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역

KRBOT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2월 17일 (수) 21:09 판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br> +<br/>))
주소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군청로 105-16
노선 경전선 127.4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마산관리역
개업일 틀:날짜/출력
승강장 2면 4선

하동역
河東驛 / Hadong Station

개요

승강장

역사

연혁

주변 정보

경유 노선

경유 노선 목록
삼랑진 방면
횡천 5.4 km
하동 광주송정 방면
진상 6.8 km

경유열차

일반열차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열기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포항-순천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부전-목포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S-Train 경전선}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닫기

승하차량

일반철도

하동역
연도 무궁화호 새마을호 (S-train)
승차 하차 승차 하차
2017 29,275 31,369 2,433 2,343
2016 29,543 30,235 2,894 3,102
2015 32,788 34,550 5,209 6,530
2014 39,219 39,993 6,308 7,639
2013 46,123 46,468 2,497 2,971
  • 이용객 중 순천,부산,마산,창원,진주 방면의 비중이 높다. 하동군 관내인 북천역행 수요는 비중이 적다. 하동시외버스터미널에서 가는 부산행버스는 사상행만 있으므로, 부산역까지 가는 S-train이 1일 2회 밖에 없지만 부산 방면 이용객의 비중이 다소 있다.
  • 진주방면으로는 1시간 걸리고 진교 방면으로 우회하는 버스에 비해 소요시간과 요금에서 우위를 지닌다. 경전선 진주-광양 구간 복선전철 이전에도 우위였지만 선형 직선화로 가격은 더 내려가고 요금은 더 낮아졌다. 그러나 배차간격은 5분의 1가량에 불과하다.
  • 광양 방면 수요는 거의 없다. 광양역이 광양읍 시가지에서 멀리 떨어져 이설했기 때문. 광양 신시가지(중마동)로는 경전선이 들어오지 않고 옥곡 북쪽으로 지나가기 때문에 버스 말고는 갈 수가 없다. 하지만 광양읍에 인접한 순천 방면 수요는 많은 편이다. 순천 수요가 제일 많다.
  • 인구 수에는 큰 변화가 없지만, 2013년 12월 부로 서울발 순천행 #1271,1272 열차가 진주로 단축되면서 열차가 감편된 후 이용객 수가 크게 줄었다. 빠져나간 이용객은 그대로 타 교통수단으로 빠져나간것으로 추정된다. 대부분의 한국 철도역이 고유가가 기세를 올렸던 13-14년도에는 이용객이 늘었지만, 이 역은 고유가의 기세조차 전체 이용객 감소세를 바꾸지 못했다. 이후 저유가 추세로 바뀌며 이용객 수가 15-16년도 사이에 다시 한번 하락한 뒤 이용객 수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새마을호 이용객(S-train)은 유가 추세에 의한 등락 추이를 그대로 따라갔다.
  • 13-14년 사이에 부산발 S-train여수 EXPO까지 운행된 적이 있었는데, 종점이 보성으로 변경된 이후 연간 새마을호[1] 이용객 수가 1000명 가량 줄었다. 이후 유가하락에 의해 이용객이 자차로 대거 이탈했다.

각주

  1. S-train은 새마을호 특실 등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