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리브레 한자사전/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onlyinclude>{{한자 정보/국자|음역자
{{한자 정보
|한자 = 乭
|한자 = 乭
|뜻 = 음역자
|뜻 소리 = 음역자 []
|소리 =
|획수 = 6
|획수 = 6
|부수 = 乙
|부수 = 乙
}}</onlyinclude>
}}


石(돌 석)의 뜻('''돌''')과 乙(새 을)의 음('''ㄹ''')을 합쳐 乭(돌)이라는 음역자를 만들었다.
石(돌 석)의 뜻('''돌''')과 乙(새 을)의 음('''ㄹ''')을 합쳐 乭(돌)이라는 음역자를 만들었다. 노비 이름을 표기하기 위해서 사용했다. 한글이 탄생한 이후에도 사용했다.


== 한자 유래/서체 ==
{{한자 서체}}
{{한자 서체}}


== 용례 ==
== 용례 ==
* 도루묵(乭[[五]][[目]]/돌오목)
=== 인명 ===
=== 인명 ===
* [[이세돌]](李世乭)
* [[이세돌]](李世乭)
* 노비명에도 쓰였다.
* 노비명에도 쓰였다.
*: 介乭(개돌)
*: 개돌(介乭), 갑돌(甲乭), 소돌이(小乭伊) 등등
*: 이름에 붙던 '돌'은 신라시대에 인명에 자주 사용된 접미사 도리<sup>?</sup>(都利)가 어원이다.<ref>{{서적 인용|제목 = 韓國固有漢字硏究|저자 = 김종훈|출판사 = 도서출판보고사|쪽 = 145}}</ref>


=== 지명 ===
=== 지명 ===
* 曲乭(곡돌): 강원도(江原道) 회양군(淮陽郡)<ref name="5도위원회">이북5도위원회 기준</ref>
* 曲乭(곡돌): 강원도(江原道) 회양군(淮陽郡)<ref name="5도위원회">[[이북5도 위원회]] 기준</ref>
* 大乭(대돌): 함경남도(咸鏡南道) 북청군(北靑郡)<ref name="5도위원회"/>
* 大乭/上乭(대돌/상돌): 함경남도(咸鏡南道) 북청군(北靑郡)<ref name="5도위원회"/>

2024년 5월 11일 (토) 19:45 기준 최신판

음역자 [돌]

정자[韓/臺]
신자체 [日]
간체자 [中]
CJK Unified Ideographs
U+4E6D
부 6획
뜻과 소리 음역자 [돌]
CJK Unified Ideographs
U+4E6D
부 6획
뜻과 소리 음역자 [돌]
CJK Unified Ideographs
U+4E6D
부 6획
뜻과 소리 음역자 [돌]

石(돌 석)의 뜻()과 乙(새 을)의 음()을 합쳐 乭(돌)이라는 음역자를 만들었다. 노비 이름을 표기하기 위해서 사용했다. 한글이 탄생한 이후에도 사용했다.

한자 유래/서체[편집 | 원본 편집]

용례[편집 | 원본 편집]

  • 도루묵(乭/돌오목)

인명[편집 | 원본 편집]

  • 이세돌(李世乭)
  • 노비명에도 쓰였다.
    개돌(介乭), 갑돌(甲乭), 소돌이(小乭伊) 등등
    이름에 붙던 '돌'은 신라시대에 인명에 자주 사용된 접미사 도리?(都利)가 어원이다.[1]

지명[편집 | 원본 편집]

  • 曲乭(곡돌): 강원도(江原道) 회양군(淮陽郡)[2]
  • 大乭/上乭(대돌/상돌): 함경남도(咸鏡南道) 북청군(北靑郡)[2]
  1. 김종훈. 《韓國固有漢字硏究》. 도서출판보고사, 145쪽
  2. 2.0 2.1 이북5도 위원회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