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KAKIN: 두 판 사이의 차이

(나무위키 히카킨 문서의 기여자입니다. 제 기여분만 올렸으므로 오해 없으시길 바라겠습니다.)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넘겨주기 있음|히카킨|카이하츠 히카루}}
{{인물 정보
{{인물 정보
| 이름      = HIKAKIN
| 이름      = HIKAKIN
149번째 줄: 151번째 줄:
== 각주 ==
== 각주 ==
<references/>
<references/>
[[분류:일본의 인물‏‎]]
[[분류:일본의 가수‏‎]]
[[분류:유튜버]]
[[분류:1989년 출생]]
[[분류:유튜브 영상이 포함된 문서]]

2016년 4월 6일 (수) 01:54 판

틀:넘겨주기 있음

{{{인물이름}}}
인물 정보
본명 카이하츠 히카루 (開發光, かいはつ ひかる)
출생 1989년 4월 21일 (35세)
일본 니가타
국적 일본
학력 고졸
직업 유튜버, 비트박서
웹사이트 http://lineblog.me/hikakin/

일본 내에서 유튜브라는 시장을 개척해준 인물. 그리고 웬만한 연예인 그 이상으로 최정상급 인지도와 파급력을 지니고 있는 유튜버.

채널

2016년 3월 28일 기준 채널 구독자 수 누적 조회수 개설일
HikakinTV 2,922,282명 1,961,794,125 2011년 7월 19일
HikakinGames 1,945,752명 1,075,562,862 2013년 8월 17일
HIKAKIN 1,789,746명 378,244,857 2006년 12월 30일
HikakinBlog 324,361명 19,884,765 2013년 1월 30일
HIKAKIN BEATBOX TV 2 12,046명 569,116 2011년 1월 31일

현재 활동 중인 4개의 채널, 그리고 폐쇄된 1개의 채널을 합해서 총 5개의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구독자 수와 더불어 조회수도 어마어마한데, 영상 하나를 올린다 치면 1~2주 만에 조회수 100만을 가뿐히 넘겨버린다. 아무리 마이너한 채널(HikakinBlog)로 가도 조회수 1만~10만 단위는 기본으로 채울 정도이며, 천 단위의 동영상은 폐쇄된 채널(HIKAKIN BEATBOX TV 2)을 제외하면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HIKAKIN

비트박스와 같은 음악 관련 영상을 올리는 채널. 원래 채널명은 ‘HIKAKIN BEATBOX TV’였으나, 2013년 11월~12월 사이를 기점으로 현재의 채널명인 ‘HIKAKIN’으로 변경되었다.

히카킨이 운영하고 있는 채널 중에서 제일 오래된 채널이며[1], 지금의 히카킨을 만들어준 채널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과거에는 비교적 업로드 횟수가 많았지만 현재에 와서는 두세 달에 한 번꼴로 영상이 올라오는 편.

HIKAKIN BEATBOX TV 2

히카킨이 두 번째로 개설한 채널. 그러나 현재는 이 채널에서 활동하지 않는다. 2011년 7월 6일 이후로 업데이트가 완전히 끊겨버린 상태. 사실상 HikakinTV가 이 채널의 바통을 이어받은 듯하다. 여담으로 자신의 본명을 채널 주소(HikaruKaihatsu)로 사용하고 있다.

HikakinTV

Hikakin~ TV~ Everyday~

ブンブン Hello YouTube. どうも、ヒカキンです。
붐→붐↗ 헬로 유튜브. 히카킨입니다.

현재 히카킨의 주 무대. 일상에 대해서 이야기하거나 여러가지 것들을 소개/리뷰하는 채널이다. 현재 히카킨이 제일 많이 활동하는 곳이며, 매일 오후 7시마다 영상이 올라온다[2]. 영상 길이는 짧으면 3분, 길면 10분 이내.

주로 리뷰하는 상품들은 대부분 싸면 500엔, 비싸면 10,000엔 사이의 잡다한 물품들인데, 그중에서도 ‘일본에는 진짜 별게 다 있구나’, ‘쓸데없이 고퀄리티’, ‘국내 도입이 시급합니다’라는 생각이 절로 들 정도로 특이하거나 참신한 물품들을 많이 리뷰한다. 가끔씩 만 엔~십만 엔 단위의 고가 제품들도 구입해서 리뷰하는데, 아이폰5나 페퍼 등이 대표적.

시청자들을 위해서 가끔씩 경품 응모 이벤트도 시행하고 있다. 2014년 12월 17일에는 크리스마스 특집으로 PS4를 나눠준 적 이 있었는데, 하필 댓글 응모로 진행하는 바람에 무려 100,000개 이상의 댓글이 달렸다.[2] 그리고 2015년 3월 20일에는 구독자 수 200만 돌파 기념으로 아이팟 6대를 추첨을 통해 나눠주기도 했는데, 이번엔 댓글란이 아니라 Google 설문지를 통해서 응모를 진행했다.[3]

초기에는 영미권 시청자들을 고려해서 히카킨이 직접 영어로 진행하는 영상들도 존재했다. 실제로 과거 영상들을 보면 알겠지만 영어 자막을 지원하며, 일본어와 영어가 같이 써져 있는 제목들이 대다수였다.[3]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그런 경향이 줄어들더니 2016년 현재에 와서는 아예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흔하진 않지만 한국과 관련된 영상들도 존재한다. 옛날 영상이긴 하지만 김치볶음밥 만들기라든가 정열맨 라인 스탬프라든가. 영상에서 나오듯이 자신이 제일 좋아하는 웹툰정열맨이라고 한다.

여담이지만 청취 쪽으로 일본어를 공부할 때 매우 유용하다.[4] 한국어 자막이 없기 때문에 초급 리스너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중급/고급 리스너들에게는 확실히 도움이 된다. 구어체 치고는 어법도 정확하고, 가끔씩 사투리나 신조어, 전문 용어가 나오는 걸 제외하면 어려운 단어는 대체로 없는 편. 또한 녹음 상태도 깨끗하고 말을 그렇게 빨리 하는 편도 아니라서 듣기에도 수월하다. 그리고 제품 리뷰라는 것 특성상 의태어나 의성어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고급 어휘를 학습할 때에도 도움이 된다. 실제로 어떤 블로그에선 히카킨의 영상을 교재로 활용하기도 했다.[4]

히카킨과 세이킨 합작의 ‘유튜브 테마송’ 뮤직비디오가 조회수 2,500만을 돌파하며 채널 내 최고 조회수가 되었다. 또한 iTunes 일렉트로닉 차트 1위, 종합 차트 2위를 달성하기도 했다. 음원은 아이튠즈와 레코초쿠에서 구입할 수 있고, 한국에선 서비스를 하지 않는다.

HikakinBlog

잡담 등의 가벼운 일이나 중요치 않은 영상들을 비정기적으로 올리는 채널. 현재 활동 중인 4개의 채널 중에서 제일 활동량이 적은 채널이다.

HikakinGames

게임 실황을 올리는 채널. 여러가지 게임들을 플레이하지만, 주로 마인크래프트, 스플래툰, 몬스터 스트라이크, 퍼즐 앤 드래곤을 지속적으로 플레이한다. 그 외의 게임들, 특히 캐주얼/모바일 게임은 단편적으로 올라오고 있으며, GTA5, 슈퍼 마리오 3D 월드, 마리오 카트 8처럼 몇 편 하다가 중간에 그만두는 경우도 존재한다.

히카킨의 친할아버지가 가끔씩 출연하기도 하는데, 일명 ‘지지킨(ジジキン)’이라고 불린다.

필수요소

니코동에서는 ‘HIKAKINボイパ対決シリーズ’(히카킨 보이퍼[5] 대결 시리즈)라는 태그로 유명하다.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히카킨은 우측에 배치되는데, 누구와 상대하든 좌측 인물에게 항상 지는 역할이다. 일본을 넘어 중국의 비리비리와 한국의 티비플에도 수출되면서 적잖은 MAD들이 양산되고 있다.

논란

히카킨 본인이 직접 저지른 논란거리나 사건/사고는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러나 외부적으로 몇몇 문제가 발생하는 편인데, 자세한 내용은 하단에 후술.

극성 안티

범죄자도 아니고, 비호감 콘셉트도 아닌데도 불구하고 은근 안티들이 많다. 유튜브 댓글란, 니코동 코멘트, 야후 재팬 지식검색, 아마존 재팬, 일본 아이튠즈 등등이 주요 활동지. 사실상 히카킨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들러붙는다.

유튜브의 댓글란과 니코동의 코멘트란은 악플러들로 가득 차 있다. 특히 니코동에선 코멘트 NG 기능의 오용으로 인해 히카킨에게 우호적인 코멘트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야후 지식검색은 그나마 양반이지만 ‘히카킨이 뭐가 좋냐?’, ‘왜 히카킨이 인기가 많은 거죠?’ 식의 질문 아닌 질문들이 꽤 보인다. 히카킨 관련 굿즈/책이 올라오는 아마존이나, 히카킨의 곡이 올라오는 아이튠즈에서도 악플은 기본이고 별점 테러도 심하다.

이 중 제일 심한 건 니코동 안티들. 일단 유튜브에 있는 히카킨 영상들을 니코동으로 많이 불펌한다. 심지어는 야동 사이트인 Xvideo로까지 불펌한 적도 있었다.[6] 그리고 별명까지 지으면서 까는 모습을 보이는데, 제일 유명한 별명은 ‘소리 나는 쓰레기’(音の出るゴミ). 이 별명은 니코동 태그로까지 쓰이고 있다. 그 외에도 히카균(ヒカ菌), 쓰레킨(ゴミキン), Japanese Gay Boy HIKAKIN, 씨바킨(クソキン) 등의 바리에이션들이 있다.

안티들이 히카킨을 까는 이유들은 엄청 많다. 그중에서 한국인 얼굴과 비슷하게 생겼다는 이유로 까기도 하는데, 이는 반박할 여지도 없는 인종차별+외모비하+인격모독성 행위이다. 실제로 니코동의 몇몇 링크로 가보면, 일본인이 일본인한테 춍이라고 욕하는 기이한 광경을 볼 수 있다.

‘극성 빠’들의 서술은 추가 바람.

2015년 불구속 입건 유언비어

사건 요약: 허위 소문 유포자, SNS의 확산력, 기레기들이 삼위일체로 저지른 마녀사냥.

2015년 2월 1일 21:07, 어떤 트위터 유저가 [속보] HIKAKIN, YouTube 광고 수익의 부정 입수가 발각되어 7시 30분경에 불구속 입건이라고 올린 트윗이 일파만파로 퍼져나가면서 벌어진 사건. 거기에다가 순간적으로 야후 재팬의 검색어 1위까지 올라가고, 기자들이 그 소식을 그대로 퍼나르기 시작하면서 일이 점점 더 불어나버렸다.

2015년 2월 1일 23:41, 히카킨은 뒤늦게 트위터로 상황을 알게 되었고, 유언비어니까 믿지 말아달라고 트위터를 통해 공식 해명하였다. 시간을 보면 알겠지만 저게 전부 3시간도 채 안 되는 시간에 일어난 일이었다.

그리고 2015년 2월 2일에 HikakinTV 채널을 통해서도 공식 해명하였다. 그리고 해명 뒤, 야후 재팬 뉴스와 라인 뉴스, 라이브도어 등에서 히카킨이 해명했다는 기사가 오르기도 하였다. 덧붙여서 그 해명 기사는 야후 재팬 뉴스 1면에 실리기까지 했다.

참고로 악의적 루머를 퍼뜨리는 행위는 엄연히 허위사실유포죄명예훼손죄에 해당하며, 이는 가까운 일본도 예외는 아니다. 역으로 저 트위터 유저가 불구속 입건당해도 이상할 게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히카킨과 UUUM 측에서 특별한 말이 나오지 않는 걸 보면 소송으로까지 더 이상 일을 벌리지 않고 하나의 해프닝으로만 넘긴 듯 보인다.

여담

일본과는 정반대로 한국에서는 거의 듣보잡 수준으로 인지도가 바닥이다. 포털 사이트 등지에 한글로 ‘히카킨’이라고 검색하면 거의 아무것도 안 나온다. 그래도 유튜버 리액션(YouTubers React) 동영상에 출연하는 모습이라든가 상위 항목의 필수요소로 접한 사람들이 늘어나곤 있긴 하지만…[7] 아무래도 거의 일본에서만 활동하는 데다가 한국어 자막도 없는 실정이다 보니 당연한 현상인 듯. 그나마 서양권에서는 비트박스와 유튜버로서의 명성 때문에 이름이 꽤 알려져 있는 편이다.

‘開發’라는 성씨가 꽤 특이하고 희귀한 성씨라 ‘카이호츠(かいほつ)’라고 잘못 읽는 사람들이 꽤 있다고 한다. 또한 發이 신체자(発)가 아니라 번체자(發)로 이루어져 있어서 開發과 開発 사이에서 헷갈려하는 사람들도 많다. 게다가 이름마저도 光, ひかる, ヒカル 사이에서 혼동이 일어나고 있는 상황(…). 히카킨이 직접 이에 대해서 언급할 법도 한데 관련 동영상은 하나도 없는 상태이다. 그래서 어느 사이트를 가든 표기가 제각각이지만, 일단은 ‘開發光’이 맞는 표기법이다. 만약 틀린 표기법이라고 밝혀질 경우엔 수정 바람.(참고: 히카킨의 과거 트위터 계정)

특유의 얼굴 개그를 많이 사용한다.(네이버 마토메) 이 외에도 방송 중간중간에 많이 망가지는 편.

주온: 더 파이널에서 사이카와(斉川) 점장 역으로 출연하였다.촬영 현장

코카콜라를 매우 좋아한다. 탄산음료가 필요할 때에는 99%의 확률로 코카콜라를 사용하며, 한국에 없는 코카콜라 관련 굿즈들도 자주 리뷰하는 편이다. HikakinTV를 보다 보면 거의 반고정으로 등장한다고 봐도 된다.

초창기와 비교해서 외모가 많이 바뀌었다. 당시와는 달리 살도 찌고[8] 안경도 쓰다 보니 분위기가 많이 바뀐 게 없지 않아 있다.

관련 인물

각주

  1. 그가 활동을 시작했을 때가 일본어판 유튜브가 아예 없었을 때라 영문판 유튜브에서부터 활동을 시작했다고 한다.
  2. 다만 부득이하게 지키지 못하고 결석하는 경우도 없진 않다. 실제로 2015년 11월 8일부터 11월 12일까지 아무런 소식 없이 나흘이나 영상이 안 올라온 적이 있었는데, 알고 보니 임파선염에 걸려서 입원하고 있느라 영상을 못 찍었던 것이었다.[1]
  3. 주로 2011년~2012년 영상들이 그렇다. 이런 형식을 비슷하게 따르고 있는 사례 중의 하나가 한국 유튜버인 허팝의 채널.
  4. 참고로 이는 히카킨만의 해당 사항이 아니라는 걸 명심하자. 유튜브니코동 등지에서 좋아하는 영상을 보면서 외국어를 자연스럽게 배워가는 사례들 중 하나일 뿐이다.
  5. 보이커션(ボイーカッション)의 약자, 즉 비트박스를 뜻한다.
  6. 참고로 그 동영상은 아직까지도 살아 있다!
  7. 실제로 댓글란을 잘 찾아보면 한국인이 단 댓글도 아주 가끔씩 보이긴 한다.
  8. 62㎏에서 73㎏으로 늘더니, 68㎏으로 뺐다가 다시 70㎏ 돌파. 현재는 70㎏ 초~중반대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