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 상자: 두 판 사이의 차이

(고지 상자 문서)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고지 상자'''(Notice Box)는 [[리브레 위키]]와 일부 [[미디어위키]] 기반의 위키에서 사용하고 있는 머릿글 틀 양식을 말한다.  
'''고지 상자'''(Notice Box)는 [[리브레 위키]]와 일부 [[미디어위키]] 기반의 위키에서 사용하고 있는 머릿글 틀 양식을 말한다.


== 특징 ==
== 특징 ==
{{틀|고지 상자}}는 [[미디어위키]]의 머릿글 틀의 양식이다. 영어로는 Noticebox라고 부른다. {{틀|토막글}}, {{틀|삭제 신청}} 등의 안내용 틀을 만드는 데 밑바탕이 되는 틀이다.  
{{틀|고지 상자}}는 [[리브레 위키]]의 머릿글 틀의 양식이다. 영어로는 Noticebox라고 부른다. {{틀|암묵의 룰}}, {{틀|삭제}} 등의 안내용 틀을 만드는 데 밑바탕이 되는 틀이다.


[[리브레 위키]]의 고지상자는 테두리색을 제외하고는 단색의 심플한 배경과 제목/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기존의 [[미디어위키]] 계열의 위키에서 머릿글 틀 양식으로 주로 사용하는 {{틀|Ambox}}와는 달리 틀 왼쪽에 이미지를 기본적으로 넣지 않는 점이 특징이다.  
[[리브레 위키]]의 고지상자는 테두리색을 제외하고는 단색의 심플한 배경과 제목/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기존의 [[미디어위키]] 계열의 위키에서 머릿글 틀 양식으로 주로 사용하는 Ambox와는 달리 틀 왼쪽에 이미지를 기본적으로 넣지 않는 점이 특징이다.


틀 양식만 복사해서 붙여넣은 뒤 글을 작성하면 비교적 간단하게 머릿글을 작성할 수 있고, 사각형의 틀 전체가 단일 색상으로 채워져 있는 특성 때문에 틀 자체의 시인성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다만 {{틀|Ambox}} 계열 틀에 비해 공간을 다소 많이 차지하고, 틀 전체가 단일 색상으로 칠해져 있는 특성상 틀 자체가 튀어서 틀 내부의 글씨 전달이 다소 불편하다는 단점도 있다.
틀 양식만 복사해서 붙여넣은 뒤 글을 작성하면 비교적 간단하게 머릿글을 작성할 수 있고, 사각형의 틀 전체가 단일 색상으로 채워져 있는 특성 때문에 틀 자체의 시인성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다만 Ambox 계열 틀에 비해 공간을 다소 많이 차지하고, 틀 전체가 단일 색상으로 칠해져 있는 특성상 틀 자체가 튀어서 틀 내부의 글씨 전달이 다소 불편하다는 단점도 있다.


{{틀|고지 상자}} 자체는 양식화되어 있어서 복잡하고 다양한 효과를 주기에 애매하다. 따라서 좀 더 복잡한 효과를 내고 싶으면 다음 리브레 위키의 {{틀|고지 상자}}의 위키 문법 코드를 이용해서 수정을 하면 된다.  
{{틀|고지 상자}} 자체는 양식화되어 있어서 복잡하고 다양한 효과를 주기에 애매하다. 따라서 좀 더 복잡한 효과를 내고 싶으면 다음 리브레 위키의 {{틀|고지 상자}}의 위키 문법 코드를 이용해서 수정을 하면 된다.
 
원래 [[리브레 위키]]에서 머릿글 틀로 사용하기 위해 만든 틀이었으나 [[디시위키]] 등 다른 위키에서도 사용하고 있다.
 
 
== 사용 방법 ==
고지 상자라고 불리는 틀은 다른 위키에도 있으나 여기서는 리브레 위키의 고지 상자에 대한 설명이다.
=== 변수 입력법 ===
<pre>
{{고지 상자
|테두리색 =
|배경색 =
|제목 =
|제목색 =
|내용 =
|내용색 =
}}
</pre>
=== 매개변수에 대한 설명 ===
;테두리색
: #(색상값)을 이용해 상자 테두리의 색을 표시한다. 기본은 파랑.
;배경색
: #(색상값)을 이용해 상자 내부의 색을 표시한다. 기본은 연파랑.
;제목 (생략할 경우 내용만 표시)
:문서 위에 큰 글씨로 적힐 내용이다. 고지 상자의 틀 안의 그림은 제목에 보통 표시한다.
;제목색
: #(색상값)을 이용해 제목의 색을 표시한다.
;내용 (생략할 경우 제목만 표시)
:제목 아래에 작은 글씨로 적힐 내용이다.
;내용색
: #(색상값)을 이용해 작은 아래의 내용 부분의 색을 표시한다.
 
고지 상자 소스를 분석하면 "속성" 매개변수와 "id" 매개변수도 있다. 둘 다 div 태그 안쪽에 있는 요소라 상자 자체의 모습을 바꾸는 데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사용자 CSS를 설정할 때 이 값을 조정하면 다른 고지 상자들과는 다른 효과를 줄 수 있게 만들 수 있다. 다만 {{틀|토막글}} 틀 같은 리브레 위키의 핵심 틀은 class값이나 id값을 변경하지 않는다.
 
{{문서 가져옴|틀:고지 상자/설명문서||일부}}


원래 [[리브레 위키]]에서 머릿글 틀로 사용하기 위해 만든 틀이었으나 [[디시위키]] 등 다른 위키에서도 사용하고 있다.


== 고지 상자를 사용하고 있는 위키 ==
== 고지 상자를 사용하고 있는 위키 ==
* [['''리브레 위키''']] - 이 틀을 만든 위키
* '''[[리브레 위키]]''' - 이 틀을 만든 위키
* [[디시위키]] -  {{틀|Ambox}} 계열 틀과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다.
* [[디시위키]] -  Ambox 계열 틀과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다.
* [[오사위키]] - 사실상 사용하지 않는 틀.  


== 리브레 위키와 다른 형태의 고지 상자를 사용하고 있는 위키 ==
== 리브레 위키와 다른 형태의 고지 상자를 사용하고 있는 위키 ==
위키백과에서 주로 사용하는 메시지 상자(Message Box) 기반의 머릿글 상자를 사용하지 않고 "고지 상자"라고 불리는 틀을 사용하는 위키들이다. 리브레 위키의 고지 상자랑 호환되지 않는 경우에 이 곳에 분류한다.
위키백과에서 주로 사용하는 [[메시지 상자]](Message Box) 기반의 머릿글 상자를 사용하지 않고 "고지 상자"라고 불리는 틀을 사용하는 위키들이다. 리브레 위키의 고지 상자랑 호환되지 않는 경우에 이 곳에 분류한다.
* [[오리위키]] - collapse 기능을 이용해서 내용을 감추다가 드러냈다가 하는 것이 가능하다.
 
* [[바다위키]] - [[나무위키]]와 유사한 형식이다.
== 참조 ==
* [[위키/틀]]
** [[둘러보기 상자]]
** [[메시지 상자]]
** [[정보상자]]
** [[유저박스]]
** [[알림바]]
** [[글 숨김 틀]]


== 관련 문서 ==
== 관련 문서 ==
* [[틀]]  
* [[틀]]
 


[[분류:위키위키]]
[[분류:위키 용어]]

2022년 3월 19일 (토) 19:50 기준 최신판

고지 상자(Notice Box)는 리브레 위키와 일부 미디어위키 기반의 위키에서 사용하고 있는 머릿글 틀 양식을 말한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고지 상자}}는 리브레 위키의 머릿글 틀의 양식이다. 영어로는 Noticebox라고 부른다. {{암묵의 룰}}, {{삭제}} 등의 안내용 틀을 만드는 데 밑바탕이 되는 틀이다.

리브레 위키의 고지상자는 테두리색을 제외하고는 단색의 심플한 배경과 제목/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기존의 미디어위키 계열의 위키에서 머릿글 틀 양식으로 주로 사용하는 Ambox와는 달리 틀 왼쪽에 이미지를 기본적으로 넣지 않는 점이 특징이다.

틀 양식만 복사해서 붙여넣은 뒤 글을 작성하면 비교적 간단하게 머릿글을 작성할 수 있고, 사각형의 틀 전체가 단일 색상으로 채워져 있는 특성 때문에 틀 자체의 시인성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다만 Ambox 계열 틀에 비해 공간을 다소 많이 차지하고, 틀 전체가 단일 색상으로 칠해져 있는 특성상 틀 자체가 튀어서 틀 내부의 글씨 전달이 다소 불편하다는 단점도 있다.

{{고지 상자}} 자체는 양식화되어 있어서 복잡하고 다양한 효과를 주기에 애매하다. 따라서 좀 더 복잡한 효과를 내고 싶으면 다음 리브레 위키의 {{고지 상자}}의 위키 문법 코드를 이용해서 수정을 하면 된다.

원래 리브레 위키에서 머릿글 틀로 사용하기 위해 만든 틀이었으나 디시위키 등 다른 위키에서도 사용하고 있다.

고지 상자를 사용하고 있는 위키[편집 | 원본 편집]

리브레 위키와 다른 형태의 고지 상자를 사용하고 있는 위키[편집 | 원본 편집]

위키백과에서 주로 사용하는 메시지 상자(Message Box) 기반의 머릿글 상자를 사용하지 않고 "고지 상자"라고 불리는 틀을 사용하는 위키들이다. 리브레 위키의 고지 상자랑 호환되지 않는 경우에 이 곳에 분류한다.

참조[편집 | 원본 편집]

관련 문서[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