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승인국: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펌 삭제 및 전체적인 정리 중 (2), 몇 단체는 러시아 승인받음)
(위키백과 펌 삭제 및 전체적인 정리 중 (3))
16번째 줄: 16번째 줄:


== 일부 유엔 회원국에게 승인받은 유엔 비회원국 ==
== 일부 유엔 회원국에게 승인받은 유엔 비회원국 ==
*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러시아와 니카라과, 시리아로부터 독립을 인정받은 국가.
* [[남오세티야]], [[압하지야]]: 둘 다 [[조지아 (나라)|조지아]]에서 독립을 선언한 친 러시아 국가들이다. 러시아, [[니카라과]], [[나우루]], [[베네수엘라]]
** [[2014년]][[노보로시야 연방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였다. 현재 유엔 비회원국인 [[남오세티야]][[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의 독립을 인정하였다.
* [[압하지야]]: [[러시아]]의 지지로 조지아에서 사실상 독립한 이후로 [[니카라과]], [[나우루]], 러시아, [[베네수엘라]], [[시리아]]에게 승인을 받았다. 비회원국인 남오세티아, 도네츠크, 루간스크, 압하지야는 서로를 인정한다. 모두 [[소련]]의 일부였던 친 러시아 나라들이다.
** [[우크라이나]]는 노보로시야 연방국과 그의 구성국들과 함께 독립국 지위를 인정하지 않으며, 자국 영토의 일부라고 주장한다. 도네츠크 인민공화국과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을 강제로 군사적으로 자신들의 영토를 점령한 테러집단으로 규정하기에 노보로시야 연방국을 인정하지 않는다. 우크라이나가 실질적으로 통치중이다. (러시아의 크림 반도 제외)
* [[대만]]: [[하나의 중국]] 정책 탓에 대만과 수교하려면 중국와 단교해야 해서 13개 유엔 회원국과 [[바티칸]]만이 대만을 인정한다.
*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러시아와 시리아로부터 독립을 인정받은 국가.
*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2014년 우크라이나 혁명]]으로 [[우크라이나]]가 친유럽으로 노선을 바꾸자 독립을 선언했다. [[러시아]], [[시리아]], [[북한]]이 나라로 인정한다.
** [[2014년]][[노보로시야 연방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였다. 현재 유엔 비회원국인 [[남오세티야]][[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의 독립을 인정하였다.
* [[북키프로스]]: [[키프로스]] 북부의 튀르키예계 주민들이 세운 나라. 현재 [[튀르키예]]만이 국가로 승인하며, 다른 국가들은 이 국가를 튀르키예의 괴뢰국 취급한다.
** [[우크라이나]]는 노보로시야 연방국과 그의 구성국들과 함께 독립국 지위를 인정하지 않으며, 자국 영토의 일부라고 주장한다. 도네츠크 인민공화국과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을 강제로 군사적으로 자신들의 영토를 점령한 테러집단으로 규정하기에 노보로시야 연방국을 인정하지 않는다. 우크라이나가 실질적으로 통치중이다. (러시아의 크림 반도 제외)
* [[사하라 아랍민주공화국]]: [[모로코]]의 일부로 취급되지만 명목상 영토 일부 지역을 확실히 통제 중이며 꽤 많은 [[아프리카 연합]]에 가입하기도 했다. 41개 유엔 회원국이 나라로 승인했다.
* [[남오세티야]]: [[러시아]]의 지지로 [[조지아 (나라)|조지아]]에서 사실상 독립한 이후로 러시아, [[니카라과]], [[나우루]], [[베네수엘라]] 등에게 승인을 받았다.
* [[코소보]]: 사실상 독립국이나 [[세르비아]]는 여전히 자국 영토로 보고 있다. 97개 유엔 회원국이 나라로 승인했다. [[러시아]]를 위시한 반미 국가들 및 [[스페인]]<ref>[[카탈루냐]] 주에서 독립 요구가 거세다. 결국 2015년에 독립을 선포했었으나 저지되었다.</ref> 등 자국 내에서 분리주의 운동이 일어나는 지역들은 승인하지 않았다.
** [[1991년]]에 조지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였다. 현재 유엔 회원국인 [[러시아]], [[니카라과]], [[베네수엘라]], [[나우루]], [[시리아]] 5개국이 승인하였고, 비회원국인 [[압하지야]], [[트란스니스트리아]], [[아르차흐 공화국]]이 승인하였다.<ref name="tiraspoltimes.com"/><ref>http://lenta.ru/news/2009/12/16/nauru/</ref>
** 조지아는 남오세티야의 독립국 지위를 인정하지 않으며, 자국 영토의 일부라고 주장한다.
* [[북키프로스|북키프로스 튀르크 공화국]]: [[키프로스]] 북부의 터키계 주민들이 세운 나라. 현재 [[터키]]만이 국가로 승인하며, 다른 국가들은 이 국가를 터키의 괴뢰국 취급한다.
** [[1974년]] [[터키]]의 개입으로 [[키프로스]]의 북부에서 터키계 정권이 수립되었다. "터키령 키프로스 연방주"라는 이름을 유지하다가 [[1983년]]에 독립을 선언하였고, 현재 유엔 회원국인 [[터키]]만이 승인하였다. [[이슬람 회의 기구]]는 "터키계 키프로스"라는 이름의 참관국(observer)으로 참여하고 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541호]]는 북키프로스의 성립을 불법이라고 규정했다.<ref>{{웹 인용 |url=http://www.un.int/cyprus/scr541.htm |title=Security Council resolution 220 (1966) on Cyprus |publisher=Un.int |date= |accessdate=2010-06-25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30828074921/http://www.un.int/cyprus/scr541.htm |보존날짜=2003-08-28 |url-status=dead }}</ref>
** [[키프로스]]는 북키프로스의 독립국 지위를 인정하지 않으며, 터키의 [[괴뢰국]]이라고 주장한다.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모로코]]의 일부로 취급되지만 명목상 영토 일부 지역을 확실히 통제 중이고, 꽤 많은 [[아프리카 연합]]에 가입하기도 했다.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SADR)과 [[모로코]] 모두 [[서사하라]]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1976년]] 독립을 선언한 후 총 83개 유엔 회원국과 [[아프리카 연합]]의 승인을 받았다. 후에 일부 국가는 승인을 취소하거나 보류하였다.<ref>{{웹 인용|url=http://awsa.org.au/?page_id=4 |제목=About Western Sahara|저자=Australia Western Sahara Association|날짜=2006-11|확인날짜=2010-01-04}}</ref> 현재 [[서사하라]]는 [[유엔 비자치 지역 목록]]으로 분류되었다.
** [[모로코]]가 서사하라의 2/3을 점령 중이다.
[[파일:Westernsaharamap.png|thumb|붉은색 선이 모로코가 주장하는 국경선, 노란색 영역이 서사하라 지역]]
* [[압하지야]]: [[러시아]]의 지지로 조지아에서 사실상 독립한 이후로 러시아, [[니카라과]], [[나우루]], [[베네수엘라]] 등에게 승인을 받았다.
** [[1992년]]에 조지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였다. 현재 유엔 회원국인 [[러시아]], [[니카라과]], [[베네수엘라]], [[나우루]], [[시리아]] 5개국이 승인하였고, 비회원국인 [[남오세티야]], [[트란스니스트리아]], [[아르차흐 공화국]]이 승인하였다.<ref name="tiraspoltimes.com">{{웹 인용 |url=http://www.tiraspoltimes.com/news/south_ossetia_opens_embassy_in_abkhazia.html |제목=''South Ossetia opens embassy in Abkhazia'' The Tiraspol Times |확인날짜=2017-11-26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0422030914/http://www.tiraspoltimes.com/news/south_ossetia_opens_embassy_in_abkhazia.html |보존날짜=2008-04-22 |url-status=dead }}</ref>
** 조지아는 압하지야의 독립국 지위를 인정하지 않으며, 자국 영토의 일부라고 주장한다.
* [[중화민국]]: [[하나의 중국]] 정책 탓에 중화민국과 수교하려면 본토와 단교해야 해서 14여개국만이 중화민국을 인정한다.
** [[1912년]] [[난징시]]를 수도로 세워진 [[중화민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발발한 [[국공 내전]] 중에 [[중국 공산당]]이 세운 [[중화인민공화국]]에게 영토의 대부분을 빼앗기고 [[동중국해]]의 몇 가지 도서 지방만으로 영역이 축소되었다. [[유엔]]은 창립 시부터 전승국이었던 [[중화민국]]을 '중국'의 정식 대표로로 승인하였으나, [[유엔 총회 결의 제2758호]] 이후부터는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의 대표로 인정하고 있으며, 중화민국의 주권에 대한 사항까지도 [[데 유레|법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것으로 간주하게 되었다. 다만 개별 회원국들은 중화민국의 승인에 관해 다양한 입장을 가지고 있다.<ref name='China'>현재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양측 모두 법적으로 ‘[[하나의 중국]]’임을 주장하며, 각자가 중화의 정통성을 주장하고 있다.</ref> 국가별 관계의 경우 [[영국]], [[소비에트 연방]], [[프랑스]], [[인도]] 등은 2758호 결의 이전에 번복하였고, [[미국]], [[일본]], [[대한민국]] 등 결의 이후에 번복한 국가들도 있다. 따라서 현재 14개 유엔 회원국과 [[성좌 (가톨릭)|성좌]]([[바티칸 시국]])만이 중화민국과 정식 수교를 유지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은 [[중화민국]]의 독립적인 지위를 인정하지 않으며, 중화민국이 보유한 권리 일체를 자국의 권리라고 주장한다.
* [[코소보]]: 사실상 독립국이나 [[세르비아]]는 여전히 자국 영토로 보고 있고, [[러시아]]를 위시한 반미 국가들 및 [[스페인]]<ref>[[카탈루냐]] 주에서 독립 요구가 거세다. 결국 2015년에 독립을 선포했었으나 저지되었다.</ref> 등 자국 내에서 분리주의 운동이 일어나는 지역들은 승인하지 않았다.
** [[코소보]]는 [[2008년]]에 세르비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였다. 현재 109개 유엔 회원국 및 [[중화민국]], [[몰타 기사단]], [[쿡 제도]], [[니우에]]가 코소보의 독립을 승인한 상태다. 유엔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224호]]에 따라 [[1999년]]부터 [[2008년 6월]]까지 코소보를 사실상 통치하였다.
** [[세르비아]]는 코소보의 독립국 지위를 인정하지 않으며, 자국 영토의 일부라고 주장한다.
 
== 어떤 국가에게도 승인받지 않은 유엔 비회원국 ==
* [[서토골랜드]] : 2020년 가나로부터 독립을 선포한 국가이다.
* [[암바조니아]] : 2017년 카메룬에서 영어권 시민들이 독립을 선포한 국가이다.  


== 유엔 비회원국에게만 승인받은 유엔 비회원국 ==
== 유엔 비회원국에게만 승인받은 유엔 비회원국 ==
56번째 줄: 34번째 줄:
** [[1960년]]에 [[영국령 소말릴란드]]로부터 독립하여,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와 함께 [[소말리아]]가 건국되었다. [[1991년]] 소말릴란드는 [[소말리아]]로부터 분리 독립을 선언했다. 현재 유엔 비회원국인 [[중화민국]]이 [[소말릴란드]]의 독립을 인정하였다.<ref>[https://www.mofa.gov.tw/CountryInfo.aspx?CASN=2&n=163&sms=33&s=200 #]</ref>
** [[1960년]]에 [[영국령 소말릴란드]]로부터 독립하여,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와 함께 [[소말리아]]가 건국되었다. [[1991년]] 소말릴란드는 [[소말리아]]로부터 분리 독립을 선언했다. 현재 유엔 비회원국인 [[중화민국]]이 [[소말릴란드]]의 독립을 인정하였다.<ref>[https://www.mofa.gov.tw/CountryInfo.aspx?CASN=2&n=163&sms=33&s=200 #]</ref>
** [[소말리아]]는 소말릴란드의 독립국 지위를 인정하지 않으며, 연방 공화국 구성국으로만 인정한다.
** [[소말리아]]는 소말릴란드의 독립국 지위를 인정하지 않으며, 연방 공화국 구성국으로만 인정한다.
== 어떤 국가에게도 승인받지 않은 유엔 비회원국 ==
* [[서토골랜드]] : 2020년 가나로부터 독립을 선포한 국가이다.
* [[암바조니아]] : 2017년 카메룬에서 영어권 시민들이 독립을 선포한 국가이다.


== 정리 ==
== 정리 ==

2022년 9월 5일 (월) 22:36 판

어떤 국가에게도 승인받지 못함
유엔 비회원국에게만 승인을 받음
일부 유엔 회원국에게 승인을 받은 유엔 비회원국
일부 유엔 회원국에게 승인을 받지 못한 유엔 회원국.

미승인국(未承認國)이란 사실상 나라의 기능과 특징을 갖추고 있으나 국제 사회에서 외교적 승인을 받지 못하는 나라를 가리킨다. 가장 대표적인 미승인국으로 대만이 있는데, 대만은 경제, 정치 체제가 안정되어 있고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라는 특수성을 고려해 일반적으로는 '나라'로 인식되는 편이다.

마이크로네이션은 주권 행사를 한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미승인국으로 보지 않는다.

일부 유엔 회원국에게 승인받지 않은 유엔 회원국

이 경우는 보통 미승인국으로 보지 않는다.

일부 유엔 회원국에게 승인받은 유엔 비회원국

유엔 비회원국에게만 승인받은 유엔 비회원국

어떤 국가에게도 승인받지 않은 유엔 비회원국

  • 서토골랜드 : 2020년 가나로부터 독립을 선포한 국가이다.
  • 암바조니아 : 2017년 카메룬에서 영어권 시민들이 독립을 선포한 국가이다.

정리

명칭 국기 건국선포(년) 영토(㎢) 분쟁국가 비고
중화민국 Flag of the Republic of China.svg 1912 36193 중화인민공화국 1971년에 UN 탈퇴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 Flag of the Turkish Republic of Northern Cyprus.svg 1974 3355 키프로스
사하라 아랍 민주공화국 Flag of Western Sahara.svg 1976 82500 모로코
팔레스타인 Flag of Palestine.svg 1988 6220 이스라엘 2012년에 UN 참관국 지위 획득
트란스니스트리아 몰도바 공화국 Flag of Transnistria (state).svg 1990 4163 몰도바
소말릴란드 공화국 Flag of Somaliland.svg 1991 176120 소말리아
아르차흐 공화국 Flag of Artsakh.svg 1991 3170 아제르바이잔
남오세티야 공화국 Flag of South Ossetia.svg 1991 3885 조지아
압하지야 공화국 Flag of Abkhazia.svg 1992 8660
코소보 공화국 Flag of Kosovo.svg 2008 10887 세르비아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Flag of Donetsk People's Republic.svg 2014 26516 우크라이나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Flag of the Luhansk People's Republic.svg 26684

여담으로 1990년대에 미승인국들이 쏠려있는 이유는 1989년부터 소련이 급격히 붕괴하자 소련의 몇몇 분리주의 지역이 혼란을 틈타 독립을 선포했기 때문이다.

각주

  1. 카탈루냐 주에서 독립 요구가 거세다. 결국 2015년에 독립을 선포했었으나 저지되었다.
  2. #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미승인 국가 목록 문서에서 분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