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판정법

비교판정법(Comparison test)은 어떤 급수를 이미 수렴판정을 마친 다른 급수와 비교해 수렴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이다.

진술[편집 | 원본 편집]

실수열 [math]\displaystyle{ (a_n),(b_n) }[/math]에 대해

  • [math]\displaystyle{ 0\le a_n \le b_n }[/math]이고 [math]\displaystyle{ \sum_{n=1}^{\infty}b_n }[/math]이 수렴하면, [math]\displaystyle{ \sum_{n=1}^{\infty}a_n }[/math]는 수렴한다.
  • [math]\displaystyle{ 0\le b_n \le a_n }[/math]이고 [math]\displaystyle{ \sum_{n=1}^{\infty}b_n }[/math]이 발산하면, [math]\displaystyle{ \sum_{n=1}^{\infty}a_n }[/math]는 발산한다.

증명[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0\le a_n \le b_n }[/math]이고 [math]\displaystyle{ \sum_{n=1}^{\infty}b_n }[/math]이 수렴한다고 가정하자. [math]\displaystyle{ \sum_{n=1}^{\infty} b_n }[/math]이 수렴하므로 [math]\displaystyle{ \sum_{n=1}^{\infty} b_n= L }[/math][math]\displaystyle{ L }[/math]이 존재한다. [math]\displaystyle{ \sum_{i=1}^m b_i \gt L }[/math][math]\displaystyle{ m\in \mathbb{N} }[/math]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math]\displaystyle{ \sum_{i=1}^m b_i = L+\alpha }[/math][math]\displaystyle{ \alpha \gt 0 }[/math]가 존재한다. 한편 극한의 정의에 의해 [math]\displaystyle{ 0\lt \varepsilon \lt \alpha }[/math][math]\displaystyle{ \varepsilon }[/math]에 대해 자연수 [math]\displaystyle{ N }[/math]이 존재해 임의의 자연수 [math]\displaystyle{ n\gt 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left|\sum_{i=1}^n b_i - L \right|\lt \varepsilon }[/math]이다. 식을 정리하면 [math]\displaystyle{ \sum_{i=1}^n b_i \lt L+\varepsilon }[/math]이다. [math]\displaystyle{ n }[/math]을 임의로 [math]\displaystyle{ m }[/math]보다 크게 설정하자. 그러면

[math]\displaystyle{ \sum_{i=1}^n b_i= \sum_{i=1}^m b_i+\sum_{i=m+1}^n b_i\lt L+\varepsilon }[/math]

에서

[math]\displaystyle{ \sum_{i=m+1}^n b_i \lt \varepsilon - \alpha }[/math]

을 얻는다. [math]\displaystyle{ b_n \ge 0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sum_{i=m+1}^n b_i \ge 0 }[/math]이지만 [math]\displaystyle{ \varepsilon-\alpha \lt 0 }[/math]이므로 모순이 발생한다. 따라서 삼일률에 의해 임의의 [math]\displaystyle{ n\in \mathbb{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sum_{i=1}^n b_i \le L }[/math]이다. 그러므로 [math]\displaystyle{ \sum_{i=1}^{n} a_n \le \sum_{i=1}^n b_n \le L }[/math]이다. [math]\displaystyle{ a_n \ge 0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sum_{i=1}^n a_n }[/math]은 단조증가한다. [math]\displaystyle{ \sum_{i=1}^n a_n }[/math]은 단조증가하고 유계이므로, 단조수렴정리에 의해 수렴한다.

이제 [math]\displaystyle{ 0\le b_n \le a_n }[/math]이고 [math]\displaystyle{ \sum_{n=1}^{\infty}b_n }[/math]이 발산한다고 가정하자. 만약 [math]\displaystyle{ \sum_{n=1}^{\infty}a_n }[/math]이 수렴한다면 [math]\displaystyle{ \sum_{n=1}^{\infty}b_n }[/math]도 수렴하게 되어 가정과 모순된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sum_{n=1}^{\infty}a_n }[/math]은 발산한다.

예시[편집 | 원본 편집]

다음 급수는 비교판정법으로 수렴함을 증명할 수 있다.

  • [math]\displaystyle{ \sum_{n=1}^{\infty}\frac{1}{n^2} }[/math]
  • [math]\displaystyle{ \sum_{n=1}^{\infty}\frac{1}{n}\sin\frac{1}{n} }[/math]
  • [math]\displaystyle{ \sum_{n=1}^{\infty}\frac{n+1}{n 3^n} }[/math]
  • [math]\displaystyle{ \sum_{n=1}^{\infty}\frac{1}{n^{\arctan n}} }[/math]

다음 급수는 비교판정법으로 발산함을 증명할 수 있다.

  • [math]\displaystyle{ \sum_{n=1}^{\infty}\frac{1}{\sqrt{n}} }[/math]
  • [math]\displaystyle{ \sum_{n=2}^{\infty}\frac{1}{\ln n} }[/math]
  • [math]\displaystyle{ \sum_{n=1}^{\infty}(2^{\frac{1}{n}}-1) }[/math]

따름정리[편집 | 원본 편집]

절대수렴 판정[편집 | 원본 편집]

비교판정법을 절대수렴하는 급수에 적용해볼 수 있다. 수열 [math]\displaystyle{ (a_n),(b_n) }[/math]에 대해

  • [math]\displaystyle{ |a_n|\le |b_n| }[/math]이고 [math]\displaystyle{ \sum_{n=1}^{\infty}b_n }[/math]이 절대수렴하면, [math]\displaystyle{ \sum_{n=1}^{\infty}a_n }[/math]도 절대수렴한다.
  • [math]\displaystyle{ |b_n|\le |a_n| }[/math]이고 [math]\displaystyle{ \sum_{n=1}^{\infty}b_n }[/math]이 절대수렴하지 않으면, [math]\displaystyle{ \sum_{n=1}^{\infty}b_n }[/math]도 절대수렴하지 않는다.

복소급수의 비교판정법[편집 | 원본 편집]

복소급수의 수렴 여부를 판정할 때 비교판정법을 사용할 수 있다. 실수열 [math]\displaystyle{ (M_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M_n\ge 0 }[/math]이고 급수 [math]\displaystyle{ \sum_{n=1}^{\infty} M_n }[/math]가 수렴한다고 하자. 복소수열 [math]\displaystyle{ (z_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z_n|\le M_n }[/math]이면 [math]\displaystyle{ \sum_{n=1}^{\infty} z_n }[/math]는 수렴한다.[1]

[math]\displaystyle{ z_n = x_n + iy_n }[/math] (단, [math]\displaystyle{ x_n,y_n }[/math]은 실수)으로 두면 [math]\displaystyle{ |x_n|\le |z_n| \le M_n }[/math]이고 [math]\displaystyle{ |y_n| \le |z_n|\le M_n }[/math]이므로 비교판정법에 의해 [math]\displaystyle{ \sum_{n=1}^{\infty} |x_n| }[/math][math]\displaystyle{ \sum_{n=1}^{\infty} |y_n| }[/math]은 수렴한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sum_{n=1}^{\infty} x_n }[/math][math]\displaystyle{ \sum_{n=1}^{\infty} y_n }[/math]은 절대수렴하고, 절대수렴하는 급수는 수렴하므로 [math]\displaystyle{ \sum_{n=1}^{\infty} x_n }[/math][math]\displaystyle{ \sum_{n=1}^{\infty}y_n }[/math]은 수렴한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sum_{n=1}^{\infty}z_n }[/math]은 수렴한다.

극한비교판정법[편집 | 원본 편집]

실수열 [math]\displaystyle{ (a_n),(b_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a_n \ge 0, b_n \gt 0 }[/math]이라 하자. [math]\displaystyle{ \lim_{n\to\infty}\frac{a_n}{b_n}=c\;(c\gt 0) }[/math]이면 [math]\displaystyle{ \sum_{n=1}^{\infty}a_n,\sum_{n=1}^{\infty}b_n }[/math]은 모두 수렴하거나 모두 발산한다.

[math]\displaystyle{ \lim_{n\to\infty}\frac{a_n}{b_n}=c }[/math]이면 극한의 정의에 의해 [math]\displaystyle{ 0\lt \varepsilon \lt c }[/math]인 임의의 [math]\displaystyle{ \varepsilo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N\in \mathbb{N} }[/math]이 존재해 임의의 자연수 [math]\displaystyle{ n \gt 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left|\frac{a_n}{b_n}-c\right| \lt \varepsilon }[/math]이므로, 절댓값 기호를 풀면

[math]\displaystyle{ c-\varepsilon \lt \frac{a_n}{b_n} \lt c+\varepsilon }[/math]

이다. [math]\displaystyle{ b_n \gt 0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c-\varepsilon)b_n \lt a_n \lt (c+\varepsilon)b_n }[/math]

이다. 이제 다음 네 가지 경우를 각각 따져보면 된다.

  1. [math]\displaystyle{ \sum_{n=1}^{\infty}a_n }[/math]이 수렴하는 경우: [math]\displaystyle{ \sum_{n=1}^{\infty}\frac{1}{c-\varepsilon} a_n }[/math]은 수렴하고 [math]\displaystyle{ 0\lt b_n \lt \frac{1}{c-\varepsilon}a_n }[/math]이므로 비교판정법에 의해 [math]\displaystyle{ \sum_{n=1}^{\infty}b_n }[/math]은 수렴한다.
  2. [math]\displaystyle{ \sum_{n=1}^{\infty}a_n }[/math]이 발산하는 경우: [math]\displaystyle{ \sum_{n=1}^{\infty}\frac{1}{c+\varepsilon} a_n }[/math]은 발산하고 [math]\displaystyle{ 0 \lt \frac{1}{c+\varepsilon} a_n \lt b_n }[/math]이므로 비교판정법에 의해 [math]\displaystyle{ \sum_{n=1}^{\infty}b_n }[/math]은 발산한다.
  3. [math]\displaystyle{ \sum_{n=1}^{\infty}b_n }[/math]이 수렴하는 경우: [math]\displaystyle{ \sum_{n=1}^{\infty}(c+\varepsilon) b_n }[/math]은 수렴하고 [math]\displaystyle{ 0\lt a_n \lt (c+\varepsilon)b_n }[/math]이므로 비교판정법에 의해 [math]\displaystyle{ \sum_{n=1}^{\infty}a_n }[/math]은 수렴한다.
  4. [math]\displaystyle{ \sum_{n=1}^{\infty}b_n }[/math]이 발산하는 경우: [math]\displaystyle{ \sum_{n=1}^{\infty}(c-\varepsilon)b_n }[/math]은 발산하고 [math]\displaystyle{ 0\lt (c-\varepsilon)b_n \lt a_n }[/math]이므로 비교판정법에 의해 [math]\displaystyle{ \sum_{n=1}^{\infty}a_n }[/math]은 발산한다.

한편 [math]\displaystyle{ \lim_{n\to \infty}\frac{a_n}{b_n}=0 }[/math]이고 [math]\displaystyle{ \sum_{n=1}^{\infty}b_n }[/math]이 수렴한다고 가정하자. 극한의 정의에 의해 임의의 [math]\displaystyle{ \varepsilon \gt 0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N\in \mathbb{N} }[/math]이 존재해 임의의 자연수 [math]\displaystyle{ n \gt 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frac{a_n}{b_n} \lt \varepsilon }[/math], 즉 [math]\displaystyle{ a_n \lt \varepsilon b_n }[/math]이다. [math]\displaystyle{ \sum_{n=1}^{\infty} b_n }[/math]이 수렴하면 [math]\displaystyle{ \sum_{n=1}^{\infty}\varepsilon b_n }[/math]도 수렴한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0\le a_n \lt \varepsilon }[/math]이고 [math]\displaystyle{ \sum_{n=1}^{\infty}\varepsilon b_n }[/math]이 수렴하므로 비교판정법에 의해 [math]\displaystyle{ \sum_{n=1}^{\infty} a_n }[/math]은 수렴한다.

[math]\displaystyle{ \lim_{n\to\infty}\frac{a_n}{b_n}=\infty }[/math]이고 [math]\displaystyle{ \sum_{n=1}^{\infty}b_n }[/math]이 발산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극한의 정의에 의해 임의의 [math]\displaystyle{ M \gt 0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N\in \mathbb{N} }[/math]이 존재해 임의의 자연수 [math]\displaystyle{ n \gt 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frac{a_n}{b_n} \gt M }[/math], 즉 [math]\displaystyle{ Mb_n \lt a_n }[/math]이다. [math]\displaystyle{ \sum_{n=1}^{\infty}b_n }[/math]이 발산하면 [math]\displaystyle{ \sum_{n=1}^{\infty}Mb_n }[/math]이 발산한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0\le Mb_n \lt a_n }[/math]이고 [math]\displaystyle{ \sum_{n=1}^{\infty}Mb_n }[/math]이 발산하므로 비교판정법에 의해 [math]\displaystyle{ \sum_{n=1}^{\infty} a_n }[/math]은 발산한다.

비율비교판정법[편집 | 원본 편집]

실수열 [math]\displaystyle{ (a_n),(b_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a_n \gt 0, b_n\gt 0 }[/math]이고 [math]\displaystyle{ \sum_{n=1}^{\infty}b_n }[/math]이 수렴한다고 하자. 임의의 [math]\displaystyle{ n\in \mathbb{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frac{a_{n+1}}{a_n} \le \frac{b_{n+1}}{b_n} }[/math]

이면 [math]\displaystyle{ \sum_{n=1}^{\infty}a_n }[/math]은 수렴한다.[2]

[math]\displaystyle{ \frac{a_{n+1}}{a_n} \le \frac{b_{n+1}}{b_n} }[/math][math]\displaystyle{ a_n \gt 0, b_n \gt 0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frac{a_{n+1}}{b_{n+1}}\le \frac{a_n}{b_n} }[/math]으로 바꾸어 쓸 수 있다. 그러면 [math]\displaystyle{ \left(\frac{a_n}{b_n}\right) }[/math]은 단조감소한다. 한편 [math]\displaystyle{ a_n \gt 0, b_n \gt 0 }[/math]이므로 항상 [math]\displaystyle{ \frac{a_n}{b_n} \gt 0 }[/math]이다. 즉 0은 [math]\displaystyle{ \left(\frac{a_n}{b_n}\right) }[/math]의 하계이다. 따라서 단조수렴정리에 의해 [math]\displaystyle{ \left(\frac{a_n}{b_n}\right) }[/math]은 수렴한다. [math]\displaystyle{ \sum_{n=1}^{\infty}b_n }[/math]이 수렴하므로 극한비교판정법에 의해 [math]\displaystyle{ \sum_{n=1}^{\infty}a_n }[/math]은 수렴한다.

각주

  1. John H. Mathews; Russell W. Howell. Module for Complex Sequences and Series. 2016년 1월 26일에 확인.
  2. Faucette, William M. (2003년 12월). Generalized Geometric Series, The Ratio Comparison Test and Raabe’s Test. 2016년 1월 27일에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