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국 (1891년):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金元國. 대한민국독립운동가. 201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891년 3월 4일 평안남도 강동군 원탐면 삼청리에서 출생...)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金元國.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201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金元國.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201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 생애 ==
== 생애 ==
1891년 3월 4일 평안남도 강동군 원탐면 삼청리에서 출생했다. 1919년 [[3.1 운동]]에 가담했다가 일본 형사들로부터 위험인물로 취급되어 엄중한 감시를 받자, 중국 안동현으로 망명하여 대한독립청년단에 가입했다. 대한독립청년단 총리 [[안병찬 (1881년)|안병찬]]의 권유를 받아들어 서간도에 있는 무관학교에 입학하였고, 무관학교 졸업 후 안동현으로 돌아와서 고대춘(高大春)·고대하(高大廈) 등과 함께 간도와 장춘, 그리고 상하이 방면 한국인들과 연락하여 항일 투쟁을 전개하려 하다가 일본 관헌에게 체포되었다. 1919년 10월 30일 신의주지청에서 태형 90도를 선고받았다. 이후의 행적은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1891년 3월 4일 평안남도 강동군 원탄면 삼성리<ref>현재는 [[평양시]] 삼석구역 삼성리로 이관되었다.</ref>에서 출생했다. 1919년 [[3.1 운동]]에 가담했다가 일본 형사들로부터 위험인물로 취급되어 엄중한 감시를 받자, 중국 안동현으로 망명하여 대한독립청년단에 가입했다. 대한독립청년단 총리 [[안병찬 (1881년)|안병찬]]의 권유를 받아들어 서간도에 있는 무관학교에 입학하였고, 무관학교 졸업 후 안동현으로 돌아와서 고대춘(高大春)·고대하(高大廈) 등과 함께 간도와 장춘, 그리고 상하이 방면 한국인들과 연락하여 항일 투쟁을 전개하려 하다가 일본 관헌에게 체포되었다. 1919년 10월 30일 신의주지청에서 태형 90도를 선고받았다. 이후의 행적은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7년 김원국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7년 김원국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다.
9번째 줄: 9번째 줄:
[[분류: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분류: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분류:대통령표창 수훈자]]
[[분류:대통령표창 수훈자]]
[[분류:강동군 출신]]
[[분류:평양직할시 출신]]
[[분류:1891년 출생]]
[[분류:1891년 출생]]

2021년 12월 23일 (목) 19:23 판

金元國. 대한민국독립운동가. 201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생애

1891년 3월 4일 평안남도 강동군 원탄면 삼성리[1]에서 출생했다. 1919년 3.1 운동에 가담했다가 일본 형사들로부터 위험인물로 취급되어 엄중한 감시를 받자, 중국 안동현으로 망명하여 대한독립청년단에 가입했다. 대한독립청년단 총리 안병찬의 권유를 받아들어 서간도에 있는 무관학교에 입학하였고, 무관학교 졸업 후 안동현으로 돌아와서 고대춘(高大春)·고대하(高大廈) 등과 함께 간도와 장춘, 그리고 상하이 방면 한국인들과 연락하여 항일 투쟁을 전개하려 하다가 일본 관헌에게 체포되었다. 1919년 10월 30일 신의주지청에서 태형 90도를 선고받았다. 이후의 행적은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7년 김원국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다.

각주

  1. 현재는 평양시 삼석구역 삼성리로 이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