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도시철도 2호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사용자:Pika/대체용 틀 +{{철도 노선 정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대구 도시철도 목록}}
{{대구 도시철도 목록}}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노선이름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이름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원어이름 =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2}}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2}}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국가     = {{국기|대한민국}}
|그림alt  =
|나라     = {{나라|대한민국}}
|종류    = [[도시철도]]([[대구 도시철도|대구]]), [[운행계통]]
|종류    = [[도시철도]]([[대구 도시철도|대구]]), [[운행계통]]
|번호    =  
|번호    =  
14번째 줄: 16번째 줄:
|역수    = 29개
|역수    = 29개
|소유자  = [[대구광역시]]
|소유자  = [[대구광역시]]
|운영자  = [[대구도시철도공사]]
|운영자  = [[대구교통공사]]
|개통일  = [[2005년]] [[10월 18일]]
|개통일  = [[2005년]] [[10월 18일]]
|폐지일  =  
|폐지일  =  
|경유노선 =  
|경유노선 =  
|차량기지 = [[문양차량기지사업소]]
|궤간    = 1,435 mm ([[표준궤]])
|궤간    = 1,435 mm ([[표준궤]])
|선로    = 2
|선로    = 2
|전기    = [[직류]] 1,500 V, [[가공전차선]]
|전기    = [[직류]] 1,500 V, [[가공전차선]]
|신호    = [[ATC]]/[[ATO]]
|신호    = [[ATC]]/[[ATO]]
|차량기지 = [[문양차량기지사업소]]
|비고    =  
|비고    =  
}}
}}
29번째 줄: 31번째 줄:


== 역사 ==
== 역사 ==
* [[1996년]] [[12월 19일]] 문양역~사월역 구간 착공
* [[1996년]] [[12월 19일]]: [[문양역|문양]]~[[사월역|사월]] 구간 착공
* [[2005년]] [[10월 18일]] 문양역~사월역 구간 개통
* [[2005년]] [[10월 18일]]: 문양~사월 구간 개통
* [[2007년]] [[6월 4일]] 사월역~영남대역 구간 착공
* [[2007년]] [[6월 4일]]: 사월~[[영남대역|영남대]] 구간 착공
* [[2012년]] [[9월 19일]] 사월역~영남대역 구간 개통
* [[2012년]] [[1월 1일]]: 성서공단역 이름을 [[성서산업단지역|성서산업단지]]로 변경<ref>[https://v.daum.net/v/20111229185911484 대구지하철 2호선 성서공단역,'성서산업단지역'으로 명칭 변경], 뉴시스</ref>
 
* [[2012년]] [[9월 19일]]: 사월~영남대 구간 개통
== 특징 ==
* [[2016년]] [[5월 31일]]: 대구은행역 이름을 대구은행(대구교육청)으로, 대공원역 이름을 대공원(삼성라이온즈파크)로 변경<ref>https://info.daegu.go.kr/newshome/mtnmain.php?mtnkey=articleview&mkey=dsearchlist&mkey2=2&aid=227005&bpage=26&stext=%B8%ED%C4%AA&stext2= 대구시 공공용물 6개소 새로운 명칭 가진다], 대구광역시 뉴스룸</ref>
* [[2019년]] [[1월 7일]]: 신남역 이름을 '''청라언덕'''으로 변경<ref>[https://info.daegu.go.kr/newshome/mtnmain.php?mtnkey=articleview&mkey=dsearchlist&mkey2=2&aid=237637&bpage=4&stext=%BF%AA%B8%ED&stext2= 도시철도역명, 네거리 등 공공용물 명칭 신설·변경], 대구광역시 뉴스룸</ref>


== 역 목록 ==
== 역 목록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
! 번호
! 번호
! km
! km
! 역명
! 정거장
! 연계 노선
! 연계 노선
! colspan="2" | 소재지
! colspan="2" | 소재지
107번째 줄: 110번째 줄:
| [[내당역|내당]]
| [[내당역|내당]]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 [[서구 (대구)|서구]]
| [[대구 서구|서구]]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2}}; color: white;" | 228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2}}; color: white;" | 228
119번째 줄: 122번째 줄:
| [[청라언덕역|청라언덕(신남)]]
| [[청라언덕역|청라언덕(신남)]]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대구|3}} [[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선]]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대구|3}} [[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선]]
| rowspan="3" | [[중구 (대구)|중구]]
| rowspan="3" | [[대구 중구|중구]]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2}}; color: white;" | 230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2}}; color: white;" | 230
204번째 줄: 207번째 줄: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대한민국의 광역전철 노선}}
{{대한민국의 여객열차 및 광역전철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대구 도시철도]]
[[분류:대구 도시철도 2호선| ]]

2024년 1월 19일 (금) 14:22 기준 최신판

대구 도시철도
1호선 2호선 3호선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나라 대한민국
종류 도시철도(대구), 운행계통
구간 문양 ~ 영남대
영업거리 31.4 km
역 수 29개
소유자 대구광역시
운영자 대구교통공사
개통일 2005년 10월 18일
차량기지 문양차량기지사업소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2
전기 직류 1,500 V, 가공전차선
신호 ATC/ATO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문양역경상북도 경산시 대동영남대역 사이를 잇는 대구 도시철도 노선.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번호 km 정거장 연계 노선 소재지
216 0.0 문양 달성군
217 2.9 다사
218 3.9 대실
219 5.3 강창 달서구
220 6.6 계명대
221 7.8 성서산업단지
222 8.6 이곡
223 9.9 용산
(서부법원·검찰청입구)
224 10.8 죽전
225 11.7 감삼
226 12.5 두류
227 13.4 내당 서구
228 14.2 반고개 달서구
229 15.1 청라언덕(신남) 3호선 중구
230 16.1 반월당 1호선 (연결)
231 17.0 경대병원
232 18.1 대구은행(대구교육청) 수성구
233 19.1 범어
234 20.0 수성구청(KBS)
235 20.9 만촌
236 21.8 담티(수성대·대륜)
237 23.6 연호
238 24.6 대공원
(삼성라이온즈파크)
239 25.8 고산
240 26.9 신매
241 28.0 사월
242 29.1 정평 경산시
243 30.2 임당
244 31.4 영남대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