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리브레 한자사전/戌: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1번째 줄: 21번째 줄:
|중고한어 =siuɪt̚
|중고한어 =siuɪt̚
}}</onlyinclude>
}}</onlyinclude>
개를 나타내는 한자로 犬(개 견)과 가리키는 게 같지만 이 '戌'은 십이지에 포함된다.
{{십이지}}
{{십이지}}
{{한자 서체}}
{{한자 서체}}
26번째 줄: 27번째 줄:


== 용례 ==
== 용례 ==
<!--* [[가격]](價格) 값, 가치, 액면가-->
* [[무술당]]() 북한 지역에서 먹는 복날 음식.


=== 한자성어 ===
=== 한자성어 ===
<!--* [[동가홍상]](同價紅裳)-->
<!--* [[동가홍상]](同價紅裳)-->

2021년 11월 17일 (수) 21:21 판

정자[韓/臺]
신자체 [日]
간체자 [中]





CJK Unified Ideographs
U+620C
부 6획
뜻과 소리
중고한어siuɪt̚
쓰는 순서
CJK Unified Ideographs
U+620C
부 6획
뜻과 소리
훈독(訓読)いぬ
음독(音読)
오음(呉音)シュチ
한음(漢音)シュツ
관용음ジュツ
쓰는 순서
CJK Unified Ideographs
U+620C
부 6획
뜻과 소리
병음
쓰는 순서

개를 나타내는 한자로 犬(개 견)과 가리키는 게 같지만 이 '戌'은 십이지에 포함된다.

십이지













용례

  • 무술당() 북한 지역에서 먹는 복날 음식.

한자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