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무지덧널무덤: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어있" 문자열을 "어 있" 문자열로)
15번째 줄: 15번째 줄:
*[[황남대총]]
*[[황남대총]]


==특성==
===특성===
*땅을 파고 관을 안치한 뒤, 부장품을 넣은 덧널을 추가로 둔 다음 위에 돌무더기를 올려 무덤을 만들고 그 위에 다시 흙으로 봉토를 덮는 것이 기본적인 양식이다. 여기서 덧널의 깊이에 따라 지상식, 반지하식, 지하식으로 구분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무덤의 크기가 작아서 별도의 덧널이 없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는 그냥 단순돌무지식이라는 별도의 분류를 쓴다. 이외에 덧널의 갯수에 따라 다시 세부적인 분류가 나뉘는데 1개인 외덧널식, 독곽식, 바깥덧널식의 양식이 존재하며, 2개인 겹덧널식, 양곽식, 쌍곽식으로 구분된다. 이 외에 3개 이상인 여러덧널식이 존재하기도 한다.
*땅을 파고 관을 안치한 뒤, 부장품을 넣은 덧널을 추가로 둔 다음 위에 돌무더기를 올려 무덤을 만들고 그 위에 다시 흙으로 봉토를 덮는 것이 기본적인 양식이다. 여기서 덧널의 깊이에 따라 지상식, 반지하식, 지하식으로 구분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무덤의 크기가 작아서 별도의 덧널이 없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는 그냥 단순돌무지식이라는 별도의 분류를 쓴다. 이외에 덧널의 갯수에 따라 다시 세부적인 분류가 나뉘는데 1개인 외덧널식, 독곽식, 바깥덧널식의 양식이 존재하며, 2개인 겹덧널식, 양곽식, 쌍곽식으로 구분된다. 이 외에 3개 이상인 여러덧널식이 존재하기도 한다.
*한번 무덤을 만들게 되면 추가로 합장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돌무지덧널무덤은 홀무덤을 원칙으로 한다.(물론 따라 죽어서 셀프 [[순장]]하는 경우라면 합장이 가능하기는 하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도굴이 사실상 불가능하여(도굴을 하려면 중장비가 필요하다. 아니면 대규모 인력동원을 하거나) 발굴 시 유물이 상당히 잘 보존된 경우가 많다. 대신 [[굴식돌방무덤]]과 같이 내부에 벽화를 남기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번 무덤을 만들게 되면 추가로 합장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돌무지덧널무덤은 홀무덤을 원칙으로 한다.(물론 따라 죽어서 셀프 [[순장]]하는 경우라면 합장이 가능하기는 하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도굴이 사실상 불가능하여(도굴을 하려면 중장비가 필요하다. 아니면 대규모 인력동원을 하거나) 발굴 시 유물이 상당히 잘 보존된 경우가 많다. 대신 [[굴식돌방무덤]]과 같이 내부에 벽화를 남기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국의 돌무지무덤의 경우 상당히 큰 돌무지를 가진다. 거기에 봉토를 씌우는데, 이 봉토의 여부가 [[고구려]]의 [[돌무지무덤]] 양식과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돌무지무덤의 경우 상당히 큰 돌무지를 가진다. 거기에 봉토를 씌우는데, 이 봉토의 여부가 [[고구려]]의 [[돌무지무덤]] 양식과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2016년 2월 16일 (화) 11:40 판

  • 積石木槨墳

개요

관 위에 나무로 된 덧널을 씌우고, 그 위에 돌무지와 흙(봉토)를 덮어 봉분을 만든 무덤 양식을 의미한다. 다른 별칭으로는 적석목곽분이나 적석봉토분 등의 이름을 사용하기도 한다.

한국의 돌무지덧널무덤

신라 전기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이다. 경주 일대에서 오릉이나 대릉원 일대에 있는 무덤들, 그리고 계림월성 사이에 있는 고분들의 양식이 죄다 이 양식으로 되어 있다고 보아도 틀린 말이 아닐 정도이다.

다음은 발굴이 이루어진 돌무지덧널무덤들의 목록

특성

  • 땅을 파고 관을 안치한 뒤, 부장품을 넣은 덧널을 추가로 둔 다음 위에 돌무더기를 올려 무덤을 만들고 그 위에 다시 흙으로 봉토를 덮는 것이 기본적인 양식이다. 여기서 덧널의 깊이에 따라 지상식, 반지하식, 지하식으로 구분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무덤의 크기가 작아서 별도의 덧널이 없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는 그냥 단순돌무지식이라는 별도의 분류를 쓴다. 이외에 덧널의 갯수에 따라 다시 세부적인 분류가 나뉘는데 1개인 외덧널식, 독곽식, 바깥덧널식의 양식이 존재하며, 2개인 겹덧널식, 양곽식, 쌍곽식으로 구분된다. 이 외에 3개 이상인 여러덧널식이 존재하기도 한다.
  • 한번 무덤을 만들게 되면 추가로 합장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돌무지덧널무덤은 홀무덤을 원칙으로 한다.(물론 따라 죽어서 셀프 순장하는 경우라면 합장이 가능하기는 하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도굴이 사실상 불가능하여(도굴을 하려면 중장비가 필요하다. 아니면 대규모 인력동원을 하거나) 발굴 시 유물이 상당히 잘 보존된 경우가 많다. 대신 굴식돌방무덤과 같이 내부에 벽화를 남기는 것은 불가능하다.
  • 한국의 돌무지무덤의 경우 상당히 큰 돌무지를 가진다. 거기에 봉토를 씌우는데, 이 봉토의 여부가 고구려돌무지무덤 양식과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