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격대

사격대는 대한민국 국군 다연장 로켓포 부대에 적용하는 중간 편제다. 사격대장소령이 보임된다.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원래 포병대대는 대대-포대-포반 3단계 구성으로 보병대대의 대대-중대-소대-분대 4단계보다 간소하다. 하지만 다련장 로켓포는 화력의 규모를 감안해 미군의 편제를 따라 대대-포대-소대-포반 구성을 하게 되었고, 소대급을 신설하기 보다는 장교 수급을 위해 독립부대 운용을 위해 대급 부대를 신설한 것이 사격대다. 즉, 실질적으로 아래와 같은 구조가 된다.

기존 편제 대대 포대 포반
다련장 편제 대대 사격대 포대 포반

사격지휘의 책임도 사격대에서 끝나기 때문에 다련장 부대의 인원수는 대대급이지만 하는 일은 대대 2~3개를 끼고 있는 것과 맞먹는다. 그래서 포대가 소대 수준이지만 간부 지위만큼은 일반적인 포대와 비슷하거나 좀 더 높다. 포반장(사격반장)이 못해도 중사급이라던가. 다만 편성부대는 아니기 때문에 참모부가 편제되진 않는다.

사단급 화력을 강화하면서, 사단 포병화력에 다련장 사격대가 포함되는 사례도 생겼다. 이런 경우에는 포병연대 직할대로 배속된다.

이런 이질적인 구조는 혼동을 불러오기 좋지만, 다련장 부대가 포병여단 직할부대, 또는 화력여단 휘하부대로만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부대와 비교할 일이 없어 이질감은 적은 편이다.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


대한민국 국군의 편제단위
육군
해병대
국직부대
분대
(분대장)

(반장)
소대
(소대장)
중대
(중대장)
지역대/
(대장)
대대
(대대장)
연대
(연대장)

(단장)
여단
(여단장)
사단
(사단장)
군단
(군단장)
기능사령부
(사령관)
작전사령부
(사령관)
포병 포반
(포반장)
전포대
(전포대장)
포대
(포대장)
사격대
(사격대장)
대대
(대대장)
포병단
(단장)
해군 중대
(중대장)
편대
(편대장)
대대
(대대장)
전대
(전대장)
전단
(전단장)
기지/방어사령부
(사령관)
함대/잠수함
(사령관)
해군작전사령부
(해군작전사령관)
공군 /
(반장/대장)
중대/편대
(중대장/편대장)
포대/대대
(포대장/대대장)
전대
(전대장)
비행단
(단장)
여단
(여단장)
기능사령부
(사령관)
공군작전사령부
(공군작전사령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