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리브레 한자사전/民: 두 판 사이의 차이

(백성民과 군주主)
 
4번째 줄: 4번째 줄:
|간체자 =
|간체자 =
|정체자 =民
|정체자 =民
|뜻 =백성
|뜻 소리 = 백성 []
|소리 =
|획수 =5
|획수 =5
|신자체 획수 =
|신자체 획수 =

2024년 5월 10일 (금) 02:26 기준 최신판

백성 [민]

정자[韓/臺]
신자체 [日]
간체자 [中]



CJK Unified Ideographs
U+6C11
부 5획
뜻과 소리 백성 [민]
중고한어miɪn
어문회 급수8급
정체자
쓰는 순서
CJK Unified Ideographs
U+6C11
부 5획
뜻과 소리 백성 [민]
훈독(訓読)たみ
음독(音読)
오음(呉音)ミン
한음(漢音)ビン
쓰는 순서
CJK Unified Ideographs
U+6C11
부 5획
뜻과 소리 백성 [민]
병음mín
쓰는 순서

백성, 사람들, 민속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한자 유래/서체[편집 | 원본 편집]

民-bronze.svg
금문
民-bigseal.svg
대전
民-seal.svg
전서
民-명조.svg
명조
民-명조-중국홍콩대만.svg
명조
(중국, 홍콩, 대만)
民-칸테이류.svg
칸테이류



용례[편집 | 원본 편집]

  • 민(民): 백성
  • 민간(民間)
  • 민요(民謠)
  • 민화(民畵)
  • 민란(民亂)
  • 인민(人民): 민중을 나타낸다.
  • 공민(共民):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사람들을 말한다.
  • 국민(國民): 전통적 의미: 국가(國)에 속한 백성(民). 현대적 의미: 나라의 주인인 사람들.
  • 만민(萬民)
    • 로마 만민법(-萬民法): 로마에서 로마 시민권을 가지지 못한 외국인에게 적용하기 위해 제정한 법.
  • 관민(官民): 관리와 백성을 아우르는 말.
    • 관민공동회(官民共同會)
  • 시민(市民)
  • 민중(民衆)
  • 민주(民主): 주권이 백성[1]에게 있음.
  • 민주주의(民主主意)
    • 사회민주주의(社會民主主意/社民主意)
    • 자유민주주의(自由民主主意)
    • 인민민주주의(人民民主主意)
  • 민주공화국(民主共和國): 시민이 주체가 되는 공화국.
  • 민주당(民主黨): 많은 자유주의 정당에서 쓰고 있는 정당 이름.
  • 민족(民族): 한 나라나 공동체, 문화의 주체가 되는 주민.
    • 소수민족(少數民族): 구성 인구가 주류 민족보다 적은 민족.
    • 민족주의(民族主意)
    • 민족당(民族黨)
  • 원주민(原住民): 그 땅에서 원래 살고 있던 주민.

한자성어[편집 | 원본 편집]

  1. 국민의 전통적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