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로고.[1]
누가 길을 묻거든 눈 들어 관악을 보게 하라.
— 정희성, <여기 타오르는 빛의 성전이>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이름 서울대학교(Seoul National University)
위치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관악캠퍼스)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3(연건캠퍼스)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화면 평창대로 1447(평창캠퍼스)[2]
그외
구분 국립대학법인[3]
교목 느티나무
개교일 1946년 8월 22일[4]
면적(m²) 4,736,629[5][6]
상징동물 백학
표어 VERITAS LUX MEA (진리는 나의 빛)
네트워크 대역 (NET-SNU) 147.46.0.0 /16, 147.47.0.0 /16

캠퍼스[편집 | 원본 편집]

관악캠퍼스[편집 | 원본 편집]

서울대학교 대부분의 단과대들이 위치한 곳이며, 서울대 하면 떠오르는 ‘샤’ 모양 대문이 있는 제일 대표적인 캠퍼스이다. 서울대 견학하고 싶으면 평창캠퍼스 같은데 가서 낭패 보지 말고 관악캠퍼스로 가면된다.

넓이[편집 | 원본 편집]

전국 캠퍼스 면적 1위답게 미친듯이 넓다.[7][8] 캠퍼스 부지의 총 면적은 432만 m2이며(모든 캠퍼스 총합), 학술수목원[9]등 기타 학교에 귀속된 부지까지 다 포함하면 793만 m2까지 올라간다. 건물 수는 200개가 넘는다. 연세대학교 신촌캠(85만 m2)과 원주캠(159만 m2)을 합쳐야 겨우 절반이나 따라간다.

윗공대 순환도로의 총 길이는 약 5.25km이며, 최저점과 최고점의 표고차(…)는 200m정도 된다. 정문에서 윗공대까지 안쉬고 걸어 올라가면 30~40분 전후로 소요된다. 1시간 30분(…)이 걸린다는 말도 있지만 약간 과장이 들어가 있다. 그러나 실제로 걸어보면 그런 루머가 나올 만 하다는 정도라는 사실만큼은 확실히 인정하게 된다(…) 학부생들이나 대학원생들 중 러닝덕후들은 순환도로를 조깅코스로 삼는데 어느 정도 지형에 숙달되면[10] 한 바퀴 도는데 약 23~25분정도가 소요된다.[11]

가는 방법[편집 | 원본 편집]

  • 서울대입구역에서 가는 방법
    1. 서울대입구역 3번 출구에서 마사이족이 되어 파워 워킹을 하자.[12]
    2. 서울대입구역 3번 출구에서 나와 5515A,5515B,6512,501,6516,750A를 타고 정문에 갈 수 있다.[13]
    3. 서울대입구역 3번 출구에서 나와 5511을 타고 정문 - 경영대 - 수의대 방면으로 갈 수 있다.
    4. 서울대입구역 3번 출구에서 나와 5513을 타고 정문 - 법대 - 자연대 - 농대 - 아랫공대 방면으로 갈 수 있다.
    5. 서울대입구역 3번 출구에서 나와 카페 커피빈 앞에 있는 셔틀 정류장에서 저녁 7시까지 5~15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셔틀버스를 타고 행정관까지 다이렉트로 갈 수 있다. 이 셔틀은 왕복으로 운행한다.
    6. 윗공대와 농생대학생들을 위한 셔틀버스도 있다. 이 셔틀은 서울대입구역 → 공대 방향으로만 운행하고, 롯데리아 앞에 정류장이 있다.
    7. 서울대입구역 9번 출구에서 나오기만 하면 도착한다.[14]
  • 낙성대역에서 가는 방법
    1. 낙성대역 4번 출구에서 나와 GS주유소 쪽으로 꺾고 장블랑제리 앞에서 관악02를 타고 후문 - 기숙사 방면으로 갈 수 있다.
    2. 낙성대역에서 윗공대까지 운행하는 셔틀버스가 있다. 이 셔틀버스는 다른 버스와 달리 노란색.
  • 신림역에서 가는 방법
    1. 신림역 3번 출구에서 나와 5516을 타고 정문 - 법대 - 자연대 - 농대 - 아랫 공대 방면으로 갈 수 있다.
    2. 신림역 3번 출구에서 나와 6513, 6514, 5528을 타고 정문에 갈 수 있다.
  • 관악산역에서 가는 방법
    1. 서울대학교 정문과 가장 가까운 역인 관악산역에서 내려서 조금만 걸으면 바로 서울대학교 정문이 나온다.
  • 녹두거리, 고시촌의 서울산업정보고 앞에서 셔틀 버스를 타고 행정관까지 다이렉트로 갈 수 있다.
  • 다른 방법도 있지만 이것은 작성자가 꿀을 빨기 위해서 안 적기로 하겠다.

서울대입구역에서 서울대 정문을 통해 들어가는 방향이 특히 교통이 매우 불편하다. 처음 오는 사람들이라면 서울대입구역에서 내리면 ‘기껏해야 10분정도 걸리겠지…’라고 방심하기 마련인데, 어떤 방법으로 가도 평균 30분이 걸린다.[15] 특히 출퇴근 시간에 수많은 교직원, 학생들과 반대로 다른 곳으로 출퇴근 하는 직장인들로 인한 헬게이트가 열린다. 5~7시 사이의 퇴근시간에 새실고개(서울대고개)~서울대입구역 방면을 보고 있자면 뭐라도 뚫어버리고 싶은 충동이 생긴다.

낙성대에서 꿀을 빨 것이라 생각하고 관악02를 타려고 꼼수 부려본 학생들이 오징어쭈꾸미까지 줄이 이어진 거 보고 좌절하는 경우가 많다더라.[16]

윗공대[편집 | 원본 편집]

과천캠퍼스에서 탈출한[17]관악캠퍼스 제일 꼭대기에 위치한 해발 200m의 공대이다. 순환도로 최고 지점은 해발 262m로 해발 66m인 정문보다 196m 더 높다.[18] 가보려 하지말자. 아니 솔직히 가볼 필요가 없다. 왜냐고? 기항과, 전기과, 컴공과, 화공과가 모두 몰려 있는 사실상 공대 액기스이기 때문에 가면 남고/군대 수준의 남자 비율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멀다. 무지막지하게 멀다. 정문에서 윗공대까지 단순 길이가 대략 2km 이상이고, 비선형 길 + 해발고도 감안하면 등산 한다고 생각하는 게 편할 것이다.

아무도 찾지 않는 공대생들을 아래에 두고 인문대, 사회대를 위에 두었다면 매우 건강한 순환이 이루어졌겠지만 캠퍼스 이전하면서 중구난방식으로 지어진 역사 덕분에 불쌍한 공대생들 위에 가서 내려오지도 못하게 만들어두었다. 이처럼 불쌍한 공대생 더 불쌍하게 만드는 최적의 입지조건 덕분에 놀림거리로 자주 사용된다.

  • 얼마나 높고 멀면 정문에서 비가 내리는데 윗공대에서 눈이 내리는 웃지 못할 광경도 벌어진다. 지못미…
  • 말로 표현을 못해서 그렇지 드럽게 힘든 공대 특성상 집에 못 들어가고 밤을 많이 새는데 거기에 윗공대라는 버프까지 걸려서 시험기간에 수건과 같은 빨래물이 걸려 있는 모습도 자주 보인다.
  • 쓸데없이 윗공대에 위치한 301동 302동 건물은 멋있게 생겼다.[19]
  • 참고로 신공학관은 서울시에서 서울타워 다음으로 해발고도가 높다! 그러니 돈들여서 남산타워 가지 말고 여기서 경치를 바라보자. 그러기 위해 공부를 한다. 응? 믿거나 말거나, 날씨만 맑으면 302동에서 여의도 불꽃축제가 그렇게 잘 보인다고…

연건캠퍼스[편집 | 원본 편집]

본래 이곳(대학로, 혜화)에 서울대학교 본교가 있었으나, 1975년 군사정권의 탄압[20]으로 현재의 관악캠퍼스로 대부분의 단과대학이 이전하였다. 2015년 연건캠퍼스에는 의과대학과 간호대학, 치과대학이 있다.

평창캠퍼스[편집 | 원본 편집]

시흥캠퍼스[편집 | 원본 편집]

2018년 배곧신도시에 개교 예정인 20만평(…)의 캠퍼스이다. 부지면적으로 최소 세손가락 안에 드는 관악캠퍼스의 약 2/3정도 되는 이 넓은 땅덩어리를 어디다 쓸까 싶은 생각이 들 텐데 없다. 정말로.

향후 방향[편집 | 원본 편집]

사람들이 대충 예상하는 결과는 연세대학교의 송도캠퍼스 같은 RC(Residence College)형 기숙사유배지이다. RC는 대충 설명하자면 학생들이 기숙사에서 살며 수업을 듣는 ‘기숙형 대학인’인데, 기숙사로 신입생을 보내느냐 재학생을 보내느냐, 의무로 하느냐 자율로 하느냐에 따라 그 방법이 갈린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배곧신도시에서 서울 본 캠퍼스인 관악캠퍼스까지 고속도로가 뚫린다 해도 막히지 않는다고 가정했을 때 최소 40분인지라, 자율로 하면 아무도 갈리가 없다. 그리고 의무로 했을 때 신입생이 가게 되면 유배지(…)에다가[21] 무엇보다도 문제인 건 교내행사[22]나 동아리와 같은 신입생이 꼭 필요한 것들이 마비되게 된다. 재학생이 가게 되면 관악캠퍼스에서도 수업을 들어야 되므로 시흥캠퍼스에서 관악캠퍼스를 왕복해야 되는 끔찍한 상황이 벌어지게 된다.

일부 단과대 혹은 학부만 옮기는 점에 대해선 서울 밖으로 나간다는 상황에서 인서울을 중시하는 우리나라헬조센 특성상 의도하진 않았지만 원세대, 세려대와 같은 분교처럼 될 가능성이 있다. 연세대학교 송도캠퍼스가 했던 것처럼 옮겨도 딱히 타격이 없는 의대를 생각해볼 수도 있는데, 서울대학교는 이미 연건캠퍼스에 의대랑 간호대가 따로 있기 때문에 무리다. 그럼 남은 방법은 all기숙사[23]혹은 국제대학원인데, all기숙사는 교육기관이 없으므로 계약위반에다가 본 캠퍼스에서 1시간 정도 걸리는 거리 때문에 매우 싸게 운영하거나 의무로 하지 않는 이상 아무도 안 갈 것이고, 국제캠퍼스는 서울대학교가 외국인들이 넘쳐나는 학교도 아니고 20만평이나 되는 부지를 전부 사용해 국제캠퍼스를 만들 역량이 되는가가 문제이다.

교내 반응[편집 | 원본 편집]

문제는 어차피 현재 학교 다니는 학부생, 대학원생들에겐 먼 얘기[24]라서 그런지 전혀 관심이 없다. 어차피 방치시켜두면 18년부터 입학하는 신입생들만 피해 볼 것이 뻔해서 그런 것 같다.[25]

대표적인 예로 2013년 총장이 맨 처음 시흥캠퍼스를 만든다고 했을 때, 55대 총학생회에서 반발해 삭발식과 단식을 하고 천막농성을 하는 등 강경한 태도를 보였으나 정작 이를 통해 얻어낸 계약 체결 전 시흥캠퍼스에 대한 학생 총투표가 30%에 달하는 끔찍한 투표율로 무산되게 되었다.[26] 그 후에 56대 총학생회에서 시흥캠퍼스에 대한 학생들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세움단이라는 부서를 만들어 사람들의 관심은 없었지만 활동을 계속 해왔으나, 어처구니없게도 56대 총학생회의 학생회장이 학고로 탈주하는 바람에(…) 무산되어 버렸다.[27] 실제로 서울대학교 학생들에게 이를 물어보면 자세히 알고 있지 못하는 사람들이 태반이다.

결론을 말하자면 노답이다. 본부는 자기 멋대로 처리 중이고 학생들은 관심도 없고…

멀티캠퍼스[편집 | 원본 편집]

SNULife[편집 | 원본 편집]

서울대학교의 유일한 학내 커뮤니티이다. 보통 ‘스랖’이라 줄여 말하고 스누라이프 하는 사람들을 ‘스랖퍼’라고 하기도 한다. 외부에서 보여지는 이미지와는 다르게 교내에서 이미지가 매우 안 좋다. ‘서울대의 일베’라는 말이 있을 정도. 서로의 주장이 너무 강해 키배 그리고 그에 따른 어그로와 분탕이 자주 일어난다는 의견이 있고 또한, 타진요의 실제 본거지이기도 했다.

그래도 유일한 커뮤니티이다 보니 어떤 사건이 일어나면 제일 먼저 공론화되는 곳 중 한 곳이 스누라이프이고 그렇다보니 서울대학교 출신 기자가 스누라이프에 24시간 상주해 있다고 한다. 실제로 2014년에 말 많았던 성추행 관련 사건이 맨 처음 공론화된 곳이 스누라이프이다.

사건[편집 | 원본 편집]

개교/기원에 대한 논란[편집 | 원본 편집]

많은 사람들이 모르는 사실 중 하나가 서울대의 기원에 대한 부분인데, 본부의 공식적인 입장에 따르면 서울대의 기원은 1895년 4월 19일 설립된 ‘법관양성소’이다.[28] 이유는 이 교육기관이 서울대 법대의 기원이기 때문이라 한다. 이러한 주장은 70년 이하의 짧은 역사, 그리고 경성제국대학을 토대로 출발했다는 사실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탈피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기 때문에 총동창회에서 서울대 120년사 편찬을 하려는 움직임이 있었고 이에 서울대 인문·사회·자연 대의 일부 교수들이 이에 반발하면서 논란이 불거지게 되었다.

결국 총동창회는 서울대 120년사가 아닌 서울대 60년사를 편찬하게 되었고[29] 서울대학교의 역사에서 볼 수 있듯이 개교일까지 정정하진 못하고 기원을 바꾸는 것으로 만족했다.정신승리같이 보이는 건 어쩔 수 없는거다.

그런데 약학 대학은 서울대 학교 공식 입장과는 다르게 이번 2015년 6월 12일에 개교 100주년 기념식을 했다. 분명 작년 10월에 서울대학교 68주년 기념식을 했던 거 같은데…단과대랑 본학교랑 따로 노는 국내 1위 대학 수준[30]

출신 인물[편집 | 원본 편집]

정치, 행정[편집 | 원본 편집]

  • 강금실
  • 국회의원 강용석
  • 전라북도지사 강현욱
  • 국무총리 고건
  • 국회의원 고승덕
  • 국회의원 김덕룡
  • 경기도지사 김문수
  • 국회의원 김부겸
  • 김영삼
  • 국무총리 김종필
  • 국무총리 김황식
  • 국회의원 나경원
  • 국무총리 노신영
  • 국회의원 류근찬
  • 국회의원 박주선
  • 국회의원 박찬종
  • 국회의원 박철언
  • 국회의장 박희태
  • 유엔 사무총장 반기문
  • 경기도지사 손학규
  • 충청남도지사 심대평
  • 국회의원 심상정
  • 인천광역시장 안상수 (인천)
  • 국회의원 안철수
  • 우병우
  • 제주특별자치도 도지사 원희룡
  • 보건복지부 장관 유시민
  • 경기도지사 이인제
  • 국회의원 이종걸
  • 국무총리 이한동
  • 국무총리 이해찬
  • 국회의원 이혜훈
  • 국무총리 이회창
  • 변호사 임윤선
  • 국회의원 정동영
  • 국회의원 정몽준
  • 국무총리 정운찬
  • 국회의원 제정구
  • 서울특별시장 조순
  •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조윤선
  • 국회의원 천정배
  • 국회의원 하태경
  • 국회의원 한화갑
  • 국회의원 현경대
  • 국회의원 홍사덕

하도 정치인들이 많이 구속되는 일이 많은데다 정치인들 중 서울대 출신들이 워낙에 많다 보니, 농담조로 서울대학교를 두고 ‘동문들이 교도소에 가장 많이 간 대학교’라고 부르기도 한다.

경제[편집 | 원본 편집]

교수[편집 | 원본 편집]

  • 이어령

문필가[편집 | 원본 편집]

  • 박완서
  • 이문열

음악인[편집 | 원본 편집]

  • 조수미

방송인[편집 | 원본 편집]

최고경영자 과정[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서울대 정문으로도 유명한 ‘샤’ 모양 마크는 ‘국립 서울대학교’의 ‘ㄱㅅㄷ’을 따서 만든 것인데, 군사독재 시절엔 이게 공산당의 약자라는 드립이 있었다.
  2. 바이오 관련 연구 캠퍼스
  3. 2011년 11월 28일부로 ‘국립 서울대학교’에서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로 바뀌었다.
  4. 이에 관한 논란은 서울대학교#개교/기원에 대한 논란에서 확인하기 바란다.
  5. 2014년도 기록에 따르면 순수한 시설부지의 넓이가 저정도인 것이고 학술림, 실험장등을 합치면 7,933,000m²이다. 참고로 순수 건물의 넓이는 1,409,401m²라 한다.
  6. 그냥 한마디로 말해 드럽게 땅을 많이 가지고 있다. 오죽했으면 법인이면서 땅이 너무 많다고 뭐라하는 말이 나올까.
  7. 캠퍼스 면적을 어떻게 따지냐에 따라서 1위가 달라진다. 학교에 귀속된 토지의 면적을 모두 따지면 강원대학교가 3,175만 m2로 1위고, 캠퍼스 울타리 안의 면적만 따지면 서울대학교가 1위, 건물 연면적만 따지면 대구대학교가 1위다.
  8. 영남대학교가 서울대학교보다 크다고 하는데 영남대학교 본 캠퍼스 면적은 272만 m2, 교지 면적은 615만 m2로 서울대에 약간씩 밀린다. 그렇다 해도 영남대도 무식하게 큰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9. 경기도 안양시 서울대학교 관악수목원 및 경기도 수원시의 서울대학교 수원수목원
  10. 신소재공동연구소(해발 110m)에서 신공학관 302동(해발 250m)까지의 미친 오르막을 어떻게 소화하는지가 순환도로 러닝의 과제다.
  11. 10km 달리기 40분 초반대 기록 주력 보유자 기준
  12. 실제로 교수님들이 학생이었던 시절엔 버스도 없어서 걸어 다녔다 카더라
  13. 하지만 정문에서 내린 당신은 필히 후회하게 될 것이다.
  14. 게다가 여기선 학식을 팔고 오후가 되면 분식집으로 바뀐다 카더라
  15. 택시도 심할 땐 10분~20분이 걸릴 수 도 있다. 특히 윗공대라면 필연적으로…
  16. 절대로 작성자는 아니다. 아니라고!
  17. <s~오죽이나 멀었으면 예전엔 과천시에 해당했었다 카더라 실제로 ‘과천캠퍼스’는 자조적인 용어에 해당되며, 해당 지역이 과천시에 해당된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엄연히 신공학관 건설 시점부터 서울특별시 관악구 영역이었고, 서울대학교의 영역은 공식적으로는 관악산 정상까지 달하고 있다. 관악산 정상 근처에 가보면 서울대 마크가 쓰인 표지석이 있고 관악산 정상부터가 경기도 과천시이다. 문제는 신공학관이든 어디든 학내에서 페이스북으로 접속하면 경기도 과천시로 뜨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것은 낙후된 지도서비스의 문제에 해당한다. KAIST도 충청남도 계룡시로 뜬다
  18. 아랫공대와는 다르다! 아랫공대와는!
  19. 그럼 뭐하냐고… 아무도 오질 않는데
  20. 일설에 의하면, 학생들이 데모할 때 도망치지 못하도록 산으로 둘러싸인 곳으로 학교를 옮겨서, 진압 시 몰아서 때려잡기 쉽도록 한 것이라 카더라. 정문부터 최루탄을 던졌을 때, 도망가기 불편하게 하려고 정문에서 계단을 가깝게 배치했다카더라
  21. 정작 연세대학교 송도캠퍼스를 다니고 있는 신입생 말을 들어보면 대학교 생활자체가 처음이라 아무것도 모르기 때문에 딱히 불편함을 못 느낀다는 말도 있다 카더라
  22. 과행사만 생각해도 신입생 빼면 거의 망한다.
  23. 20만평
  24. 라고 해도 이젠 3년밖에 안 남았다. 요즘엔 인터넷에 배곧신도시 광고도 자주 보인다.
  25. 아니면 아무생각 없는 걸 수도…?
  26. 아무리 매 학생회 선거 때마다 투표율이 최저를 넘지 못해 매번 재선거가 이루어질 정도로 시민의식이 없다지만 이 정도면 진지하게 걱정해봐야 할 수준이다.
  27. 현재 57대 학생회에서 다시 세움단이 만들어졌다.
  28. 여기
  29. [1]
  30.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