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G-35: 두 판 사이의 차이

(자동 찾아 바꾸기: 「할수」(을)를 「할 수」(으)로)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MiG-35'''(미그35)는 [[MiG-29]]를 바탕으로 개량한 [[러시아]]의 다목적 [[전투기]]다. MiG-29의 뒤를 잇는 펄크럼(Fulcrum).
{{무기 정보
| 이름=미그 MiG-35
| 그림= [[파일:MiG-35D (3861086285).jpg]]
| 설명=
| 국가= {{국기|러시아}}
| 종류= 다목적 전투기
<!-- 종류 -->
| 비행기= yes
<!-- 역사 -->
| 개발= 미코얀ㆍ구레비치 설계국
| 개발년도=
| 생산=
| 생산년도= 1981 ~ 현재
| 가격=
| 생산개수=
| 사용년도= 1983 ~ 현재
| 실전= 실전 참고
<!-- 일반 제원 -->
| 제원_파생형= MiG-29A
| 중량= 공허 중량 11,00kg<br>총 중량 17.000kg
| 길이= 17.29m
| 폭= 11.90m
| 높이= 4.75m
| 지름=
| 흘수=
| 승무원= 1.2(복좌)
| 탑승인원=
<!-- 차량/함선/미사일/비행기 공통 제원 -->
| 무장= 공대공: R-73,R-77<br>공대지: Kh-25,26L/TE,31PD,36,38ME, KB-500KL/R/E(폭탄류)
| 부무장= 30mm GSH-30-1 1정
| 엔진= Kliomov RD-33MK ×2
| 엔진출력= 53.0kN ×2/88.3kN
| 출력비= 추중비 1.03
| 작전반경= 약 1,000km
| 최고속도= 마하 2.2(2.25)
| 항법_유도장치=
| 조향장치=
| 장갑=
| 적재용량=
| 연료적재량=
| 날개폭=
| 날개면적= 38제곱미터
| 날개하중=
| 비행고도=
| 최대고도= 18,000m
| 상승속도= 330m/s
| 탐지장비=
| 전자장비= 레이더: Zhuck-AE AESA<br>IRST: OLS-13SM-1<br>EOTS: OLS-EUM/OLS-K
}}


'''미그-35'''《Миг-35》는 [[MiG-29|미그29]]를 개량한 [[러시아]]의 다목적 [[전투기]]다.
슈퍼 펄크럼이라고도 하나, 정식 나토명은 MiG-29의 뒤를 잇는 펄크럼 E(Fulcrum E).
==개요==
전체적인 형상은 기존 MiG-29와 유사하며 MiG-29의 발전형에 가까운 전투기로, [[MiG-33]]보다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된 기종이라 할 수 있다. MiG-29의 개량형인 MiG-23M과 함재형 29인 MiG-29K를 바탕으로 전면 재설계한 전투기다.
전체적인 형상은 기존 MiG-29와 유사하며 MiG-29의 발전형에 가까운 전투기로, [[MiG-33]]보다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된 기종이라 할 수 있다. MiG-29의 개량형인 MiG-23M과 함재형 29인 MiG-29K를 바탕으로 전면 재설계한 전투기다.
 
==개발==
==성능==
AESA 레이더를 장비하고 있다. 일반형으론 170km에 달하는 탐지범위를 보이며, 최대 250km까지 적 전투기를 탐지할 수 있어 [[F-15]] C형보다 긴 사거리를 지니고 있다. 여기에 [[R-77]] 같은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의 통합으로 원거리 타격 능력을 보유하고 있고, MiG-29보다 더 높은 기동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20톤에 불과했던 MiG-29보다 약7톤 가량 증가한 27톤으로 무장량이 늘어 부족했던 화력을 보충했으며 보조 연료탱크와 급유 프로프를 장착하여 항속거리가 증대되는 등 중형 전투기로서의 개량이 이루어 졌다.
AESA 레이더를 장비하고 있다. 일반형으론 170km에 달하는 탐지범위를 보이며, 최대 250km까지 적 전투기를 탐지할 수 있어 [[F-15]] C형보다 긴 사거리를 지니고 있다. 여기에 [[R-77]] 같은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의 통합으로 원거리 타격 능력을 보유하고 있고, MiG-29보다 더 높은 기동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20톤에 불과했던 MiG-29보다 약7톤 가량 증가한 27톤으로 무장량이 늘어 부족했던 화력을 보충했으며 보조 연료탱크와 급유 프로프를 장착하여 항속거리가 증대되는 등 중형 전투기로서의 개량이 이루어 졌다.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대해 판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인도]]의 전투기 도입 사업에도 참가했지만 탈락했다. 대신 인도는 미그 29의 함재형 파생형인 미그 29k를 해군에서 도입해 자국 항모인 비크라다미야함과 비크란트급 항공모함에서 운용중에 있다.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대해 판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인도]]의 전투기 도입 사업에도 참가했지만 탈락했다. 대신 인도는 미그 29의 함재형 파생형인 미그 29k를 해군에서 도입해 자국 항모인 비크라다미야함과 비크란트급 항공모함에서 운용중에 있다.
 
==운용==
===운용 내역===
===운용 국가===
==관련==
{{각주}}
{{각주}}
[[분류:전투기]]
[[분류:전투기]]

2021년 5월 11일 (화) 10:57 판

{{{무기이름}}}
MiG-35D (3861086285).jpg
무기 정보
종류 다목적 전투기
길이 17.29m
11.90m
높이 4.75m

미그-35《Миг-35》는 미그29를 개량한 러시아의 다목적 전투기다.

슈퍼 펄크럼이라고도 하나, 정식 나토명은 MiG-29의 뒤를 잇는 펄크럼 E(Fulcrum E).

개요

전체적인 형상은 기존 MiG-29와 유사하며 MiG-29의 발전형에 가까운 전투기로, MiG-33보다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된 기종이라 할 수 있다. MiG-29의 개량형인 MiG-23M과 함재형 29인 MiG-29K를 바탕으로 전면 재설계한 전투기다.

개발

성능

AESA 레이더를 장비하고 있다. 일반형으론 170km에 달하는 탐지범위를 보이며, 최대 250km까지 적 전투기를 탐지할 수 있어 F-15 C형보다 긴 사거리를 지니고 있다. 여기에 R-77 같은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의 통합으로 원거리 타격 능력을 보유하고 있고, MiG-29보다 더 높은 기동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20톤에 불과했던 MiG-29보다 약7톤 가량 증가한 27톤으로 무장량이 늘어 부족했던 화력을 보충했으며 보조 연료탱크와 급유 프로프를 장착하여 항속거리가 증대되는 등 중형 전투기로서의 개량이 이루어 졌다.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대해 판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인도의 전투기 도입 사업에도 참가했지만 탈락했다. 대신 인도는 미그 29의 함재형 파생형인 미그 29k를 해군에서 도입해 자국 항모인 비크라다미야함과 비크란트급 항공모함에서 운용중에 있다.

운용

운용 내역

운용 국가

관련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