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우화: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top: replaced: lang-중국어 → 중국어= (5))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콩]][[분류:식품]][[분류:곡물 요리]][[분류:중국 요리]]
{{토막글}}
[[파일:Dofuhua-lamma.jpg|400px|섬네일|홍콩의 더우화|alt=설탕 시럽에 담긴 홍콩식 더우화]]
[[파일:Dofuhua-lamma.jpg|400px|섬네일|홍콩의 더우화|alt=설탕 시럽에 담긴 홍콩식 더우화]]
{{다국어 표기
{{다국어 표기
| 언어1=zh
| 언어1=중국어{{!}}중국어 <small>남부</small>
| 표기1=豆花, 豆腐脑, 豆腐花
| 표기1={{중국어=|l=hant|豆花, 豆腐花}}
| 언어2=en
| 언어2=중국어{{!}}중국어 <small>북부</small>
| 표기2=Douhua
| 표기2={{중국어=|豆腐脑}}
| 언어3=영어
| 표기3=Douhua
}}
}}
말랑말랑하게 만든 [[두부]]에 간장, 참기름, 시럽, 매운 소스, 견과류, 채소 등을 넣어 수저로 떠먹는 중국의 길거리 음식. 중국의 여러 지역 및 동남아시아에 퍼져있으며 지역에 따라 다른 토핑이 얹어진다. 대체로 중국 북부에서는 간장 등으로 짜게, 중국 남부와 홍콩, 대만 등은 설탕 시럽 등으로 달게, 쓰촨 등지에서는 산초 등으로 맵게 만든다.
말랑말랑하게 만든 [[두부]]에 간장, 참기름, 시럽, 매운 소스, 견과류, 채소 등을 넣어 수저로 떠먹는 중국의 길거리 음식. 중국의 여러 지역 및 동남아시아에 퍼져있으며 지역에 따라 다른 토핑이 얹어진다. 대체로 중국 북부에서는 간장 등으로 짜게, 중국 남부와 홍콩, 대만 등은 설탕 시럽 등으로 달게, 쓰촨 등지에서는 산초 등으로 맵게 만든다.


지역별 이름도 달라서 북부에서는 더우푸나오(豆腐脑), 남부에서는 더우푸화(豆腐花) 또는 더우화(豆花)라 불린다.
지역별 이름도 달라서 북부에서는 더우푸나오({{중국어=|豆腐脑}}), 남부에서는 더우푸화({{중국어=|豆腐花|l=hant}}) 또는 더우화({{중국어=|豆花|l=hant}})라 불린다.


중국 북부에서는 달걀을 곁들여 아침밥 대용으로도 먹는다. 남부, 홍콩, 대만 등에서는 식후 디저트.
중국 북부에서는 달걀을 곁들여 아침밥 대용으로도 먹는다. 남부, 홍콩, 대만 등에서는 식후 디저트.
----
 
* 참고
== 출처 ==
** [[위키백과:더우화]]
* [[위키백과:더우화]]
** [[위키백과:en:Douhua|영어 위키백과: Douhua]]
* [[위키백과:en:Douhua|영어 위키백과: Douhua]]
** [[위키백과:zh:豆花|중국어 위키백과: 豆花]]
* [[위키백과:zh:豆花|중국어 위키백과: 豆花]]
{{각주}}
[[분류:두부]][[분류:중국 요리]]

2022년 3월 18일 (금) 09:39 기준 최신판

설탕 시럽에 담긴 홍콩식 더우화
홍콩의 더우화
다국어 표기
중국어 남부 豆花, 豆腐花
중국어 북부 豆腐脑
영어 Douhua

말랑말랑하게 만든 두부에 간장, 참기름, 시럽, 매운 소스, 견과류, 채소 등을 넣어 수저로 떠먹는 중국의 길거리 음식. 중국의 여러 지역 및 동남아시아에 퍼져있으며 지역에 따라 다른 토핑이 얹어진다. 대체로 중국 북부에서는 간장 등으로 짜게, 중국 남부와 홍콩, 대만 등은 설탕 시럽 등으로 달게, 쓰촨 등지에서는 산초 등으로 맵게 만든다.

지역별 이름도 달라서 북부에서는 더우푸나오(豆腐脑), 남부에서는 더우푸화(豆腐花) 또는 더우화(豆花)라 불린다.

중국 북부에서는 달걀을 곁들여 아침밥 대용으로도 먹는다. 남부, 홍콩, 대만 등에서는 식후 디저트.

출처[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