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식돌방무덤

  • 橫穴式石室墳

판모양의 돌이나 깬돌을 이용하여 널(관)을 안치하는 돌방(석실)을 만들고 해당 석실의 벽 한쪽에 외부로 통하는 출입구를 만든 뒤 위쪽에 봉토를 씌운 무덤을 의미한다. 한자로는 횡혈식석실분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한국의 굴식 돌방무덤[편집 | 원본 편집]

고구려, 백제 등에서 일찍부터 사용된 무덤 양식이며, 가야의 고분에서도 이 방식을 찾아볼 수 있다. 신라의 경우 초기에는 돌무지덧널무덤을 사용하다가 통일신라시기 이후에 유행을 한 무덤방식이다.

특성[편집 | 원본 편집]

  • 관이 들어가는 방을 돌로 따로 만들기 때문에 껴묻거리(부장품)을 집어넣기 쉽다. 또한 방의 벽에 벽화를 그려두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벽화를 보고 당대의 생활양식이나, 종교관 등을 짐작하는데 도움이 많이 된다.
  • 무덤 밖에서 관이 있는 석실로 들어가는 통로가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도굴에 상당히 취약하다. 물론 아주 오래되어서 무덤인줄도 모르고 있는 바람에 고고학자들이 발굴하게 되는 무령왕릉과 같은 경우도 있지만 상당수의 굴식돌방무덤은 애초에 도굴이 다 되어 있는 경우가 꽤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