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석리역: 두 판 사이의 차이

37번째 줄: 37번째 줄:
*2013년에 [[제천역]]부터 이 역까지 복선전철화 공사가 완료가 되면서 중간에 있던 [[장락역]]과 [[송학역]]이 폐역크리를 맞게 되었다. 선로 자체가 이설되면서 아예 역 기능 자체를 할 수 없게 되면서 완전히 폐역된 것. 참고로 복선화 되면서 여객열차의 단축된 시간은 약 8분 정도라고 한다. 실제로 제천방향 무궁화호를 타고 지나가면 이 역을 지나면서 신나게 달리기 시작한다.
*2013년에 [[제천역]]부터 이 역까지 복선전철화 공사가 완료가 되면서 중간에 있던 [[장락역]]과 [[송학역]]이 폐역크리를 맞게 되었다. 선로 자체가 이설되면서 아예 역 기능 자체를 할 수 없게 되면서 완전히 폐역된 것. 참고로 복선화 되면서 여객열차의 단축된 시간은 약 8분 정도라고 한다. 실제로 제천방향 무궁화호를 타고 지나가면 이 역을 지나면서 신나게 달리기 시작한다.
*입석리역에는 인근의 시멘트 공장인 아시아시멘트선과 현대시멘트 공장으로 들어가는 현대시멘트영월선이 있는데 아시아시멘트선의 길이는 6km, 현대시멘트영월선의 길이는 대략 8km쯤 되어서 인입선으로 보기에는 꽤 긴 길이라는 것이다. 해당 노선은 [[사설철도]]인지라 한국철도 영업거리표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아시아시멘트쪽 공장을 보면 자체 모터카까지 보유하고 [[입환]]작업을 하는 모습도 종종 보이며, 현대시멘트쪽 인입선에는 특대형 사유기관차가 자리하고 있다. 지나가다 특대형으로 생겨먹은 노란색 기관차를 보면 그 녀석인줄 알자.
*입석리역에는 인근의 시멘트 공장인 아시아시멘트선과 현대시멘트 공장으로 들어가는 현대시멘트영월선이 있는데 아시아시멘트선의 길이는 6km, 현대시멘트영월선의 길이는 대략 8km쯤 되어서 인입선으로 보기에는 꽤 긴 길이라는 것이다. 해당 노선은 [[사설철도]]인지라 한국철도 영업거리표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아시아시멘트쪽 공장을 보면 자체 모터카까지 보유하고 [[입환]]작업을 하는 모습도 종종 보이며, 현대시멘트쪽 인입선에는 특대형 사유기관차가 자리하고 있다. 지나가다 특대형으로 생겨먹은 노란색 기관차를 보면 그 녀석인줄 알자.
{{주석}}

2016년 3월 18일 (금) 14:34 판

본 틀은 {{새 철도역 정보}}로 교체중입니다. 자세한 것은 템플릿 문서를 참고하세요.
입석리역.jpg
운영주체 한국철도공사
태백선
제천 방면
제천
13.7km
4.6km
백산 방면
쌍룡

개요

충청북도 제천시 송학면 시곡리에 위치한 역으로, 여객취급은 하지 않고 화물취급만 하는 역이다. 제천역부터 이 역까지 태백선이 복선전철화 되어있으며, 이후 구간부터 본격적인 단선의 산악철도가 시작된다. 주변 시멘트 공장이 2개나 되는지라 이 물량을 처리하기 위한 내부 구내선로가 무려 16개에 달하는 역 규모 대비 상당히 많은 구내선로를 보유하고 있는 역이다.

기타사항

  • 2013년에 제천역부터 이 역까지 복선전철화 공사가 완료가 되면서 중간에 있던 장락역송학역이 폐역크리를 맞게 되었다. 선로 자체가 이설되면서 아예 역 기능 자체를 할 수 없게 되면서 완전히 폐역된 것. 참고로 복선화 되면서 여객열차의 단축된 시간은 약 8분 정도라고 한다. 실제로 제천방향 무궁화호를 타고 지나가면 이 역을 지나면서 신나게 달리기 시작한다.
  • 입석리역에는 인근의 시멘트 공장인 아시아시멘트선과 현대시멘트 공장으로 들어가는 현대시멘트영월선이 있는데 아시아시멘트선의 길이는 6km, 현대시멘트영월선의 길이는 대략 8km쯤 되어서 인입선으로 보기에는 꽤 긴 길이라는 것이다. 해당 노선은 사설철도인지라 한국철도 영업거리표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아시아시멘트쪽 공장을 보면 자체 모터카까지 보유하고 입환작업을 하는 모습도 종종 보이며, 현대시멘트쪽 인입선에는 특대형 사유기관차가 자리하고 있다. 지나가다 특대형으로 생겨먹은 노란색 기관차를 보면 그 녀석인줄 알자.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