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 (지리):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방위(方位, {{영어=|cardinal directions, cardinal points}})는 지구를 기준으로 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방위(方位, {{영어=|cardinal directions, cardinal points}})는 지구를 기준으로 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더 정확히는 자오선의 위와 아래를 각각 북(N)과 남(S)로 하고 왼쪽과 오른쪽을 각각 서(W)와 동(E)으로 한다.
더 정확히는 적도의 위와 아래를 각각 북(N)과 남(S)로 하고 자오선의 왼쪽과 오른쪽을 각각 서(W)와 동(E)으로 한다.


; 4방위
; 4방위
37번째 줄: 37번째 줄:
방위로 행정구역/지명을 작명한 사례는 매우 많은 편이다.
방위로 행정구역/지명을 작명한 사례는 매우 많은 편이다.


=== 문제점 ===
대표적으로 동구, 서면처럼 단순히 방위로 이름을 짓는 형태가 있다. 그리고 성동구처럼 [[도성]](都城)을 기준으로 하여 방위를 붙인 지명이 있고 강동구처럼 강(江)을 기준으로 방위를 붙인 지명이 있다.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을 거치면서 방위나 숫자로 이름을 지어 고유의 지명이 사라지거나 사회 역사의 특성을 담지 못하는 행정구역명이 여럿 있다.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직할시/광역시 설치 때에도 방위로 [[]]이름을 짓기도 했다. 다만 역사적으로도, 세계적으로도 방위를 기준으로 행정구역명을 지은 사례는 많았다.


{{인용문2|중구, 남구, 동구, 북구 등 구의 지명은 기초단체의 역사적, 사회적 특성을 담지 못하는 의미없는 지명이다.|{{뉴스 인용|제목 = 기초단체 방위 지명 다시 논의돼야 한다|형식 = 사설|url=http://m.iusm.co.kr/news/ampArticleView.html?idxno=837887|뉴스= 울산매일}}}}
한국의 [[면 (행정구역)|면]] 행정구역 단위는 그 자체로 방면이라는 의미도 담고 있고 방위가 지명에 담긴 경우가 꽤 많다. 외동면(外東面), 내동면(內東面)이 그 예이다.


=== 동 ===
=== 동 ===
* [[동구]]
* 방위
* [[성동구]]
** [[동구]](東區)
* [[강동구]]
** [[동경]](東京)
* [[동경]]
*** 일본 [[도쿄]]
** 일본 [[도쿄]]
** [[동면]](東面)
* [[동면]]
** [[우부면]]
* 명사 + 방위
** [[성동구]](城東區)
** [[강동구]](江東區)
** [[강동동]]: [[부산]] [[강동동]]
** [[강동군]]: [[평양직할시]] [[강동군]]
* 관형사 + 방위
** [[외동면]](外東面)
** [[내동면]](內東面)
** [[중동면]]


=== 서 ===
=== 서 ===
* [[서구]]
* 방위
* [[성서구]](城西區/대한민국에 없음)
** [[서구]](西區)
** 중국 [[칭하이성]] [[시닝시]] 청시구
** [[서경]](西京)
* [[강서구]]
** [[서면 (동음이의)|서면]](西面)
* [[서경]]
** [[좌부면]]
* [[서면 (동음이의)|서면]]
* 명사 + 방위
** [[성서구]](城西區/대한민국에 없음)
*** 중국 [[칭하이성]] [[시닝시]] 청시구
** [[강서구]](江西區)
* 관형사 + 방위
** [[외서면]](外西面)
** [[내서면]](內西面)
** [[중서면]]


=== 남 ===
=== 남 ===
* [[남구]]
* 방위
* [[성남구]](대한민국에 없음)
** [[남구]]
** [[일본]]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조난구
** [[남경]]
* [[강남구]]
*** 중국 난징
* [[남경]]
** [[남면]]
** 중국 난징
* 명사 + 방위
* [[남면]]
** [[성남구]](대한민국에 없음)
*** [[일본]]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조난구
** [[강남구]]
* 관형사 + 방위
** [[외남면]]
** [[내남면]]
** [[중남면]]


=== 북/상 ===
=== 북/상 ===
北/上
北/上
* [[북구]]
* 방위
* [[성북구]]
** [[북구]]
* [[강북구]]
** [[북경]]
* [[북경]]
*** 중국 [[베이징]]
** 중국 [[베이징]]
** [[상경]]
* [[상경]]
*** [[발해]] [[상경]]용천부
** 발해 [[상경]]용천부
** [[북면]]
* [[북면]]
* 명사 + 방위
** [[성북구]]
** [[강북구]]
* 관형사 + 방위
** [[외북면]]
** [[내북면]]
** [[중북면]]


=== 중 ===
=== 중 ===
* [[중구]]
* [[중구]]
* [[중경]]
* [[중경]]
* 중앙구 ([[주오구]])


[[분류:지리]]
[[분류:지리]]

2024년 1월 2일 (화) 23:07 기준 최신판

방위(方位, cardinal directions, cardinal points)는 지구를 기준으로 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더 정확히는 적도의 위와 아래를 각각 북(N)과 남(S)로 하고 자오선의 왼쪽과 오른쪽을 각각 서(W)와 동(E)으로 한다.

4방위
8방위
서북 동북
남서 동남

언어별[편집 | 원본 편집]

한자
/
西
/

방위와 행정구역[편집 | 원본 편집]

방위로 행정구역/지명을 작명한 사례는 매우 많은 편이다.

대표적으로 동구, 서면처럼 단순히 방위로 이름을 짓는 형태가 있다. 그리고 성동구처럼 도성(都城)을 기준으로 하여 방위를 붙인 지명이 있고 강동구처럼 강(江)을 기준으로 방위를 붙인 지명이 있다.

한국의 행정구역 단위는 그 자체로 방면이라는 의미도 담고 있고 방위가 지명에 담긴 경우가 꽤 많다. 외동면(外東面), 내동면(內東面)이 그 예이다.

[편집 | 원본 편집]

[편집 | 원본 편집]

[편집 | 원본 편집]

북/상[편집 | 원본 편집]

北/上

[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