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리엘 드리무어: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스포일러}}
{{스포일러}}
== 개요 ==
== 개요 ==
'''아스리엘'''(Asriel)은 [[언더테일]]의 등장 인물이다. 이름의 유래는 '''아스'''고어 + 토'''리엘'''이다.
'''아스리엘'''(Asriel)은 [[언더테일]]의 등장 인물이다. 이름의 유래는 '''아스'''고어 + 토'''리엘'''이다. 캐릭터 자체가 불살 루트 스포일러이다
 
== 작중 행적 ==
== 작중 행적 ==
=== 불살 루트 ===
=== 불살 루트 ===
플라위가 괴물들의 영혼을 삼키고 나서 등장한다.
플라위가 괴물들의 영혼을 삼키고 "드디어. 이제 꽃의 모습은 질렸어", "반가워! 차라, 거기 있어? 나야 네 최고의 친구."라며 등장한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12번째 줄: 13번째 줄:
|-
|-
! 최초
! 최초
| Legendary being made of every SOUL in the underground. <br/>지하의 모든 영혼을 흡수해 만들어진 전설의 존재.
| Legendary being made of every SOUL in the underground. <br />지하의 모든 영혼을 흡수해 만들어진 전설의 존재.
! 배경 전환 후
! 배경 전환 후
| The Absolute GOD of Hyperdeath! <br/>죽음을 초월한 절대신!
| The Absolute GOD of Hyperdeath! <br />죽음을 초월한 절대신!
|}
|}


23번째 줄: 24번째 줄:
==== 불살 루트 - 엔딩 ====
==== 불살 루트 - 엔딩 ====
갑자기 등장해서 Special Thanks를 못 봤다고 말한다.
갑자기 등장해서 Special Thanks를 못 봤다고 말한다.
 
== 배경음 ==
Hoeps and Dreams, Burn in Despair, SAVE the World, His Theme, Final Power가 배경음이다. 등장인물 중에는 배경음이 많은 편이다.
{{각주}}
{{각주}}
[[분류:언더테일]]
[[분류:언더테일의 등장인물]]
[[분류:게임 등장인물]]

2023년 4월 3일 (월) 20:10 기준 최신판

내용 누설 주의 이 부분 아래에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포함되어 있어, 열람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아스리엘(Asriel)은 언더테일의 등장 인물이다. 이름의 유래는 아스고어 + 토리엘이다. 캐릭터 자체가 불살 루트 스포일러이다

작중 행적[편집 | 원본 편집]

불살 루트[편집 | 원본 편집]

플라위가 괴물들의 영혼을 삼키고 "드디어. 이제 꽃의 모습은 질렸어", "반가워! 차라, 거기 있어? 나야 네 최고의 친구."라며 등장한다

HP ATK DEF EXP GOLD
9999 8 9999 - -
최초 Legendary being made of every SOUL in the underground.
지하의 모든 영혼을 흡수해 만들어진 전설의 존재.
배경 전환 후 The Absolute GOD of Hyperdeath!
죽음을 초월한 절대신!

참고로 아스리엘의 공격으로 인해 체력이 0이 되면 영혼이 쪼개졌다가 다시 합체 된다.

이후 길 잃은 영혼이 나오고 행동 버튼은 부르기 버튼으로 변경된다. 모두를 구출하면 한 명을 더 구출 할 수 있는데 그것은 바로 아스리엘이었다. 그러자 아스리엘의 과거 영상이 나온 뒤 아스리엘은 몇 마디를 하더니 강한 공격을 날린다. 그러나 플레이어의 체력은 0.0000000001까지만 떨어진다. 이 때 공격, 아이템, 자비 버튼은 사라져 버린다. 그리고 조금만 더 부르면 끝난다.

불살 루트 - 엔딩[편집 | 원본 편집]

갑자기 등장해서 Special Thanks를 못 봤다고 말한다.

배경음[편집 | 원본 편집]

Hoeps and Dreams, Burn in Despair, SAVE the World, His Theme, Final Power가 배경음이다. 등장인물 중에는 배경음이 많은 편이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