음에는 베이커 스트리트 & 워털루 철도라고 불렸으며, 런던 지하전기철도 (UERL)에 의해서 건설되어 1906년 3월 10일 첫 구간인 베이커 스트리트와 램버스 노스 사이의 구간이 개통하게 된다. 이후 같은 해 8월 5일 엘리펀트 & 캐슬까지 연장되면서 지하철 구간은 전부 개통하게 된다.

운행

기본적으로 지하철 구간인 퀸스파크부터 엘리펀트 & 캐슬까지는 고빈도 운행이 이루어지며, 이외의 구간에 대해서는 내셔널 레일을 공용하기 때문에 다소 낮은 빈도로 운행된다. 스톤브릿지 파크에 차량기지가 있기 때문에 경계가 한 번 더 생긴다. 평시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

해로 &
웰드스톤
스톤브릿지
파크
퀸스파크 엘리펀트
& 캐슬
시간당 6편
시간당 3편
시간당 11편

역 목록

km 역명 접속 노선
0.0 해로 & 웰드스톤 Harrow & Wealdstone 런던 오버그라운드 왓포드 DC 선 (공용 구간 시작)
내셔널 레일 서해안본선
1.7 켄턴 Kenton
3.1 사우스 켄턴 South Kenton
4.0 노스 웸블리 역 North Wembley
5.3 웸블리 중앙역 Wembley Central 내셔널 레일 서해안본선
7.0 스톤브릿지 파크 Stonebridge Park
8.6 할즈던 Harlesden
9.6 윌즈던 정션 Wilesden Junction 런던 오버그라운드 왓포드 DC 선 · 북부 런던 선 · 서부 런던 선
11.1 켄설그린 Kensal Green
12.4 퀸즈파크 Queen's Park 런던 오버그라운드 왓포드 DC 선 (공용 구간 끝)
13.2 킬번파크 Kilburn Park
14.1 메이다베일 Maida Vale
14.9 워릭 애비뉴 Warwick Avenue
15.8 패딩턴 Paddington 순환선 · 디스트릭트 선 · 해머스미스 & 시티 선[2]
내셔널 레일 대서부본선 (GWML) · 히드로 익스프레스 (런던 패딩턴)
16.5 에지웨어 로드 Edgware Road
16.9 말리번 Marylebone 내셔널 레일 칠턴 본선 · 런던-에일즈버리 선 (런던 말리번)
17.4 베이커 스트리트 Baker Street 순환선 · 해머스미스 & 시티 선 · 메트로폴리탄 선
주빌리 선
18.3 리젠츠 파크 Regent's Park
19.2 옥스포드 서커스 Oxford Circus 빅토리아 선
센트럴 선
20.2 피카딜리 서커스 Piccadilly Circus 피카딜리 선
20.7 차링크로스 Charing Cross 노던 선 차링크로스 지선
21.1 임뱅크먼트 Embankment 순환선 · 디스트릭트 선
노던 선 차링크로스 지선
내셔널 레일 동남본선 (런던 차링크로스)
21.8 워털루 Waterloo 주빌리 선
노던 선 차링크로스 지선
워털루 & 시티 선
내셔널 레일 서남본선 (런던 워털루)
내셔널 레일 동남본선 (런던 워털루 동역)
22.4 램버스 노스 Lambeth North
23.2 엘리펀트 & 캐슬 Elephant & Castle 노던 선 뱅크 지선
내셔널 레일 템즈링크
  1. 서해안본선(WCML)의 일부로, 런던 오버그라운드가 사용한다.
  2. 디스트릭트 선(서클 선 직결 포함)은 베이컬루 선과 같은 패딩턴 역에 접한 도로인 프래드 스트리트 선상에 있는 역사를 쓰지만, 해머스미스 & 시티 선(서클 선 직결 포함)은 패딩턴 역 북부 지하의 근교역 역사부를 사용한다. 길 헤메기 딱 좋게 되어있으므로 주의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