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G-35: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7번째 줄: 17번째 줄:
| 실전= 실전 참고  
| 실전= 실전 참고  
<!-- 일반 제원 -->
<!-- 일반 제원 -->
| 제원_파생형= MiG-29A
| 제원_파생형=  
| 중량= 공허 중량 11,00kg<br>총 중량 17.000kg
| 중량= 공허 중량 11,00kg<br>총 중량 17.000kg
| 길이= 17.29m
| 길이= 17.29m
53번째 줄: 53번째 줄:
슈퍼 펄크럼이라고도 하나, 정식 나토명은 MiG-29의 뒤를 잇는 펄크럼 E(Fulcrum E).
슈퍼 펄크럼이라고도 하나, 정식 나토명은 MiG-29의 뒤를 잇는 펄크럼 E(Fulcrum E).
==개요==
==개요==
전체적인 형상은 기존 MiG-29와 유사하며 MiG-29의 발전형에 가까운 전투기로, [[MiG-33]]보다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된 기종이라 할 수 있다. MiG-29의 개량형인 MiG-23M과 함재형 29인 MiG-29K를 바탕으로 전면 재설계한 전투기다.
미그29의 개량형 전투기로, 미그33(MiG-29M)과 함재형인 미그29K를 바탕으로 전면 재설계를 거쳐 개발되었다.
==개발==
 
분류상 4.5세대 전투기에 속하며 미코얀 구레비치 사에서는 4++ 세대 전투기라 홍보하고 있다.
==성능==
==성능==
AESA 레이더를 장비하고 있다. 일반형으론 170km에 달하는 탐지범위를 보이며, 최대 250km까지 적 전투기를 탐지할 수 있어 [[F-15]] C형보다 긴 사거리를 지니고 있다. 여기에 [[R-77]] 같은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의 통합으로 원거리 타격 능력을 보유하고 있고, MiG-29보다 더 높은 기동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20톤에 불과했던 MiG-29보다 약7톤 가량 증가한 27톤으로 무장량이 늘어 부족했던 화력을 보충했으며 보조 연료탱크와 급유 프로프를 장착하여 항속거리가 증대되는 등 중형 전투기로서의 개량이 이루어 졌다.
미그29보다 날개 면적이 증가하고 날개 형상이 변화하여 선회 성능이 중요한 기체 기동성이 더욱 좋아졌다.
반면 최대 속도와 추중비는 감소하여 원판보다 낮아졌는데, 대신 신형 RD-33MK으로 초음속 순항 기능과 함께 추력편향 노즐이 적용되어 전체적인 기동성이 상승했다.
 
그러나 미그35의 가장 큰 의의는 미그29의 가장 큰 약점이었던 항전장비 문제가 서방권 최신 전투기와 대등한 수준으로 올라선 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접시형 안테나를 쓰던 미그29의 주 레이더는 그 저열한 성능으로 인해 미그29의 공중전 성능을 크게 깎아먹는 요소로 70km 남짓에 불과한 탐지거리는 분해 능력마저 떨어졌다.
하지만 미그35의 레이더인 Zhuck-AE AESA 레이더는 170km에서 최대 250km 까지 적 전투기를 탐지할 수 있는 준수한 탐지범위와 미그29 시절에는 꿈도 꾸지 못했던 동시교전 능력을 확보하며 최대 5~6개의 다수 목표와 교전이 가능해졌다.
 
러시아 전투기의 특징인 IRST도 유지되어 적외선 만으로 적기를 50km에서 탐지하며 EOTS(전자 광학 추적장비)가 추가돼 전파를 발신하지 않고 보다 은밀한 공중전을 벌일 수 있다.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대해 판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인도]]의 전투기 도입 사업에도 참가했지만 탈락했다. 대신 인도는 미그 29의 함재형 파생형인 미그 29k를 해군에서 도입해 자국 항모인 비크라다미야함과 비크란트급 항공모함에서 운용중에 있다.
여기에 [[R-77]] 같은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의 통합으로 원거리 타격 능력을 보유하고 있고, MiG-29보다 더 높은 기동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20톤에 불과했던 MiG-29보다 약7톤 가량 증가한 27톤으로 무장량이 늘어 부족했던 화력을 보충했으며
보조 연료탱크와 급유 프로프를 장착하여 항속거리가 증대되는 등 중형 전투기로서의 개량이 이루어 졌다.
==운용==
==운용==
===운용 내역===
===러시아 항공우주군===
===해외===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대해 판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인도]]의 전투기 도입 사업에도 참가했지만 탈락했다. 대신 인도는 미그29의 함재형 파생형인 미그 29k를 해군에서 도입해 자국 항모인 비크라다미야함과 비크란트급 항공모함에서 운용중에 있다.
===운용 국가===
===운용 국가===
==관련==
==관련==
{{각주}}
{{각주}}
[[분류:전투기]]
[[분류:전투기]]

2021년 5월 11일 (화) 21:01 판

{{{무기이름}}}
MiG-35D (3861086285).jpg
무기 정보
종류 다목적 전투기
길이 17.29m
11.90m
높이 4.75m

미그-35《Миг-35》는 미그29를 개량한 러시아의 다목적 전투기다.

슈퍼 펄크럼이라고도 하나, 정식 나토명은 MiG-29의 뒤를 잇는 펄크럼 E(Fulcrum E).

개요

미그29의 개량형 전투기로, 미그33(MiG-29M)과 함재형인 미그29K를 바탕으로 전면 재설계를 거쳐 개발되었다.

분류상 4.5세대 전투기에 속하며 미코얀 구레비치 사에서는 4++ 세대 전투기라 홍보하고 있다.

성능

미그29보다 날개 면적이 증가하고 날개 형상이 변화하여 선회 성능이 중요한 기체 기동성이 더욱 좋아졌다. 반면 최대 속도와 추중비는 감소하여 원판보다 낮아졌는데, 대신 신형 RD-33MK으로 초음속 순항 기능과 함께 추력편향 노즐이 적용되어 전체적인 기동성이 상승했다.

그러나 미그35의 가장 큰 의의는 미그29의 가장 큰 약점이었던 항전장비 문제가 서방권 최신 전투기와 대등한 수준으로 올라선 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접시형 안테나를 쓰던 미그29의 주 레이더는 그 저열한 성능으로 인해 미그29의 공중전 성능을 크게 깎아먹는 요소로 70km 남짓에 불과한 탐지거리는 분해 능력마저 떨어졌다. 하지만 미그35의 레이더인 Zhuck-AE AESA 레이더는 170km에서 최대 250km 까지 적 전투기를 탐지할 수 있는 준수한 탐지범위와 미그29 시절에는 꿈도 꾸지 못했던 동시교전 능력을 확보하며 최대 5~6개의 다수 목표와 교전이 가능해졌다.

러시아 전투기의 특징인 IRST도 유지되어 적외선 만으로 적기를 50km에서 탐지하며 EOTS(전자 광학 추적장비)가 추가돼 전파를 발신하지 않고 보다 은밀한 공중전을 벌일 수 있다.

여기에 R-77 같은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의 통합으로 원거리 타격 능력을 보유하고 있고, MiG-29보다 더 높은 기동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20톤에 불과했던 MiG-29보다 약7톤 가량 증가한 27톤으로 무장량이 늘어 부족했던 화력을 보충했으며 보조 연료탱크와 급유 프로프를 장착하여 항속거리가 증대되는 등 중형 전투기로서의 개량이 이루어 졌다.

운용

러시아 항공우주군

해외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대해 판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인도의 전투기 도입 사업에도 참가했지만 탈락했다. 대신 인도는 미그29의 함재형 파생형인 미그 29k를 해군에서 도입해 자국 항모인 비크라다미야함과 비크란트급 항공모함에서 운용중에 있다.

운용 국가

관련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