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is: 두 판 사이의 차이

(생성)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사용자:Pika/대체용 틀 +{{웹사이트 정보))
 
(사용자 9명의 중간 판 2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웹사이트 정보
|이름    = archive.is
|원어이름 =  
|패비콘  =  
|로고    = [[파일:20201204archiveis.jpg|150px]]
|그림    =
|그림설명 =
|URL      = http://www.archive.is
|종류    =
|운영    =
|제작    =
|언어    = [[영어]]
|시작일  =
|종료일  =
|회원가입 =
|라이선스 =
|영리여부 =
|작성언어 =
|비고    =
}}
'''archive.is'''는 특정 웹 페이지를 통째로 백업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다. 이렇게 백업된 웹 페이지를 가리켜 archive.is에서는 '스냅샷(snapshot)'이라 한다.


'''archive.is'''는 특정 웹페이지를 통째로 백업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이다. 이렇게 백업된 웹페이지는 '스냅샷(snapshot)'이라 한다.
== 역사 ==
한국 인터넷 상에서는 2015년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당시 [[리그베다 위키]] 측에서 리그베다 위키 문서를 롤백(되돌리기)하거나 삭제하는 등 운영자 [[청동 (인물)|청동]]이 사유화에 반대하는 네티즌들을 찍어누르는 등 탄압이 심해서 리그베다 위키의 부당함을 다루는 게시글을 보존하기가 여의치 않았고, 이에 청동 반대파들은 자신들의 주장을 다른 사이트를 통해 알리려는 용도 혹은 청동 및 [[청위병]]의 게시물 삭제에 대항하여 이를 입증할 수 있는 증거를 남기려는 용도로 archive.is가 활용되어 주목받았다.


특정 사이트 또는 웹페이지가 삭제되거나 변경될 우려가 있을 때 이를 이용하면 언제 어느 페이지가 존재했는지 알 수 있기 때문에 [[밑장빼기]] 방지용으로 많이 활용된다.
그리고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 이후 약 1달 뒤에 [[여성시대]] 사건이 터지면서 archive.is는 다시금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각종 인터넷 커뮤니티와 위키의 웹페이지·게시물 등이 자주 편집·삭제·훼손 되는 등 변경이 잦아지자 네티즌들은 [[여성시대]] 측의 깽판질을 막기 위해 archive.is를 통해 여성시대 측 네티즌이 자행한 짓들을 남기기 위한 증거를 기반으로 [[팩트폭력]]를 하기 위해 archive.is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 특징 ==
[[웨이백 머신]]과 더불어 특정 사이트 또는 웹 페이지가 삭제되거나 변경될 우려가 있을 때 이를 이용하면 언제 어느 페이지가 존재했는지 알 수 있기 때문에 [[밑장 빼기]] 방지, [[박제]]용으로 많이 활용되며, 웨이백 머신과는 달리 사이트 언어가 한국어로 이루어져 있어서 [[영어]]를 잘 모르는 사람이 접근하기 용이한 편이다.


== 활용 ==
== 활용 ==
=== 백업하기===
;백업하기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입력창이 2개가 있다. 상단의 붉은색 입력창에는 백업할 웹페이지의 [[URL]]을 입력하고 ''submit URL''을 누르면 로딩 뒤에 백업 완성본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백업된 페이지의 [[URL]] 주소는 [[웹브라우저]]의 주소창에 뜬다.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입력창이 2개가 있다. 상단의 붉은색 입력창에는 백업할 웹페이지의 [[URL]]을 입력하고 ''submit URL''을 누르면 로딩 뒤에 백업 완성본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백업된 페이지의 [[URL]] 주소는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뜨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 백업본을 [[하드디스크]]에 저장할 수도 있다.
 
;검색하기
:하단의 검푸른 입력창에는 기존에 백업된 페이지를 찾아볼 수 있다.
 
=== 위키에서의 활용 ===
* [[나무위키]] : 해당 사건들의 증거를 보존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며, 실제 웹페이지의 [[URL]] 뒤에 ''아카이브 (백업본)''이라는 이름으로 archive.is에서 백업한 내용을 추가로 [[링크]]하는 식으로 쓰인다.
* [[리브레 위키]] : 위키 [[문서]] 내용의 원 [[출처]]가 불시에 삭제되는 일을 막기 위해 쓰인다. 특히 [[커뮤니티 사이트]]나 [[위키]]에 올라온 글을 아카이브하여 '이러한 일이 있었다.'를 입증하기 위한 용도로 쓰인다.\


=== 검색하기 ===
== [[디지털 밀레니엄 저작권법]] ==
하단의 검푸른 입력창에는 기존에 백업된 페이지를 찾아볼 수 있다.
본 법에 위배되는 사이트는 아카이브가 불가능하다. 사례로 [[국내야구 갤러리]]가 있다.


== 사례 ==
== 문제 ==
한국 인터넷 상에서는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로 알려졌다. 당시 [[리그베다 위키]] 측에서 데이터를 롤백(뒤돌리기)하거나 삭제하는 등 문서의 훼손이 잦았고, 사람들이 자신들의 주장을 증명하려는 용도 또는 상대의 [[밑장빼기]]를 방지하려는 용도로 archive.is가 활용되어 주목받았다.
* 사용자의 명령으로만 웹 페이지를 보존한다는 점에서 robots.txt 로봇 배제 표준을 무시하며 수집된 웹은 검색에 노출된다. 이로 인해 사이트 소유자 및 콘텐츠 생성자의 데이터 통제권이 무시된다.
* [[Cloudflare]]에서 제공하는 [[DNS]][https://1.1.1.1/ko-KR/ 1.1.1.1]에서의 접속이 불가능하다. Cloudflare 팀의 한 직원은 포럼을 통해 archive.is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나 능력을 지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는 입장을 밝혔다.<ref><small>'''(영어)'''</small> {{웹 인용 |url=https://community.cloudflare.com/t/archive-is-error-1001/18227 |제목=Archive.is - Error 1001 - DNS & Network / 1.1.1.1 - Cloudflare Community |저자= |날짜= |웹사이트=Cloudflare Community |출판사= |확인날짜= }}</ref>


이후 [[여성시대]] 사건이 터지면서 다시금 주목받았다. 각종 인터넷 커뮤니티와 위키의 웹페이지·게시물 등이 자주 편집·삭제·훼손 되는 등 변경이 잦아지자 증거를 만들기 위해 archive.is를 활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나무위키]]의 경우 해당 사건들의 증거를 보존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실제 웹페이지의 [[URL]] 뒤에 ''아카이브 백업본''이라는 이름으로 archive.is에서 백업한 내용을 추가로 링크하는 식이다.
==  같이 보기 ==
* [[인터넷 아카이브]]
* [[시리즈:지식을 지키는 웹 보존하기]]


== 바깥 고리 ==
== 관련 사이트 ==
* [http://archive.is 공식 홈페이지]
* {{언어링크|ko}} [http://archive.is 공식 홈페이지]
* [https://archive.is/librewiki.net archive.is에 백업된 리브레 위키 문서들]
* {{언어링크|en}} [http://blog.archive.is/ 공식 블로그]
* [https://archive.is/librewiki.net archive.is에 백업된 리브레 위키 문서]


{{주석}}
{{각주}}{{소문자 제목}}
[[분류:웹 아카이브]]

2022년 4월 1일 (금) 06:12 기준 최신판

archive.is
20201204archiveis.jpg
웹사이트 정보
URL http://www.archive.is
언어 영어

archive.is는 특정 웹 페이지를 통째로 백업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다. 이렇게 백업된 웹 페이지를 가리켜 archive.is에서는 '스냅샷(snapshot)'이라 한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한국 인터넷 상에서는 2015년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당시 리그베다 위키 측에서 리그베다 위키 문서를 롤백(되돌리기)하거나 삭제하는 등 운영자 청동이 사유화에 반대하는 네티즌들을 찍어누르는 등 탄압이 심해서 리그베다 위키의 부당함을 다루는 게시글을 보존하기가 여의치 않았고, 이에 청동 반대파들은 자신들의 주장을 다른 사이트를 통해 알리려는 용도 혹은 청동 및 청위병의 게시물 삭제에 대항하여 이를 입증할 수 있는 증거를 남기려는 용도로 archive.is가 활용되어 주목받았다.

그리고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 이후 약 1달 뒤에 여성시대 사건이 터지면서 archive.is는 다시금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각종 인터넷 커뮤니티와 위키의 웹페이지·게시물 등이 자주 편집·삭제·훼손 되는 등 변경이 잦아지자 네티즌들은 여성시대 측의 깽판질을 막기 위해 archive.is를 통해 여성시대 측 네티즌이 자행한 짓들을 남기기 위한 증거를 기반으로 팩트폭력를 하기 위해 archive.is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웨이백 머신과 더불어 특정 사이트 또는 웹 페이지가 삭제되거나 변경될 우려가 있을 때 이를 이용하면 언제 어느 페이지가 존재했는지 알 수 있기 때문에 밑장 빼기 방지, 박제용으로 많이 활용되며, 웨이백 머신과는 달리 사이트 언어가 한국어로 이루어져 있어서 영어를 잘 모르는 사람이 접근하기 용이한 편이다.

활용[편집 | 원본 편집]

백업하기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입력창이 2개가 있다. 상단의 붉은색 입력창에는 백업할 웹페이지의 URL을 입력하고 submit URL을 누르면 로딩 뒤에 백업 완성본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백업된 페이지의 URL 주소는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뜨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 백업본을 하드디스크에 저장할 수도 있다.
검색하기
하단의 검푸른 입력창에는 기존에 백업된 페이지를 찾아볼 수 있다.

위키에서의 활용[편집 | 원본 편집]

  • 나무위키 : 해당 사건들의 증거를 보존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며, 실제 웹페이지의 URL 뒤에 아카이브 (백업본)이라는 이름으로 archive.is에서 백업한 내용을 추가로 링크하는 식으로 쓰인다.
  • 리브레 위키 : 위키 문서 내용의 원 출처가 불시에 삭제되는 일을 막기 위해 쓰인다. 특히 커뮤니티 사이트위키에 올라온 글을 아카이브하여 '이러한 일이 있었다.'를 입증하기 위한 용도로 쓰인다.\

디지털 밀레니엄 저작권법[편집 | 원본 편집]

본 법에 위배되는 사이트는 아카이브가 불가능하다. 사례로 국내야구 갤러리가 있다.

문제[편집 | 원본 편집]

  • 사용자의 명령으로만 웹 페이지를 보존한다는 점에서 robots.txt 로봇 배제 표준을 무시하며 수집된 웹은 검색에 노출된다. 이로 인해 사이트 소유자 및 콘텐츠 생성자의 데이터 통제권이 무시된다.
  • Cloudflare에서 제공하는 DNS1.1.1.1에서의 접속이 불가능하다. Cloudflare 팀의 한 직원은 포럼을 통해 archive.is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나 능력을 지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는 입장을 밝혔다.[1]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관련 사이트[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