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소: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llang|en -> 영어 변환)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연소'''(燃燒, {{영어|Combustion}})는 [[물질]]이 [[산소]]와 반응해 빠르게 빛과 열을 내는 현상이다.
물질이 산소와 빛과 열을 내며 빠르게 반응하는 현상. 보통 '''불탄다'''고 한다.


==연소의 3요소==
== 연소의 3요소 ==
연소는 세가지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시작되지도 진행되지도<ref>물론 연소가 시작되는 온도와 진행되는 온도는 좀 다르다. 가만히 둬도 연소가 시작되는 온도를 combustion point(발화점)라고 하고, 불꽃이 있으면 이를 받아 연소가 진행되는 온도를 flash point(인화점)라고 한다.</ref> 않는다. 따라서 연소를 중단시키려면 세 조건 중 하나 이상을 없애면 된다.
연소는 세 가지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시작되지도 진행되지도<ref>물론 연소가 시작되는 온도와 진행되는 온도는 좀 다르다. 가만히 둬도 연소가 시작되는 온도를 combustion point(발화점)라고 하고, 불꽃이 있으면 이를 받아 연소가 진행되는 온도를 flash point(인화점)라고 한다.</ref> 않는다. 따라서 연소를 중단시키려면 세 조건 중 하나 이상을 없애면 된다.
#산소가 있고
#산소가 있고
#탈 물질이 있을 때
#탈 물질이 있을 때
11번째 줄: 10번째 줄:
위에 따라서, 불을 끄려면 산소를 차단하거나, 탈 물질을 모두 없애거나, 온도를 발화점 아래로 떨어뜨리면 된다. 불이 났을 때 물을 붓는 것이 3번을 이용하기 위한 행동이며, [[소화기]]도 이 세 방법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한다.
위에 따라서, 불을 끄려면 산소를 차단하거나, 탈 물질을 모두 없애거나, 온도를 발화점 아래로 떨어뜨리면 된다. 불이 났을 때 물을 붓는 것이 3번을 이용하기 위한 행동이며, [[소화기]]도 이 세 방법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한다.


==완전연소와 불완전연소==
== 완전연소와 불완전연소 ==
{{빈 문단}}


{{주석}}
{{각주}}
[[분류:화학]]
[[분류:산소]]
[[분류:불]]

2022년 3월 6일 (일) 01:13 기준 최신판

연소(燃燒, 영어: Combustion)는 물질산소와 반응해 빠르게 빛과 열을 내는 현상이다.

연소의 3요소[편집 | 원본 편집]

연소는 세 가지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시작되지도 진행되지도[1] 않는다. 따라서 연소를 중단시키려면 세 조건 중 하나 이상을 없애면 된다.

  1. 산소가 있고
  2. 탈 물질이 있을 때
  3. 일정 온도 이상이면

연소가 시작된다. 여기서 일정 온도를 발화점이라고 하고, 물질마다 다르다.

위에 따라서, 불을 끄려면 산소를 차단하거나, 탈 물질을 모두 없애거나, 온도를 발화점 아래로 떨어뜨리면 된다. 불이 났을 때 물을 붓는 것이 3번을 이용하기 위한 행동이며, 소화기도 이 세 방법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한다.

완전연소와 불완전연소[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각주

  1. 물론 연소가 시작되는 온도와 진행되는 온도는 좀 다르다. 가만히 둬도 연소가 시작되는 온도를 combustion point(발화점)라고 하고, 불꽃이 있으면 이를 받아 연소가 진행되는 온도를 flash point(인화점)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