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트비히 판 베토벤: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여러가지" 문자열을 "여러 가지" 문자열로)
(→‎피아노: 참고 틀 추가)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루트비히 판 베토벤'''({{독일어|Ludwig van Beethoven|루트비히 판 베트호펜}}, [[1770년]] [[12월 27일]]~1827년 3월 26일)[[독일]] 출신의 [[클래식 음악]] [[작곡가]]. [[고전파]] 사조를 완성하고 [[낭만파]]로 가는 길을 연 대작곡가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청력을 완전히 상실해가면서도 인류사에 길이 남을 걸작을 다수 남겨 '''악성'''(樂聖)으로 불린다.
{{토막글}}
 
{{youtube|6z4KK7RWjmk}}
너무나 유명한 교향곡 5번 <운명>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독일]] 출신의 [[클래식 음악]] [[작곡가]]. [[고전파]] 사조를 완성하고 [[낭만파]]로 가는 길을 연 대작곡가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청력을 완전히 상실해가면서도 인류사에 길이 남을 걸작을 다수 남겨 '''악성(樂聖)'''으로 불린다.


== 생애 ==
== 생애 ==
{{빈 문단}}


== 평가 ==
== 평가 ==
{{빈 문단}}
== 작품 ==
=== 교향곡 ===
{{youtube|r6o2rxzuWak}}
=== 관현악 ===
{{youtube|pGE0C6CrfBg}}
=== 실내악 ===
{{youtube|pA4_FnH49tA}}
=== 가곡 ===
{{youtube|xTy3z766_aA}}
=== 피아노 ===
{{참고|분류: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설명=피아노 소나타는}}
* [[피아노 소나타 8번 (베토벤)|피아노 소나타 8번]]
* [[피아노 소나타 13번 (베토벤)|피아노 소나타 13번]]
{{youtube|3PtUAWCc9m8}}
* [[피아노 소나타 17번 (베토벤)|피아노 소나타 17번]]
* [[피아노 소나타 23번 (베토벤)|피아노 소나타 23번]]


== 여담 ==
== 여담 ==
18번째 줄: 29번째 줄:
그의 성 Beethoven은 Beet와 Hoven의 합성어이며, v는 독일어나 네덜란드어에서는 /f/로 발음되므로 그의 이름은 엄밀하게는 '베트호픈' 정도로 발음해야 맞다. 다만 영어식 발음으로는 '비토벤(ㅌ은 th발음)'으로 읽히며, 이것을 가져와 일본이나 한국에서는 '베토벤'이라고 부르고 있는 것.
그의 성 Beethoven은 Beet와 Hoven의 합성어이며, v는 독일어나 네덜란드어에서는 /f/로 발음되므로 그의 이름은 엄밀하게는 '베트호픈' 정도로 발음해야 맞다. 다만 영어식 발음으로는 '비토벤(ㅌ은 th발음)'으로 읽히며, 이것을 가져와 일본이나 한국에서는 '베토벤'이라고 부르고 있는 것.


 
== 대중문화 속의 베토벤 ==
* 라이트 노벨 《[[악성소녀]]》에서는 극중에서 베토벤의 역할을 맡고 있는 소녀 루드비카가 히로인이다.


{{각주}}
{{각주}}
[[분류:독일의 작곡가]]

2023년 11월 19일 (일) 17:40 기준 최신판

루트비히 판 베토벤(독일어: Ludwig van Beethoven 루트비히 판 베트호펜, 1770년 12월 27일~1827년 3월 26일)은 독일 출신의 클래식 음악 작곡가다. 고전파 사조를 완성하고 낭만파로 가는 길을 연 대작곡가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청력을 완전히 상실해가면서도 인류사에 길이 남을 걸작을 다수 남겨 악성(樂聖)으로 불린다.

생애[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평가[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작품[편집 | 원본 편집]

교향곡[편집 | 원본 편집]

관현악[편집 | 원본 편집]

실내악[편집 | 원본 편집]

가곡[편집 | 원본 편집]

피아노[편집 | 원본 편집]

여담[편집 | 원본 편집]

을 매우 좋아하여 매일같이 와인병을 곁에 두고 마실 정도였다고 하니, 요즘 말로 치면 알콜 중독에 가까웠다고 할만하다. 실제로 그의 사망시 배에 복수(腹水)가 차 있었다거나 하는 기록을 토대로 그가 알콜성 간경화를 앓았다고 보는 경우가 많다. 물론 그 시절의 의료기록이란 게 그리 믿을만한 건 못 되다보니(...) 매독설, 납 중독설 등 여러 가지 이설도 있다. 또한 베토벤이 청력을 잃은 원인을 밝혀내고자 수많은 전문가들이 노력해왔지만, 아직 유력한 설은 없다.

그의 성 Beethoven은 Beet와 Hoven의 합성어이며, v는 독일어나 네덜란드어에서는 /f/로 발음되므로 그의 이름은 엄밀하게는 '베트호픈' 정도로 발음해야 맞다. 다만 영어식 발음으로는 '비토벤(ㅌ은 th발음)'으로 읽히며, 이것을 가져와 일본이나 한국에서는 '베토벤'이라고 부르고 있는 것.

대중문화 속의 베토벤[편집 | 원본 편집]

  • 라이트 노벨 《악성소녀》에서는 극중에서 베토벤의 역할을 맡고 있는 소녀 루드비카가 히로인이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