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선버스

Gkscnsrb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4월 5일 (수) 23:26 판

개요

노선에 따라 운행하는 버스를 말한다. 법적인 의미로는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제3조 1항의 노선(路線) 여객자동차운송사업을 말한다.

대중교통으로서의 버스는 노선버스를 가리키는 말이다. 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의 제2조 2항에 명시되어 있다.

종류

운전

1인승무가 일반적이다.

같은 회사의 버스가 마주오면 기사끼리 손을 들어서 인사하는 암묵의 룰이 있다.

장단점

다른 대중교통하고 비교했을 때의 장단점이다.

장점

  • 국가에서 설치한 도로를 이용하기 때문에 적은 설비 투자로 운영이 가능하다.
  • 정류장 선정이 유연해 수요처에 가장 가깝게 접근할 수 있다.

단점

  • 도로라는 환경 자체가 돌발 상황이 많아 정시성이 안 좋다.
  • 교통체증과 교통사고를 일으키기도 한다.
  • 철도에 비하면 수송량이 작다. 이에 따라 수송량이 같으면 철도보다 제반 비용(차량, 인건비 등)이 많이 든다.
  • 최고속도가 110km/h로 고속철도, 항공기보다 낮다. 실제로는 엔진 힘이 부족해서 시외 노선 아니면 110km/h 보기도 힘들다.
  • 배기가스로 인해 대기오염을 일으킨다. 유로6 규제, 천연가스버스, 전기버스 등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