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리브레 한자사전/産: 두 판 사이의 차이

(훈음 교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간체자 =产
|간체자 =产
|정체자 =產
|정체자 =產
|뜻 = 낳을
|뜻 소리 = 낳다 []
|소리 = 산
|획수 =11
|획수 =11
|신자체 획수 =
|신자체 획수 =
22번째 줄: 21번째 줄:
|급수=준5급
|급수=준5급
}}</onlyinclude>
}}</onlyinclude>
~를 낳다의 뜻을 가진 한자. 2017년 이후의 교과서에서는 정자(<big>[[產]]</big>)로 쓰도록 하고 있고 어문회에서는 정자가 아닌 속자(<big>産</big>)를 쓰도록 하고 있다. 대만에서는 정자 '<big>產</big>'을 표준자형으로 하고 있고 중국은 아래 날 생 '<big>生</big>'자를 뗀 <big>产</big>의 형태로 통한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파자|文|厂|生}}(產) -> 産
| {{크기|++++|産}}<br/>어문회 자형 || {{크기|++++|產}}<br/>대한민국 교육용 한자
 
|}
~를 낳다의 뜻을 가진 한자. 2017년 이후의 교과서에서는 정자(<big>[[產]]</big>)로 쓰도록 하고 있고 어문회<ref>한자능력 검정 시험 주관사</ref>에서는 정자가 아닌 속자(<big>産</big>)를 쓰도록 하고 있다. 대만에서는 정자 '<big>產</big>'을 표준자형으로 하고 있고 중국은 아래 날 생 '<big>生</big>'자를 뗀 <big>产</big>의 형태로 통한다.
{{한자 서체|간체자=产}}
 
* {{크기|++++|産}}: {{배지|한국어문회}}, {{배지|대법원인명용}}
* {{크기|++++|[[]]}}: {{배지|중학용}}, {{배지|대법원인명용}}(추가)
 
== 한자 유래/서체 ==
{{한자 서체
|産-칸테이류.svg|칸테이류
|産-명조.svg|명조
|産-명조-베트남.svg|명조<br/><small>(베트남)</small>
|产-명조.svg|명조<br/><small>([[간체자]])</small>
|간체자=产}}
{{-}}
{{-}}
== 產 ==
{{본문|產}}


== 용례 ==
== 용례 ==
36번째 줄: 42번째 줄:
* [[자산]](資産)
* [[자산]](資産)
* [[재산]](財産)
* [[재산]](財産)
* [[산모]](産母)
* [[산모]](産[[母]])
* [[산부인과]](産婦人科)
* [[산부인과]](産婦[[人]]科)
* [[조산]](早産)
* [[조산]]([[早]]産)
* [[산물]](産物)
* [[산업]](産[[業]])
* [[적산가옥]](敵産家屋)<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1935 한국민족대백과사전]</ref>
* [[산물]](産[[物]])
* [[적산가옥]](敵産[[家]][[屋]])<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1935 한국민족대백과사전]</ref>


=== 한자성어 ===
=== 한자성어 ===
<!--* [[동가홍상]](同價紅裳)-->
* [[항산항심]](恒<sub>1</sub>産<sub>2</sub>恒<sub>3</sub>心<sub>4</sub>) {{배지|맹자(孟子)}}
*: 일정한 생산이 있으면 마음이 변하지 않는다.
* [[무항산무항심]](無<sub>3</sub>恒<sub>1</sub>産<sub>2</sub>無<sub>6</sub>恒<sub>4</sub>心<sub>5</sub>) {{배지|맹자(孟子)}}
* [[미유와구이산신규]](未有窪溝|而|産神虯) {{배지|속담}}
*: 개천에는 없다|而|용이 날리가 -> 개천에서 용날까: 미천한 집안에서 훌륭한 인물이 날 수 없다는 속담.
{{각주}}
{{각주}}

2024년 5월 10일 (금) 02:23 기준 최신판

낳다 [산]

정자[韓/臺]
신자체 [日]
간체자 [中]



CJK Unified Ideographs
U+7523
부 11획
뜻과 소리 낳다 [산]
중고한어ʃˠɛnX
어문회 급수준5급
정체자
CJK Unified Ideographs
U+7523
부 11획
뜻과 소리 낳다 [산]
훈독(訓読)う-まれる、う-む
음독(音読)
오음(呉音)セン
한음(漢音)サン
CJK Unified Ideographs
U+4EA7
부 6획
뜻과 소리 낳다 [산]
병음chǎn
쓰는 순서

파자: (產) -> 産

~를 낳다의 뜻을 가진 한자. 2017년 이후의 교과서에서는 정자()로 쓰도록 하고 있고 어문회[1]에서는 정자가 아닌 속자()를 쓰도록 하고 있다. 대만에서는 정자 ''을 표준자형으로 하고 있고 중국은 아래 날 생 ''자를 뗀 의 형태로 통한다.

  • : 한국어문회, 대법원인명용
  • : 중학용, 대법원인명용(추가)

한자 유래/서체[편집 | 원본 편집]

産-칸테이류.svg
칸테이류
産-명조.svg
명조
産-명조-베트남.svg
명조
(베트남)
产-명조.svg
명조
(간체자)




용례[편집 | 원본 편집]

한자성어[편집 | 원본 편집]

  • 항산항심(恒1234) 맹자(孟子)
    일정한 생산이 있으면 마음이 변하지 않는다.
  • 무항산무항심(無312645) 맹자(孟子)
  • 미유와구이산신규(未有窪溝|而|産神虯) 속담
    개천에는 없다|而|용이 날리가 -> 개천에서 용날까: 미천한 집안에서 훌륭한 인물이 날 수 없다는 속담.

각주

  1. 한자능력 검정 시험 주관사
  2. 한국민족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