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서버가 빼곡한 네이버 IDC

서버(Server)는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server computer) 또는 프로그램(server program)을 이르는 말이다. 이 가운데, 서버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서버 소프트웨어(server software)라 칭한다. 서버는 프린터 제어나 파일 관리 등 네트워크 전체를 감시·제어하거나, 메인프레임이나 공중망을 통한 다른 네트워크과의 연결, 데이터·프로그램·파일 같은 소프트웨어 자원이나 모뎀·팩스·프린터 공유, 기타 장비 등 하드웨어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구조[편집 | 원본 편집]

서버는 사용자(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하여 서비스를 하는데 이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이라고 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을 상호 협력적인 환경에서 운용하는 분산처리 형태를 의미한다. 즉, 서비스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서버와의 협동작업을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를 얻는 처리방식이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이다.

클라이언트의 수가 5~20대 정도인 소규모 LAN의 경우에는 한 대의 서버로 충분히 모든 서비스를 소화할 수 있으나, 대규모 LAN의 경우에는 여러 대의 서버를 배치하고, 파일 관리는 파일 서버, 프린터 제어는 프린터 서버, 인터넷 등의 외부와의 교환은 통신 서버가 담당하는 등 각각 역할을 세분하게 된다.

인터넷상에서 자료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물건 중 하나로, 서버는 컴퓨터 데이터를 개인용 컴퓨터로 전송해 주는 역할을 맡는데, 이 서버에 무리가 가면 접속부하로 인해 잠시동안 접속이 끊기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인터넷 호스팅 업체에서는 트래픽이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특정 기간 동안 일정 용량의 전송량을 초과할 경우 일시적으로 접속을 차단하기도 한다.

그리고 인터넷 컨텐츠의 불법 여부를 수사할 경우 서버의 소재 국가에 따라 어느 나라 법을 적용하느냐가 달라지는데, 이것은 속지주의의 일종으로, 서버가 설치된 곳은 서버가 소재해 있는 국가의 공권력이 닿는 지역이기 때문이다. 외국에서 유포되는 저작물의 불법 공유를 특정 국가에서 단독으로 단속하기 힘든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은 속지주의와 속인주의를 모두 적용하므로[1], 해외 서버에 성인용 사이트를 차렸다 해도 음란물의 유포 및 제작을 법으로 금지하는 대한민국 법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다.

하드웨어 서버[편집 | 원본 편집]

이러한 하드웨어를 서버 하드웨어라고 부른다. 서버 하드웨어는 주로 'IA(Intel Architecture) 서버'와 '엔터프라이즈 서버' 두 가지가 있다. 양 쪽 서버 모두 메인보드, CPU, 메모리, 디스크, NIC(Network Interface Card: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PSU(Power Supply Unit: 파워 서플라이 유닛) 와 같은 주요 부속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하드웨어 측에서 서버의 종류를 따져 보면 랙 마운트형 서버, 타워형 서버 형태도 있고 아예 가상서버처럼 물리적 형태가 없는 경우도 있다. 서버의 종류는 날이 갈수록 다양화되어, 각 차이와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뭔가 굉장히 어렵게 설명되어 있지만 딱 잘라 말해서 서버도 컴퓨터다. 우리가 쓰는 컴퓨터와 거의 똑같은 종류의 부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가정에서 쓰이는 평범한 컴퓨터를 서버로 쓸 수도 있다. 다만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좀 더 비싼 고급 부품을 쓰고 하드 디스크와 전원장치는 2개 이상씩을 달아 서버를 끄지 않는 상태에서도 교체가 가능한 값비싼 컴퓨터를 사용한다. 제트기 소리가 나는 건 덤. 가정용 컴퓨터는 나만 필요할 때 쓰고 끄면 되지만 서버의 경우는 다른 사람들도 접속하여 사용하므로 특별한 일이 없다면 24시간 내내 돌리게 된다.

간단히 줄여보자면 일반 가정이나 회사, PC방 등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컴퓨터는 말 그대로 일반적인 성능을 가진 컴퓨터라고 본다면 워크스테이션은 서버와 일반적인 컴퓨터 사이라고 보고, 서버는 극한의 성능과 안정성을 가진 전용 부품들을 쓰고 일반 컴퓨터에 서버부품들을 써서 극한의 성능과 안정성을 통해 작업이 가능한 전문가용 컴퓨터로 보면 되겠다. 또한 서버가 1분이라도 꺼지면 무슨 일이 일어날지 어렵다. 이 때문에 서버는 안정성을 추구하게 된다.

개인이 운영하는 웹 사이트/웹 게임 정도는 개인용 컴퓨터로도 서비스에는 무리가 없지만(심지어 그냥 일반적인 개인 블로그나, 위키를 돌리는 정도라면 개인용 컴퓨터 수준도 아니고, 그냥 다 합쳐서 손바닥 크기도 안 되는 개발보드로도 떡을 친다. 된다 수준이 아니라 쾌적한 수준), 가정용 회선으로는 부족할 수도 있다. 보통 DDoS 테러를 한다고 하면 타겟이 되는 것이 바로 이 서버. 접속량을 과도하게 늘리면 서버가 감당하지 못하다 뻗어버림으로써 사이트가 마비된다.

서버 컴퓨터용 OS도 따로 있다. 직접 사용하기보다는 외부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 목적이므로 일반용과는 차이가 많다. 유닉스, 리눅스 계열 서버운영체제는 대부분 CUI인 경우가 많은데 이들 컴퓨터에는 모니터조차 달지 않고 서비스하기 때문이다. 물론 원하면 X 환경(X.org 등. X는 생략의 의미가 아니라 엑스라는 알파벳 그 자체다)을 깔아서 VNC등을 통해 GUI를 쓸 수도 있지만 리눅스 계열은 GUI가 오히려 더 불편한 운영체제라 인기는 거의 없다. 굳이 그래픽 출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차라리 웹 서버를 올려서 외부에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제어하게 만드는 게 요즘(2017년)의 추세다. CUI라고는 해도 멀티태스킹이 되기 때문에 창 여럿 띄워놓고 작업하면 그렇게 크게 불편하지도 않다.

macOS 서버나 윈도우 서버의 경우는 가정용과 인터페이스 차이가 거의 없다. 물론 인터페이스만 차이가 거의 없는거지 서비스 구성이나 사용자 정책, 보안 구성 등은 철저히 서버용으로 튜닝돼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서버의 경우 제어판 항목에 접근하기 쉽게 배려돼있고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최고 단계의 보안이 적용돼있다. 서버용 윈도우에서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네이버를 이용하려 하면 끊임없이 콘텐츠 차단, 액세스 거부, 보안 경고를 울려대서 거의 사용이 불가능할 정도다. 보안 수준을 낮추면 정상적으로 쓸 수 있지만 서버 운영체제에 낮은 보안을 적용하는 것도 몹시 찜찜한 일이고.

또 하드 디스크의 가격하락과 유무선공유기의 보급덕에 집에서 NAS나 애플의 맥 미니를 이용해 개인용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NAS에는 주로 시놀로지 DSM OMV free4nas CentOS라는 리눅스 계열 운영체제가 탑재되는 경우가 보통이며 애플의 맥 미니에는 옵션으로 macOS Server가 들어갔다. 과거 애플은 서버 컴퓨터인 Xserve도 내놓았지만 단종되었다. 맥 사이에서 써야 빛을 내는데 애초에 그런 환경이 당시 드물었고, 가성비까지 별로라 단종되었다. 현재 맥 프로와 맥 미니로 대체되어있으며, 랙마운트 어댑터도 구매할 수 있다.

서버의 종류[편집 | 원본 편집]

서버의 종류는 꽤나 많다. 왜냐하면 설치 장소 그리고 용도와 가격에 따라 필요한 서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랙마운트형 서버와 타워형 서버[편집 | 원본 편집]

타워형 서버
랙 서버.jpg
타워형 서버는 위와 같이 일반적으로 PC(개인용 컴퓨터) 와 닮았다. 대체로 인터넷 데이터 센터에는 사용되지 않는데 잘 사용되지 않는데 타워형 서버는 입주 비용(쉽게 말해 '월세')이 비싸기 때문이다. 대부분 타워형 서버는 4U서버나 5U 랙서버에 해당하는 상면 비용(공간 임대료 즉 '월세')을 받는데 그 말은 1U서버에 비해 4배 이상 비싼 임대료를 내야 한다는 뜻이다. 대신 타워형 서버는 워크스테이션 겸용 플랫폼인 경우가 많아 소음이 작고 확장성이 우수해서 보통 사무실의 구석에 두고 쓰는 소호용 서버로 인기가 많다.
랙 마운트형 서버
랙 마운트형 서버.jpg
랙 마운트형 서버는 데이터 센터나 서버룸에 설치된 랙 안에 들어간다. 인터넷 데이터 센터는 거의 다 랙 서버다. 서버랙에 가둬놓고 사용하는 것을 상정하기 때문에 앞에서 뒤로 흐르는 공기 흐름에 올인하고, 1~2U짜리는 팬도 작아서 RPM이 높아 일반 사무실에 놓고 쓰기에는 냉각기 팬 소음이 지나치게 시끄러운 게 단점이다. 냉각 프로파일을 조정하면(퍼포먼스 → 어쿠스틱 등) 좀 나아지기는 하지만 부하가 조금이라도 크게 걸리면 즉시 진공청소기급 굉음을 뿜기 시작한다.

규모에 관련된 서버[편집 | 원본 편집]

서버는 용도에 따라 '엔트리, 미들레인지, 하이엔드' 서버를 구분해서 사용한다. 단, 이런 구분에 엄밀한 정의는 없으므로 일반적인 구분을 사용한다.

엔트리 서버
수백만 원에 이르며, 주로 웹 서버나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이용된다. 보통 보통 소켓 단위로 1~2개의 CPU를 탑재할 수 있는 서버를 가리킨다.
미들레인지 서버
수천만 원에 이르며, 주로 데이터베이스 서버나 기간계 서버에서 이용된다. 대체로 소켓 단위로 4개 이상의 CPU를 탑재할 수 있으며, 하이엔드 서버에 속하지 않는 서버를 가리킨다. 여기서 기간계 시스템(미션 크리티컬 시스템, 엔터프라이즈 시스템, 백본 시스템 등) 이란 기간 업무 시스템이라고도 불리며, 기업 경영을 지속하는 데 핵심이 되는 재무관리, 업무관리, 생산관리 등을 담당하는 시스템이다.
하이엔드 서버
수억 원대에 이르며, 주로 데이터베이스 서버나 기간계 서버에서 이용된다. 대체로 소켓 단위로 수십 개 이상의 CPU를 탑재 할 수 있는 서버를 가리킨다.
[편집 | 원본 편집]

사실 위에 써놓은 대로 엄밀한 정의는 아니나, 굳이 레인지를 구분하면 Dell의 렉마운트 Rx20 시리즈를 보면 쉽다.

엔트리
R220~320 (220은 E3 시리즈 제품군을, 320은 E5 시리즈 제품군을 사용한다. 다만 램슬롯 개수와 CPU 소켓이 1개이다. 또한 모두 1U이다)
엔트리~로우레인지
R420~520 (420부터는 E5 시리즈 제품군을 사용하며, 소캣도 2개로 업그레이드 된다. 램 슬롯 개수도 증가하며 레이드 카드 등의 변화가 생긴다. 420은 1U, 520은 2U이다.
미들레인지~
R620~720, 720xd (램 슬롯을 사용할 수 있는 최대로 늘리며, 2U 모델인 720에서는 GPU도 장착이 가능하다. 620은 1U, 720과 720xd는 2U이다)
미드~하이레인지
R820~920 (820은 일반적인 E5-2 시리즈가 아닌, E5-4 시리즈를 사용하며, CPU만을 활용하는 작업군에서 마지막으로 선택 가능한 2U 제품이다. 920은 4U사이즈를 가지면서 렉 서버에서의 최고 플래그십이며, 최고 사양으로 E7-8시리즈가 들어간다. 램도 일반적으로 보드에 장착하는 것이 아닌, 라이저 카드에 장착하는 제품이다)
하이레인지~하이퍼
이 군집에서는 블레이드 서버를 쉽게 볼 수 있다. 블레이드 서버는 일반적으로는 잘 볼 수 없는 제품군이다. 서버가 말 그대로 '블레이드' 형태이며 하나하나 꽂아넣는 형태이다. 적게는 1개부터 많게는 12개 이상까지 넣을 수 있다. 그럼 위에서 설명한대로 엄청난 코어수와 램, 데이터 영역을 가지게 된다.

목적 관련 분류[편집 | 원본 편집]

  • 데이터베이스 서버: 소규모의 경우엔 웹 서버랑 같이 돌리는 경우가 크지만, 어느 정도 큰 서버스에서는 데이터베이스 호스팅 전용 서버를 굴리는 경우가 많다.
  • 웹 서버: 일반적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같이 굴리기도 한다.
  • NAS: 개인용 파일 서버. 꼭 파일만 호스팅하는 건 아니고 개인 위키를 돌리거나 음악 스트리밍[2] 용으로 쓰기도 한다.

서버 운영 체제[편집 | 원본 편집]

잘 알려진 서버 운영 체제로는 이를테면 Microsoft Windows Server, FreeBSD, 솔라리스, 리눅스 등이 있다. 유닉스는 본래 미니컴퓨터 운영 체제였으며 전통적인 미니컴퓨터를 서버가 대체해감에 따라 서버는 효율적인 유닉스 기반의 운영 체제가 되었다.

주로 리눅스 등의 운영 체제를 설치한 대형 컴퓨터를 쓰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서버 지향 운영 체제는 이를테면 다음과 같은 서버 환경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경향이 있다.

  • GUI를 사용할 수 없거나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3]
  • 다시 시작 없이 어느 정도까지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다시 구성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는 기능
  • 중요한 데이터를 온라인 상에서 주기적으로 백업하는 고급 백업 시설
  • 다른 볼륨이나 장치 사이의 투명한 데이터 전송
  • 유연하고 고급적인 네트워킹 기능
  • 유닉스의 데몬 및 윈도의 서비스와 같은 자동화 기능
  • 고급 사용자, 리소스, 데이터, 메모리 보호를 비롯한 꼼꼼한 시스템 보안

인터넷 상의 서버[편집 | 원본 편집]

인터넷의 전반적인 구조는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전 세계에서 지속적으로 동작하고 있으면서도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서버는 수천억조억십조안경 대에 이른다.

인터넷 서버가 제공하는 수많은 서비스 가운데 다음을 포함한다:

다락방 서버[편집 | 원본 편집]

컴퓨터를 배우거나 관심이 있는 사람이 집에 남는 부품들을 긁어모아서 만든 홈 서버를 다락방 서버라고 한다.돈 주고 새로 살 수도 있지만.. 대충 만들어서 다락방에 박아둔다고 해서 다락방 서버. 서버 운영체제를 공급하는 한국 마이크로소프트와 웹사이트 솔루션인 XE를 제공하는 네이버다락방 서버 구축방법을 설명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구성과 운영이 간단한 NAS가 보급되면서 다락방 서버의 자리를 NAS가 대체해가고 있다. 아니, 일반적인 사람은 중급 라인의 NAS만 사도 차고 넘친다. 정말로 남는 부품을 긁어모아서 만들면 전기비 청구서가 뒤통수를 때릴 것이다.(....) NAS마저 비싸다고 생각한다면 라즈베리 파이를 사서 직접 NAS를 만들어보자. 다만 라즈베리 파이로 구성할 경우 3까지는 USB 2.0과 100Mb 유선랜을 지원했기 때문에 SATA 인터페이스와 기가비트랜을 사용하는 NAS보다는 속도가 크게 느려진다. 라즈베리 파이 자체가 성능이 좋다고 할 수 없는 것은 덤.

각주

  1. 미성년 성추행 참사관 형사 처벌될까? “관건은 우리 사법 당국의 강력한 수사의지”, 헤럴드경제 미주판, 2016.12.21
  2. 대표적인 예가 Subsonic
  3. 윈도우 기반 서버 운영체제는 이걸 무시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2016에서 가상화에 집중한 나노 서버에서 GUI를 없애버렸다.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서버 문서 13707616판에서 분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