밈: 두 판 사이의 차이

('개인적인 의견', '이 글을 쓴 사람', '혹자', '필자' 같이 편집자 본인을 어필하는 건 지양합시다!)
1번째 줄: 1번째 줄:
 
{{참조|이기적 유전자#밈}}
== 개요 ==
'''밈'''(meme)은 [[리처드 도킨스]]가 자신의 저서 《[[이기적 유전자]]》에서 신조어로, 다양한 문화들이 유전자 복제처럼 주변에 전파되는 것을 말한다. 밈(meme)이란 단어 자체가 [[유전자]]를 뜻하는 진(gene)에서 파생된 단어이다.
meme
 
[[리처드 도킨스]] 가 [[이기적 유전자]]에서 말로, 다양한 문화들이 유전자 복제처럼 주변에 전파되는 것을 말한다. meme 이란 단어 자체로 유전자를 뜻하는 gene 에서 파생된 단어이다. 이기적 유전자의 [[이기적 유전자#밈|밈]] 문단 참조.


== 밈의 예시 ==
== 밈의 예시 ==
종교로 예를 들어서 우리나라에 가장 많이 퍼진 밈이라면 [[기독교]]가 있다. 우리나라는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지만, 유독 기독교가 득세하고 있는데... <del>기독교계의 태클을 피하기 위해 여기까지만 서술함</del>
[[종교]]로 예를 들어서 [[대한민국]]에 가장 많이 퍼진 밈이라면 [[기독교]]가 있다. 대한민국은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지만, 유독 기독교가 득세하고 있는데... <del>기독교계의 태클을 피하기 위해 여기까지만 서술함</del>
 
놀이 문화로는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고무줄놀이, 땅따먹기 등을 들 수 있겠다.
 
80년대에 태어난 사람이라면 '데덴찌' 를 알고 있을텐데, 약간 놀라운 점은 2015년 현재 중고딩들도 데덴찌를 알고 있다는 점이다. 이 현상을 보면 놀이 문화도 대물림되어 계승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 그 시대에 학창시절을 겪었던 사람이라면 학교에서 나도는 [[유행어]]같은 것들이 있을텐데, [[서울]]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대전]]같은 다른 지역에 놀러 갔다가 그 지역 학생들이 같은 유행어를 쓰는 걸 보고 신기해 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TV에 나왔던 유행어도 아닌데.
놀이 문화로는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고무줄 놀이]], [[땅따먹기]] 등을 들 수 있겠다.


<del>그리고 이걸로 글 쓴 사람의 나이를 짐작할 수 있다.</del>
[[1980년대]]에 태어난 사람이라면 '데덴찌'를 알고 있을텐데, 약간 놀라운 점은 2015년 현재 중고딩들도 데덴찌를 알고 있다는 점이다. 현상을 보면 놀이 문화도 대물림되어 계승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 밈의 실 예시를 들었는데 아니라고 생각하시는 분은 자유롭게 수정 바랍니다.
또 그 시대에 학창시절을 겪었던 사람이라면 학교에서 나도는 [[유행어]] 같은 것들이 있을텐데, [[서울]]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대전]] 같은 다른 지역에 놀러 갔다가 그 지역 학생들이 같은 유행어를 쓰는 걸 보고 신기해 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TV에 나왔던 유행어도 아닌데.


== 관련 항목 ==
== 관련 문서 ==
*[[인터넷 밈]]
*[[인터넷 밈]]
**[[캐릭터 밈]]
**[[캐릭터 밈]]
**[[대사 밈]]
**[[대사 밈]]

2015년 8월 25일 (화) 16:37 판

(meme)은 리처드 도킨스가 자신의 저서 《이기적 유전자》에서 쓴 신조어로, 다양한 문화들이 유전자 복제처럼 주변에 전파되는 것을 말한다. 밈(meme)이란 단어 자체가 유전자를 뜻하는 진(gene)에서 파생된 단어이다.

밈의 예시

종교로 예를 들어서 대한민국에 가장 많이 퍼진 밈이라면 기독교가 있다. 대한민국은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지만, 유독 기독교가 득세하고 있는데... 기독교계의 태클을 피하기 위해 여기까지만 서술함

놀이 문화로는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고무줄 놀이, 땅따먹기 등을 들 수 있겠다.

1980년대에 태어난 사람이라면 '데덴찌'를 알고 있을텐데, 약간 놀라운 점은 2015년 현재 중고딩들도 데덴찌를 알고 있다는 점이다. 이 현상을 보면 놀이 문화도 대물림되어 계승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 그 시대에 학창시절을 겪었던 사람이라면 학교에서 나도는 유행어 같은 것들이 있을텐데, 서울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대전 같은 다른 지역에 놀러 갔다가 그 지역 학생들이 같은 유행어를 쓰는 걸 보고 신기해 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TV에 나왔던 유행어도 아닌데.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