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메사추세츠 공과대학교'''는 보스턴에 있는 대학교이다. 분류:대학교)
 
(내용 확장.)
1번째 줄: 1번째 줄:
'''메사추세츠 공과대학교'''는 [[보스턴]]에 있는 대학교이다.
{{넘겨주기 있음|MIT}}


[[분류:대학교]]
== 개요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약칭 '''MIT''')는 [[미국]] [[매사추세츠]] 주 케임브릿지 시에 위치한 연구중심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1861년에 설립이 승인되었다. 세계 최고의 대학교 중 하나로 흔히 꼽힌다.
 
== 캠퍼스 ==
 
주 캠퍼스는 보스턴 근교의 연구도시 케임브릿지 시의 찰스 강변에 위치해 있다. 또 다른 최상급 사립 명문대인 하버드 대학교와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다.
 
2014-15년 기준 US News 랭킹은 [[미국]] 7위, QS 랭킹은 세계 1위, Times 랭킹은 5위에 랭크되어 있다.
 
== 학사 ==
 
MIT는 대략 다음과 같은 5개의 학부(school)로 이루어져 있고 총 44개의 학사과정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건축학 및 도시계획 전공(School of Architecture and Planning)
* 공학 및 응용과학 전공(School of Engineering)
* 인문사회과학 전공(School of Humanities, Arts, and Social Sciences)
* 슬로언 경영학부(Sloan School of Management)
* 이학 전공(School of Science)
 
여담이지만 동양인 및 유대인 재학생이 매우, '''매우''' 많다. 공학 및 과학 분야 인지도 및 명성 측면에서는 그야말로 세계적으로 넘사벽이기 때문에 한국 이공계 대학원 유학의 경우, [[스탠퍼드 대학교]]와 함께 선호도 투톱을 몇 십 년째 유지중이며, [[서울대학교]], [[카이스트]], [[연세대학교]] 등 국내 상위권 학부 출신 유학생의 수 또한 두드러질 정도로 많다. 대학원생 중 44%가 유학생일 정도로 전 세계에서 상위권 학생들을 진공청소기처럼 빨아들이고 있다.
 
인접한 [[하버드 대학교]] 및 [[하버드 대학교]] 메디컬 스쿨과 MD-PhD 등 공동 학위 과정도 다수 운영하고 있다.
 
== 유명 인물 ==
 
2015년 기준 81명의 [[노벨상]] 수상자 및 2명의 [[필즈상]] 수상자를 배출하였다. MIT를 졸업했거나, 박사학위를 받았거나, 해당 학교에서 교수 및 연구원으로 재직한 바 있는 유명 인물은 그야말로 셀 수 없이 많다. 이공계만 따지면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 GM의 CEO[[알프레드 슬로언]] 등이 있으며 인문사회계에도 [[코피 아난]] UN 전 사무총장, [[벤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전 총리, 언어학자 [[노엄 촘스키]] 본교 교수 등이 있다. 따라서 MIT는 단순히 공과대학이 아니라 명실상부한 세계 정상급 명문 종합대학교로서 기능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15년 7월 7일 (화) 04:48 판

틀:넘겨주기 있음

개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약칭 MIT)는 미국 매사추세츠 주 케임브릿지 시에 위치한 연구중심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1861년에 설립이 승인되었다. 세계 최고의 대학교 중 하나로 흔히 꼽힌다.

캠퍼스

주 캠퍼스는 보스턴 근교의 연구도시 케임브릿지 시의 찰스 강변에 위치해 있다. 또 다른 최상급 사립 명문대인 하버드 대학교와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다.

2014-15년 기준 US News 랭킹은 미국 7위, QS 랭킹은 세계 1위, Times 랭킹은 5위에 랭크되어 있다.

학사

MIT는 대략 다음과 같은 5개의 학부(school)로 이루어져 있고 총 44개의 학사과정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건축학 및 도시계획 전공(School of Architecture and Planning)
  • 공학 및 응용과학 전공(School of Engineering)
  • 인문사회과학 전공(School of Humanities, Arts, and Social Sciences)
  • 슬로언 경영학부(Sloan School of Management)
  • 이학 전공(School of Science)

여담이지만 동양인 및 유대인 재학생이 매우, 매우 많다. 공학 및 과학 분야 인지도 및 명성 측면에서는 그야말로 세계적으로 넘사벽이기 때문에 한국 이공계 대학원 유학의 경우, 스탠퍼드 대학교와 함께 선호도 투톱을 몇 십 년째 유지중이며, 서울대학교, 카이스트, 연세대학교 등 국내 상위권 학부 출신 유학생의 수 또한 두드러질 정도로 많다. 대학원생 중 44%가 유학생일 정도로 전 세계에서 상위권 학생들을 진공청소기처럼 빨아들이고 있다.

인접한 하버드 대학교하버드 대학교 메디컬 스쿨과 MD-PhD 등 공동 학위 과정도 다수 운영하고 있다.

유명 인물

2015년 기준 81명의 노벨상 수상자 및 2명의 필즈상 수상자를 배출하였다. MIT를 졸업했거나, 박사학위를 받았거나, 해당 학교에서 교수 및 연구원으로 재직한 바 있는 유명 인물은 그야말로 셀 수 없이 많다. 이공계만 따지면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 GM의 CEO알프레드 슬로언 등이 있으며 인문사회계에도 코피 아난 UN 전 사무총장, 벤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전 총리, 언어학자 노엄 촘스키 본교 교수 등이 있다. 따라서 MIT는 단순히 공과대학이 아니라 명실상부한 세계 정상급 명문 종합대학교로서 기능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