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국제공항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공항 정보
{{공항 정보
|공항이름 = 대구국제공항
| 공항명      = 대구국제공항
|원어이름 =  
| 한자명      = 大邱國際空港
|그림     = [[파일:대구국제공항.jpg|150px]]
| 현지명      =
|그림설명 = 대구국제공항 청사
| 영어명      = Daegu International Airport
|지도    =  
| 로고        =  
|지도설명 =  
| 그림       = 대구국제공항.jpg
|IATA    = TAE
| 그림 사이즈 = 280
|ICAO    = RKTN
| 그림 설명  = 대구국제공항 청사
|나라    = {{나라|대한민국}}
| IATA        = TAE
|이용지역 = [[대구광역시]]<br />[[경상북도]]
| ICAO        = RKTN
|위치     = [[대구광역시]] 동구 공항로 221(지저동 400-5)
| FAA        =  
|종류    = -민 공용
<!-- 개요 -->
|운영    = [[한국공항공사]] <br /> [[대한민국 공군]] <br /> [[미국 공군]]
| 공항종별    = 군-민 공용
|항공사  =  
| 시간기준    = 대한민국 표준시
|개항일  =  
| 운영시간    = 05:00 ~ 22:00
|폐지일  =  
| 소유기관    = [[대한민국 공군]]
|해발고도 = 120 ft
| 운영기관    = [[한국공항공사]] <br/> [[대한민국 공군]] <br/> [[미국 공군]]
|웹사이트 = [http://www.airport.co.kr/daegu/index.do]
| 지역        = [[대구광역시]]<br/>[[경상북도]]
|활주로  =  
| 위치       = [[대구광역시]] 동구 공항로 221(지저동 400-5)
  {{공항 정보/시설
| 허브        =
  |번호 = 13R/31L
| 건립시기    = <!-- for military airports -->
|길이 = 2755×45 m
| 사용시기    = <!-- for military airports -->
|표면 = 콘크리트
| 책임자      = <!-- for military airports -->
}}
| 점유기관    = <!-- for military airports -->
{{공항 정보/시설
| metric-elev = yes
|번호 = 13L/31R
| 해발-f      = 120
|길이 = 2743×45 m
| 해발-m      =  
|표면 = 콘크리트
| 웹사이트   = [http://www.airport.co.kr/daegu/index.do]
  }}
<!-- 좌표 및 지도 -->
|헬리패드 =  
<!-- 직접 입력 시-->
|비고    =  
| 좌표        =
| 지도        =
<!-- 세부 변수 이용 시-->
|좌표타입    =
|좌표지역    =
|지도이름    =
|지도_위치    =
|지도_꼬리표  =
|지도_너비    =
|지도_대체지도=
|지도_설명    =
|위도도 =  |위도분  =  |위도초  = |남북    =
|경도도 =  |경도분  =  |경도초  = |동서    =
<!-- 활주로 -->
| r1-방향    = 13R/31L
| r1-길이     = 2755
| r1-폭      = 45
| r1-계기접근      = CAT I
| r1-표면     = 콘크리트
| r2-방향    = 13L/31R
| r2-길이     = 2743
| r2-폭      = 45
| r2-계기접근      = CAT I
| r2-표면     = 콘크리트
| r3-방향    =
| r3-길이    =
| r3-폭      =
| r3-ILS      =
| r3-표면    =
<!--... r8-까지 작성 가능-->
<!-- 헬리포트 -->
| h1-번호    =
| h1-길이    =
| h1-표면    =
<!--... h12-까지 작성 가능-->
<!--통계 -->
| stat-연도  =
| stat1-제목 =
| stat1-수치  =  
<!--  stat4-까지 작성 가능-->
| footnotes  =  
}}{{대사|대구-경북지역 유일의 국제공항}}
}}{{대사|대구-경북지역 유일의 국제공항}}
'''대구국제공항'''(大邱國際空港)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대구 동구|동구]] 공항로 221(지저동 400-5)에 위치한 [[공항|국제공항]]이다. IATA 코드는 TAE, ICAO 코드는 RKTN이며, K-Base코드는 K-2이다. 대구-경북 지역의 유일한 국제공항이다.
'''대구국제공항'''(大邱國際空港)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 (대구)|동구]] 공항로 221(지저동 400-5)에 위치한 [[공항|국제공항]]이다. IATA 코드는 TAE, ICAO 코드는 RKTN이며, K-Base코드는 K-2이다. 대구-경북 지역의 유일한 국제공항이다.


대구국제공항은 공군 소장이 지휘하는 [[공군 군수사령부]]와 [[공군 남부전투사령부]]와 공군 준장이 지휘하는 대한민국 [[공군 제11전투비행단]]이 주둔중인 기지이기도 하며, 대구 시민 또는 공군에서는 K-2라고도 부른다.
대구국제공항은 공군 소장이 지휘하는 [[공군 군수사령부]]와 [[공군 남부전투사령부]]와 공군 준장이 지휘하는 대한민국 [[공군 제11전투비행단]]이 주둔중인 기지이기도 하며, 대구 시민 또는 공군에서는 K-2라고도 부른다.
언젠가는 [[대구경북 통합신공항|통합신공항]] 개항으로 인해 이 공항 부지는 신도시가 되고 고도제한까지 완화될 예정이다.


== 수요 ==
== 수요 ==
대구국제공항은 대구-경북지역의 유일한 국제공항이라는 입지를 가지고 있지만 그에 비하여 수요는 낮은 편이며, 매년 적자운영을 면치 못하고 있다. 먼저, 대구는 인구는 많지만 철도교통과 도로교통이 잘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항공교통에 대한 수요가 낮다. 그나마 유지되던 대구-김포 노선은 2004년 [[KTX]] 개통과 함께 수요가 급감하여 2007년을 기해 운항이 중단되었으며, 육상교통으로는 대체할 수 없는 제주행 노선과 인천 경유노선이 활발하게 운항되고 있다. 국제선은 영남권 거점공항 역할을 하는 [[김해국제공항]]에 밀려 이용도가 떨어진다. 대구시민 입장에서도 동대구 역 앞 터미널에서 김해공항으로 가는 리무진 버스를 타면 1시간 20분 만에 김해공항까지 가는 마당에, 굳이 노선이 빈약한 대구국제공항을 고집할 이유는 없다.
대구국제공항은 대구-경북지역의 유일한 국제공항이라는 입지를 가지고 있지만 그에 비하여 수요는 낮은 편이며, 매년 적자운영을 면치 못하고 있다. 먼저, 대구는 인구는 많지만 철도교통과 도로교통이 잘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항공교통에 대한 수요가 낮다. 그나마 유지되던 대구-김포 노선은 2004년 [[경부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수요가 급감하여 2007년을 기해 운항이 중단되었으며, 육상교통으로는 대체할 수 없는 제주행 노선과 인천 경유노선이 활발하게 운항되고 있다. 국제선은 영남권 거점공항 역할을 하는 [[김해국제공항]]에 밀려 이용도가 떨어진다. 대구시민 입장에서도 동대구 역 앞 터미널에서 김해공항으로 가는 리무진 버스를 타면 1시간 20분 만에 김해공항까지 가는 마당에, 굳이 노선이 빈약한 대구국제공항을 고집할 이유는 없다.  


2014년에 [[티웨이항공]], [[제주항공]] 등의 [[저가항공사]]가 취항하면서 이용객수가 늘고 있다. 그동안 대형항공사가 운항하기에는 수요가 부족했던 국제노선에 저가항공사가 도입되면서 국제노선이 다변화되고 있다. 2015년 기준 대구공항 이용객수는 200만여 명으로, 2013년에 비하여 2배 가까이 늘었다.
2014년에 [[티웨이항공]], [[제주항공]] 등의 [[저가항공사]]가 취항하면서 이용객수가 늘고 있다. 그동안 대형항공사가 운항하기에는 수요가 부족했던 국제노선에 저가항공사가 도입되면서 국제노선이 다변화되고 있다. 2015년 기준 대구공항 이용객수는 200만여 명으로, 2013년에 비하여 2배 가까이 늘었다.  


== 역사 ==
== 역사 ==
52번째 줄: 91번째 줄:
== 노선 ==
== 노선 ==
=== 국내선 ===
=== 국내선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행선지  
! 행선지  
! 항공사  
! 항공사  
70번째 줄: 109번째 줄:


=== 국제선 ===
=== 국제선 ===
[[에어부산]]과 [[티웨이항공]]이 적극적으로 근거리 국제선에 취항하고 있다.
[[에어부산]]과 [[티웨이항공]]이 적극적으로 근거리 국제선에 취항하고 있다.  
 
{|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행선지  
! 행선지  
! 항공사  
! 항공사  
131번째 줄: 169번째 줄:
| colspan="2" rowspan="6" |  
| colspan="2" rowspan="6" |  
! 2001
! 2001
| {{데이터 막대|#3066ff|4.4}} 2,214,613
| {{막대||4|4}} 2,214,613
! 2011
! 2011
| {{데이터 막대|#3066ff|2.3}} 1,178,212
| {{막대||2|3}} 1,178,212
|-
|-
! 2002
! 2002
| {{데이터 막대|#3066ff|4.5}} 2,274,901
| {{막대||4|5}} 2,274,901
! 2012
! 2012
| {{데이터 막대|#3066ff|2.2}} 1,110,290
| {{막대||2|2}} 1,110,290
|-
|-
! 2003
! 2003
| {{데이터 막대|#3066ff|4.4}} 2,228,550
| {{막대||4|4}} 2,228,550
! 2013
! 2013
| {{데이터 막대|#3066ff|2.1}} 1,084,585
| {{막대||2|1}} 1,084,585
|-
|-
! 2004
! 2004
| {{데이터 막대|#3066ff|3.1}} 1,567,678
| {{막대||3|1}} 1,567,678
! 2014
! 2014
| {{데이터 막대|#3066ff|3.1}} 1,537,328
| {{막대||3|1}} 1,537,328
|-
|-
! 2005
! 2005
| {{데이터 막대|#3066ff|2.4}} 1,236,446
| {{막대||2|4}} 1,236,446
! 2015
! 2015
| {{데이터 막대|#fb0c0c|4.0}} 2,027,626
| {{막대||4|0}} 2,027,626
|-
|-
! 2006
! 2006
| {{데이터 막대|#3066ff|2.3}} 1,194,150
| {{막대||2|3}} 1,194,150
| colspan="2" rowspan="5" |  
| colspan="2" rowspan="5" |  
|-
|-
! 1997
! 1997
| {{데이터 막대|#3066ff|4.3}} 2,173,183
| {{막대||4|3}} 2,173,183
! 2007
! 2007
| {{데이터 막대|#3066ff|2.3}} 1,177,490
| {{막대||2|3}} 1,177,490
|-
|-
! 1998
! 1998
| {{데이터 막대|#3066ff|3.5}} 1,799,531
| {{막대||3|5}} 1,799,531
! 2008
! 2008
| {{데이터 막대|#3066ff|2.1}} 1,079,011
| {{막대||2|1}} 1,079,011
|-
|-
! 1999
! 1999
| {{데이터 막대|#3066ff|4.1}} 2,086,436
| {{막대||4|1}} 2,086,436
! 2009
! 2009
| {{데이터 막대|#3066ff|2.0}} 1,026,203
| {{막대||2|0}} 1,026,203
|-
|-
! 2000
! 2000
| {{데이터 막대|#3066ff|4.4}} 2,241,310
| {{막대||4|4}} 2,241,310
! 2010
! 2010
| {{데이터 막대|#3066ff|2.2}} 1,148,953
| {{막대||2|2}} 1,148,953
|-
|-
|}
|}
244번째 줄: 282번째 줄:


=== 항공사 ===
=== 항공사 ===
대구국제공항 출발/도착 노선 기준, [[2014년]] 한 해 동안 가장 많은 이용객수를 기록한 7개 항공사는 다음과 같다.
대구국제공항 출발/도착 노선 기준, [[2014년]] 한 해 동안 가장 많은 이용객수를 기록한 7개 항공사는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301번째 줄: 339번째 줄:


== 시외버스 ==
== 시외버스 ==
[[경북도청신도시]]에서 대구공항 방면 시외버스 노선을 신설하면서 생겼다. 예천에서 출발하여 경북도청 신도시와 대구공항을 경유해 [[동대구터미널]]까지 간다. [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1187615&thread=09r02]
[[경북도청신도시]]에서 대구공항 방면 시외버스 노선을 신설하면서 생겼다. 예천에서 출발하여 경북도청 신도시와 대구공항을 경유해 [[동대구터미널까지 간다. [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1187615&thread=09r02]
{{대구광역시의 버스 터미널}}
{{대구광역시의 버스 터미널}}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 [http://www.airport.co.kr/ 한국공항공사]
* [http://www.airport.co.kr/ 한국공항공사]
313번째 줄: 350번째 줄:
[[분류:대구광역시]]
[[분류:대구광역시]]
[[분류:1936년 설립]]
[[분류:1936년 설립]]
{{리브레 맵스 마커|35.89954932654496|128.6381220817566|7|대구국제공항}}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