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 리그: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고있" 문자열을 "고 있" 문자열로)
(내용 보충)
1번째 줄: 1번째 줄:
KBO 리그
KBO 리그
KBO League
KBO League


== 개요 ==
== 개요 ==
KBO 리그는 [[KBO]]에서 주관하는 프로야구선수권대회이다. 본래는 한국프로야구로 통칭했으나 2015년 정식으로 KBO 리그로 명칭을 확정하였다. 2015년 기준으로 10개의 프로야구팀이 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KBO 리그는 [[KBO]]에서 주관하는 프로야구 대회를 말한다. 1982년 출범이래 한국야구선수권대회라는 공식명칭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2015년부터 한국야구위원회(현 KBO 사무국)에서 한국야구리그 브랜드 통합을 이유로 KBO 리그라는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역사 ==
== 역사 ==
1960년대 부터 불어닥친 고교야구의 인기를 발판삼아 프로야구가 열려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1970년대에는 한차례 재미사업가 홍윤회가 프로야구 창설위원회를 조직하고 20만달러의 창설자금을 준비하는 등 움직임이 있었으나 무산되었다. 그후 전두환 정권의 [[3S 정책]]에 의해 프로스포츠 창설이 주도되었고, 야구계는 이 틈을 놓치지 않고 대기업들을 설득해 1982년 한국야구선수권 대회가 창단되었다.
이후 1987년에 대전·충청도를 연고지로 삼은 [[빙그레 이글스]]가 합류하며 7개 구단 시대가 열렸으며 1990년에는 전주·전라북도를 연고지로 하는 [[쌍방울 레이더스]]가 합류하며 8개구단 시대가 열렸다. 1995년에 프로야구의 인기가 절정을 이루었고 이 기세는 1999년까지 이어졌다.
한국야구위원회에서는 1999년부터 양대리그 체제를 도입, 야구 붐을 이어가려 했으나 대 실패로 끝나며 2001년부터 단일리그로 회귀했다. 2002년에는 월드컵의 인기와 [[롯데 자이언츠]]의 철저한 실패로 인해 프로야구 역대 최저관중을 기록하기도 했으며 2003년 이승엽의 홈런 신기록이 온 언론의 관심을 받기도 했지만 삼성 경기를 제외하면 철저하게 외면당하는 소위 프로야구의 암흑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현대 유니콘 연고이전을 감행했다 실패하며 실력이 좋았음에도 인기가 없었으며 결국 해체되는 비운을 겪기도 했다.
그러다 2006년 WBC에서 4강을 진출하며 야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프로야구의 관중수가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 [[제리 로이스터]]를 앞세운 [[롯데 자이언츠]]의 돌풍으로 프로야구 제2의 전성기가 시작되었으며 2012년에는 700만 관중 시대를 돌파했다. 이러한 인기를 바탕으로 2012년에 [[NC 다이노스]]가 창단되었으며 2013년에는 [[kt 위즈]]가 창단되며 사상첫 10개구단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 참가팀 ==
=== 현재 참가팀 ===
|| [[KIA 타이거즈]] || 광주광역시 ||
|| [[NC 다이노스]] || 창원시 ||
|| [[SK 와이번스]] || 인천광역시 ||
|| [[LG 트윈스]] || 서울특별시 ||
|| [[kt 위즈]] || 수원시 ||
|| [[넥센 히어로즈]] || 서울특별시 ||
|| [[두산 베어스]] || 서울특별시 ||
|| [[롯데 자이언츠]] || 부산광역시 ||
|| [[삼성 라이온즈]] || 대구광역시 ||
|| [[한화 이글스]] || 대전광역시 ||
=== 해체된 팀 ===
|| [[현대 유니콘스]] || ~~인천광역시~~, 수원시 ||
|| [[쌍방울 레이더스]] || 전주시 ||
== 역대 리그 ==
== 역대 리그 ==


[[분류:야구]]
[[분류:야구]]

2015년 4월 26일 (일) 21:17 판

KBO 리그

KBO League

개요

KBO 리그는 KBO에서 주관하는 프로야구 대회를 말한다. 1982년 출범이래 한국야구선수권대회라는 공식명칭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2015년부터 한국야구위원회(현 KBO 사무국)에서 한국야구리그 브랜드 통합을 이유로 KBO 리그라는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역사

1960년대 부터 불어닥친 고교야구의 인기를 발판삼아 프로야구가 열려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1970년대에는 한차례 재미사업가 홍윤회가 프로야구 창설위원회를 조직하고 20만달러의 창설자금을 준비하는 등 움직임이 있었으나 무산되었다. 그후 전두환 정권의 3S 정책에 의해 프로스포츠 창설이 주도되었고, 야구계는 이 틈을 놓치지 않고 대기업들을 설득해 1982년 한국야구선수권 대회가 창단되었다.

이후 1987년에 대전·충청도를 연고지로 삼은 빙그레 이글스가 합류하며 7개 구단 시대가 열렸으며 1990년에는 전주·전라북도를 연고지로 하는 쌍방울 레이더스가 합류하며 8개구단 시대가 열렸다. 1995년에 프로야구의 인기가 절정을 이루었고 이 기세는 1999년까지 이어졌다.

한국야구위원회에서는 1999년부터 양대리그 체제를 도입, 야구 붐을 이어가려 했으나 대 실패로 끝나며 2001년부터 단일리그로 회귀했다. 2002년에는 월드컵의 인기와 롯데 자이언츠의 철저한 실패로 인해 프로야구 역대 최저관중을 기록하기도 했으며 2003년 이승엽의 홈런 신기록이 온 언론의 관심을 받기도 했지만 삼성 경기를 제외하면 철저하게 외면당하는 소위 프로야구의 암흑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현대 유니콘 연고이전을 감행했다 실패하며 실력이 좋았음에도 인기가 없었으며 결국 해체되는 비운을 겪기도 했다.

그러다 2006년 WBC에서 4강을 진출하며 야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프로야구의 관중수가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 제리 로이스터를 앞세운 롯데 자이언츠의 돌풍으로 프로야구 제2의 전성기가 시작되었으며 2012년에는 700만 관중 시대를 돌파했다. 이러한 인기를 바탕으로 2012년에 NC 다이노스가 창단되었으며 2013년에는 kt 위즈가 창단되며 사상첫 10개구단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참가팀

현재 참가팀

|| KIA 타이거즈 || 광주광역시 || || NC 다이노스 || 창원시 || || SK 와이번스 || 인천광역시 || || LG 트윈스 || 서울특별시 || || kt 위즈 || 수원시 || || 넥센 히어로즈 || 서울특별시 || || 두산 베어스 || 서울특별시 || || 롯데 자이언츠 || 부산광역시 || || 삼성 라이온즈 || 대구광역시 || || 한화 이글스 || 대전광역시 ||

해체된 팀

|| 현대 유니콘스 || ~~인천광역시~~, 수원시 || || 쌍방울 레이더스 || 전주시 ||

역대 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