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크1:레드 드래곤: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포크문서 각주 문단 위치 변경)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각주2}} +{{각주}}))
148번째 줄: 148번째 줄:
{{포크2:장르|동서양 혼합 판타지 TRPG 전쟁}}
{{포크2:장르|동서양 혼합 판타지 TRPG 전쟁}}


{{각주2}}
{{각주}}

2021년 6월 30일 (수) 02:05 판

작품

레드 드래곤(レッドドラゴン, RED DRAGON)은 세이카이샤가 운영하는 웹사이트 최전선에서 연재된 TRPG 리플레이다. 유명 크리에이터들을 끌어모아 각자 캐릭터를 만들어 TRPG[1]를 플레이한다는 엔터테인먼트 기획이다. 공식 사이트에서는 이를 RPF(Role Playing Fiction)라는 독자적인 용어로 지칭하고 있다.

원작
2012년 1월부터 2014년 5월까지 웹사이트 상에 연재된 TRPG 리플레이. 진행자 역할인 픽션 마스터는 그룹 SNE 출신의 산다 마코토가 맡았고, 플레이어로서 참가한 것은 우로부치 겐, 나스 키노코, 코교쿠 이즈키, 시마도리루, 나리타 료고 다섯 명이다. 진행자와 플레이어 모두 현역 라이트 노벨 작가나 일러스트레이터다.
애니메이션
<레드 드래곤>의 미디어 믹스 기획인 케이오스 드래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15년 7월부터 TV 애니메이션 <케이오스 드래곤 적룡전역>이 방영을 개시했다. 원작 리플레이의 전개 및 설정에 변경점이 존재한다.

줄거리

두 대국, 드나티아 제국황란이 냉전 상태에 있는 세계. 그리고 그 두 나라 사이에 낀 섬나라, 닐 카무이가 <레드 드래곤>의 무대가 된다.

교착 상태에 있는 이 세계에는 일곱 마리의 용이 존재하며 그 중 한 마리인 붉은 용이 닐 카무이에 존재했으나, 원인을 알 수 없이 갑자기 발광해버린다. 플레이어들은 이 붉은 용을 토벌하기 위한 비공식 부대로서 집결하고, 각자의 목적과 배경에 따라 움직이기 시작한다.

등장인물

플레이어 캐릭터 (PC)

포크2:등장인물 포크2:등장인물 포크2:등장인물 포크2:등장인물 포크2:등장인물 포크2:등장인물

논플레이어 캐릭터 (NPC)

포크2:등장인물

원작

파일:레드 드래곤 메인 비주얼.png
레드 드래곤 메인 비주얼

원작 <레드 드래곤>은 세이카이샤의 웹사이트 최전선에 게재된 TRPG 리플레이로, 삽화와 음악이 지원된 호화로운 사양이다. 이야기를 (夜)라는 단위로 구분지으며, 제6야 (하)로 완결되었다. 웹사이트 게재분과는 별도로 전 7권으로 이루어진 서적판이 세이카이샤 FICTIONS 레이블로 간행되었다.

참여자는 모두 유명 크리에이터이며, 플레이하는 데에 사용된 TRPG 시스템도 오직 <레드 드래곤>을 위해 새롭게 디자인된 원오프 사양의 시스템이다. TRPG는 시스템에 맞추어 플레이어 캐릭터를 작성하는 게 당연하지만, 극중의 PC들은 모두 플레이어가 될 작가들이 설정을 먼저 만들고 그에 맞추어 시스템을 디자인한 것이다. 이 시스템을 설계한 것은 TRPG 시스템에 관련해 잔뼈가 굵은 산다 마코토, 코다치 우쿄, 미와 키요무네다. 플레이 후기에 따르면 플레이 당시에는 별도로 제작된 캐릭터의 페이퍼 피겨를 움직여 전투를 처리하고, 전용으로 제작된 BGM을 듣는 환경이었다고 한다.

제작진

  • 픽션 마스터[2] : 산다 마코토
  • 플레이어
  • 일러스트 : 시마도리루
  • 음악 : 사키모토 히토시[3]

관련 서적

파일:레드 드래곤 OST 캐릭터 북.png
레드 드래곤 OST & 캐릭터 북 표지
  • 레드 드래곤 Ⅰ 제1야 회귀자의 섬, 2012년 6월 12일 발행, ISBN 978-4-06-138830-7
  • 레드 드래곤 Ⅱ 제2야 용의 발톱자국, 2012년 9월 14일 발행, ISBN 978-4-06-138840-6
  • 레드 드래곤 Ⅲ 제3야 요검난무, 2012년 12월 14일 발행, ISBN 978-4-06-138847-5
  • 레드 드래곤 Ⅳ 제4야 야회요란, 2013년 4월 16일 발행, ISBN 978-4-06-138859-8
  • 레드 드래곤 Ⅴ 제5야 계약의 성, 2013년 9월 13일 발행, ISBN 978-4-06-138876-5
  • 레드 드래곤 Ⅵ 제6야(상) 몽환회랑, 2014년 2월 14일 발행, ISBN 978-4-06-138890-1
  • 레드 드래곤 Ⅵ 제6야(하) 끝의 끝, 2014년 6월 13일 발행, ISBN 978-4-06-138897-0
  • 레드 드래곤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캐릭터 북, 2012년 10월 16일 발행, ISBN 978-4-06-138843-7
  • 레드 드래곤 월드 가이드, 2013년 10월 16일 발행, ISBN 978-4-06-138878-9

케이오스 드래곤 프로젝트

파일:케이오스 드래곤 로고.png
케이오스 드래곤 로고

2015년 2월에 <레드 드래곤>이 원점인 미디어 믹스 기획 <케이오스 드래곤> 프로젝트가 발표되었다. 세이카이샤·TOHO animation·세가 네트워크스 세 회사가 착수한 프로젝트로, 동년 7월에 방영을 개시한 TV 애니메이션 <케이오스 드래곤 적룡전역>으로 시작을 끊었으며 이어서 스마트폰용 모바일 게임 <케이오스 드래곤 혼돈전쟁>이 전송을 개시했다. 보드 게임 <케이오스 드래곤 패왕춘추>도 발매될 예정이다.

애니메이션

케이오스 드래곤 적룡전역(ケイオスドラゴン 赤竜戦役)의 제목으로 2015년 7월 2일부터 TV 애니메이션 방영을 개시했다.

모바일 게임

케이오스 드래곤 혼돈전쟁(ケイオスドラゴン 混沌戦争)의 제목으로 2015년 7월 2일에 안드로이드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을 개시했다. iOS용은 7월 중에 전송될 예정.

TV 애니메이션 <케이오스 드래곤 적룡전역>의 10년 뒤가 무대 배경이다.

보드 게임

케이오스 드래곤 패왕춘추(ケイオスドラゴン 覇王春秋)의 제목으로 2015년 중에 발매를 예정하고 있다.

'혼돈전쟁'과 마찬가지로 TV 애니메이션 <케이오스 드래곤 적룡전역>의 10년 뒤가 무대 배경. '적룡전역'의 결말로 동쪽의 대국 드나티아 제국이 분열해 여러 독립국이 난립한다.

관련 사이트

케이오스 드래곤 프로젝트

포크2:장르

각주

  1. 테이블탑 롤플레잉 게임(Tabletop Roleplaying Game) 또는 테이블토크 롤플레잉 게임(Table-Talk Role-Playing Game). 일정한 규칙에 따라 플레이어들이 각자 인물을 만들어 진행자의 이야기 전개에 따라 모험·연기를 하는 놀이다. TRPG 시스템의 예로는 <던전스 앤드 드래곤스>나 <소드 월드 RPG>가 있다.
  2. TRPG에서 진행자 역할. 다른 규칙에서는 마스터, 던전 마스터 등이라고 불리는 역할이다.
  3. 게임 <택틱스 오우거>, <파이널 판타지 XII>, <전장의 발퀴리아> 등의 음악을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