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약: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 개요 ==
== 개요 ==
[[조선]] 시대에 행해졌던 [[사형]] 방법 중 하나. 다른 사형보다는 많이 우대된 사형이다. ''부모님께 받은 신체를 훼손하는 것은 불효''라는 [[유교]] 사상이 지배하던 조선에서 그나마 신체를 훼손하지 않는 명예로운 사형 방법이기 때문. 잘 이해가 가지 않는다면 조선 후기 [[단발령]]에 대한 반발로 스스로 목숨까지 끊던 사람도 있었던 걸 떠올려보자.
[[조선]] 시대에 행해졌던 [[사형]] 방법 중 하나. 다른 사형보다는 많이 우대된 사형이다. ''부모님께 받은 신체를 훼손하는 것은 불효''라는 [[유교]] 사상이 지배하던 조선에서 그나마 신체를 훼손하지 않는 명예로운 사형 방법이기 때문. 잘 이해가 가지 않는다면 조선 후기 [[단발령]]에 대한 반발로 스스로 목숨까지 끊던 사람도 있었던 걸 떠올려보자. 이 방법도 상당히 고통스럽긴 했으나 [[참수형]]보다는 덜했다<ref>단두대가 있었다면 참수형이 덜 아플 수도 있지만.. 조선 시대에 그런 게 어딨어.</ref>. [[거열형]]과는 비교할 필요도 없고.


많은 사람이 사약의 뜻을 먹고 죽는 약이라 사약이라고 알고 있는데, '''전혀 아니다.''' 사약의 진짜 뜻은 [[왕]]이 하'''사'''하는 '''약'''이란 뜻이다. [[드라마]]에서 사약을 마시고 바로 죽는 경우가 있는데, '''이건 전혀 사실과 다르다.'''
많은 사람이 사약의 뜻을 먹고 죽는 약이라 사약이라고 알고 있는데, '''전혀 아니다.''' 사약의 진짜 뜻은 [[왕]]이 하'''사'''하는 '''약'''이란 뜻이다. [[드라마]]에서 사약을 마시고 바로 죽는 경우가 있는데, '''이건 전혀 사실과 다르다.'''

2015년 8월 18일 (화) 13:11 판

폭력적 내용 주의 이 부분 아래에는 부적절한 내용(폭력성)을 포함하고 있어, 열람에 주의 및 보호자의 지도가 필요합니다.

賜藥 死藥


개요

조선 시대에 행해졌던 사형 방법 중 하나. 다른 사형보다는 많이 우대된 사형이다. 부모님께 받은 신체를 훼손하는 것은 불효라는 유교 사상이 지배하던 조선에서 그나마 신체를 훼손하지 않는 명예로운 사형 방법이기 때문. 잘 이해가 가지 않는다면 조선 후기 단발령에 대한 반발로 스스로 목숨까지 끊던 사람도 있었던 걸 떠올려보자. 이 방법도 상당히 고통스럽긴 했으나 참수형보다는 덜했다[1]. 거열형과는 비교할 필요도 없고.

많은 사람이 사약의 뜻을 먹고 죽는 약이라 사약이라고 알고 있는데, 전혀 아니다. 사약의 진짜 뜻은 이 하하는 이란 뜻이다. 드라마에서 사약을 마시고 바로 죽는 경우가 있는데, 이건 전혀 사실과 다르다.

개인차가 있지만, 마시고 나서 일정시간이 지나야 약효가 나타난다. 심지어 사약을 마시고 멀쩡히 돌아다니거나 사약때문에 몸이 더 좋아진 경우도 있다.(...) 이렇게 사약이 몸에 안 받는 경우에는 사형이 면제되는 것도 아니라서 스스로 목을 메게 하거나 교살시켰다.복불복

사약을 따뜻한 상태로 마셔야 살해라는 본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사약을 먹인 후 약효를 빨리 나타나게 하기 위해 따뜻한 방에 눕혀 놓는다고도 한다.

전통 사약(?)의 제조법은 따로 기록으로 남겨진 것이 발견되지 않아 현대에 들어서는 실전됐다.

이걸 먹고 죽은 사람

  1. 단두대가 있었다면 참수형이 덜 아플 수도 있지만.. 조선 시대에 그런 게 어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