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K03180417: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틀:전라남도의 기초자치단체}}
{{틀:전라남도의 기초자치단체}}
2020.12/3 행정구역 코드 역순으로 작성 또는 편집 예정
{{틀:여수시의 행정구역}}
{{틀:여수시의 행정구역}}
{{틀:여수시 시내버스}}
{{틀:여수시 시내버스}}
* [[국도 제13호선]]
*: 2020.12/3 구간 문단의 옥과-오수 구간


*전라남도의 도로
*전라남도의 도로
98번째 줄: 93번째 줄:
  {{둘러보기 상자/중첩
  {{둘러보기 상자/중첩
|묶음1 = [[여수시]]
|묶음1 = [[여수시]]
|내용1 = [[여수종합버스터미널]] · [[여천시외버스정류장]]
|내용1 = [[여수종합버스터미널]] · [[여천시외버스정류장]] · [[덕양시외버스정류장]]
|묶음2 = [[순천시]]
|묶음2 = [[순천시]]
|내용2 = [[순천종합버스터미널]] · [[신대시외버스정류소]] · [[송광사공용버스터미널]] · [[곡천공용버스터미널]] · [[주암공용버스터미널]]
|내용2 = [[순천종합버스터미널]] · [[신대시외버스정류소]] · [[송광사공용버스터미널]] · [[곡천공용버스터미널]] · [[주암공용버스터미널]]
124번째 줄: 119번째 줄:
| 제목모양 = background:#FF0000
| 제목모양 = background:#FF0000
| 내용속성 = hlist
| 내용속성 = hlist
| 묶음1 = 순천-광양
| 묶음1 = 순천-광양
| 내용1 =  
| 내용1 =  
{{버스 노선번호|순천||77|{{버스 노선색|전남|순천}}}} · {{버스 노선번호|순천||777|{{버스 노선색|전남|순천}}}} · {{버스 노선번호|광양||990|{{버스 노선색|전남|광양}}}} · {{버스 노선번호|광양||991|{{버스 노선색|전남|광양}}}}
{{버스 노선번호|순천||77|{{버스 노선색|전남|순천}}}} · {{버스 노선번호|순천||777|{{버스 노선색|전남|순천}}}} · {{버스 노선번호|광양||990|{{버스 노선색|전남|광양}}}} · {{버스 노선번호|광양||991|{{버스 노선색|전남|광양}}}}
| 묶음2 = 여수-순천
| 묶음2 = 여수-순천
| 내용2 =
| 내용2 =
{{버스 노선번호|여수||330|{{버스 노선색|전남|여수}}}} · {{버스 노선번호|순천||960|{{버스 노선색|전남|순천}}}}
{{버스 노선번호|여수||330|{{버스 노선색|전남|여수}}}} · {{버스 노선번호|순천||960|{{버스 노선색|전남|순천}}}}
| 묶음3 = 여수-광양
| 묶음3 = 여수-광양
| 내용3 =  
| 내용3 =  
{{버스 노선번호|광양||270|{{버스 노선색|전남|광양}}}} · {{버스 노선번호|여수||610|{{버스 노선색|전남|여수}}}}
{{버스 노선번호|광양||270|{{버스 노선색|전남|광양}}}} · {{버스 노선번호|여수||610|{{버스 노선색|전남|여수}}}}

2021년 11월 5일 (금) 20:57 판




여수군 부군면 통폐합 변동 사항
이전 이후
율촌면 율촌면
구산면
소라면
덕안면
여수면 53개 동리 동정, 서정, 봉산, 신월, 여서, 문수, 오림, 미평, 만성, 덕충리 여수면
왕십리
쌍봉면 용수리
중천, 모사, 오만리 오천리
27개 동리 학용, 웅천, 시전, 여천, 선원, 봉계리 쌍봉면
화장리
군장리
주삼리
소항, 주암리
삼일면 용혈리 일부, 삼동
오산리
해산리
대평, 해지리
쌍봉면 심곡리 안산리
덕안면 장성리
항호, 소제리 소호리
  • 여수군 부군면 통폐합 변동 사항
    돌산군을 폐군하고 여수군에 병합했다.
    구산면 일부가 율촌면에 편입되었고 잔여 지역과 덕안면이 소라면으로 통합되었다.
    돌산군 화개면, 옥정면이 화정면으로 통합되어 여수군에 소속되었다.
    돌산군 금산면, 봉래면이 고흥군에 편입되었다.
    여수군 여수면 21개 동에 동정(東町)이 설치되었다. 동정과 서정은 여수 시가지를 중심으로 동부는 동정, 서부는 서정으로 설치되었다. 여수면 중에서도 정이 설치되지 않은 지역도 있다.
    여수군 여수면 13개 동리에 서정(西町)이 설치되었다.
    쌍봉면 중천리, 모사리, 오만리 일부가 오천리로 통합되어 여수면에 편입되었다.
    덕안면과 구산면 10개 리가 소라면으로 통합되었다.
    율촌면과 구산면 19개 리가 율촌면으로 통합되었다.
    돌산군 태인면 묘도리 일부가 삼일면에 편입되었다.
    덕안면 항호리, 소제리가 소호리로 통합되어 쌍봉면에 편입되었다. 덕안면 장성리와 쌍봉면 심곡리가 안산리로 통합되어 쌍봉면에 편입되었다.
    삼일면 오산리 일부, 대평리, 해지리가 해산리로 통합되어 쌍봉면에 편입되었다.
    화양면은 영역에 변화가 없다.
    돌산군 두남면, 남면, 삼산면은 여수군에 소속되었으며 영역에 변화가 없다.
    돌산군 태인면 7도 3리가 광양군 골약면에 편입되었다.
    돌산군 옥정면 내백일리, 외백일리가 백일리로 통합되어 고흥군 남면에 소속되었다.
    돌산군 옥정면 장도리가 고흥군 동강면에 소속되었다.
    이 외에 대부분의 동리가 통폐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