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박이

나무박이나무에 장식이나 효과를 내거나 을 바꾸거나 다른 나무를 넣는 공예 기법이다. 목상감(木象嵌)[1] 기법이라고도 한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오래 전부터 있던 공예 기법이며 서양이나 동양이나 많이 사용하였다. 예전에는 널리고 널린 게 나무였기 때문에 나무박이를 하여 건물을 지었으며 또한 목관악기에도 나무박이로 장식했다. 현대에도 많이 쓰이고 있으며 주위를 돌아보면 나무도마, 나무 컵 받침대, 나무 명함, 의자, 책상, 가구 등 많은 곳에서 나무박이를 한 나무 관련 제품들을 볼 수 있다.

나무박이를 하는 방법은 나무에 음각을 내서 장식을 하는 것이니 간단하다. 초등학교나 유치원 때 실습을 해 볼 정도이다. 대한민국에도 나무박이로 만든 공예품이 많은데, 이는 산이 많았기 때문이다. 또한 고려 시대에는 불교가 융성하였기 때문에 이 많이 지어졌고 그 절들은 목조건물이었기에 이 시대에 나무박이 된 건물들이 많았다. 이로 인해 고려청자 등에 영향을 미쳐 도자기 상감 문화에도 큰 획을 그었다. 조선 시대에도 간단한 미를 추구하여 가구 등을 제작할 때 나무박이 기법이 많이 쓰였다. 현대에 와서는 많은 곳에 나무박이 기법을 사용하는데, 과거에 부유층만 사용하였던 나무박이 가구나 제품들을 일반인도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사람도 늘었다. 목공예품 관련 학원이나 주부교실에 가서 배울 수 있다.

사용 나무[편집 | 원본 편집]

보통 오크나무(참나무)를 주로 사용하며 오동나무로 만든 나무박이 제품은 비싼 값에 거래된다. 가끔씩 물푸레나무도 사용한다. 또한 박달나무는 단단하기 때문에 생활용품 관련된 곳에서 사용한다.

제작법[편집 | 원본 편집]

  1. 먼저 도안을 한다.
  2. 도안을 따로 때어서 각종색상 나무에 붙인다.
  3. 도안을 실톱으로 오려 낸다.
  4. 오려진 조각을 조립한다.
  5. 원판에 오려진 상감재를 박는다.
  6. 상감재에 세밀한 선으로 선상감 자리에 판다.
  7. 새말한 칼자리에 박달나무가루 흑단나무가루로 채운다.
  8. 표면을 깍는다.
  9. 완성.

무형문화재[편집 | 원본 편집]

나무박이에 관련된 무형문화재는, 중요무형문화재 제55호로서 경상남도 충무의 천상원과 강대규이다.

각주

  1. 도예에서 말하는 상감기법과 동일한 개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