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해양열차: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사용자:Pika/대체용 틀 +철도 노선 정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S-TRAIN||세이부 철도의 라이너 등급 열차}}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노선이름 = 남도해양열차
|이름    = 남도해양열차
|원어이름 =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파일:남도해양열차.jpg]]
|그림    = 남도해양열차.jpg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구 도색
|그림설명 = 구 도색
|국가     = {{국기|대한민국}}
|그림alt  =
|나라     = {{나라|대한민국}}
|종류    = [[운행계통]]([[관광열차]])
|종류    = [[운행계통]]([[관광열차]])
|번호    =  
|번호    =  
18번째 줄: 19번째 줄:
|폐지일  =  
|폐지일  =  
|경유노선 =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경유노선 =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차량기지 =
|궤간    =  
|궤간    =  
|선로    =  
|선로    =  
|전기    =  
|전기    =  
|신호    =  
|신호    =  
|차량기지 =
|비고    =  
|비고    =  
}}
}}
29번째 줄: 30번째 줄:


== 차량 ==
== 차량 ==
[[코레일 7400호대 디젤 기관차|7476호, 7477호]]가 전용 견인기로 지정되어 있고, 무궁화호 디자인리미트 객차 10량을 차출하여 [[기관차]]·[[발전차]] 포함 7량 2편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색은 원래 [[이순신]]을 상징하는 거북선과 학익진을 떠올리는 도색을 사용했었으나, 바다를 형상화한 평범한 도색으로 바뀌었다.
[[한국철도공사 7400호대 디젤기관차|7476호, 7477호]]가 전용 견인기로 지정되어 있고, 무궁화호 디자인리미트 객차 10량을 차출하여 [[기관차]]·[[발전차]] 포함 7량 2편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색은 원래 [[이순신]]을 상징하는 거북선과 학익진을 떠올리는 도색을 사용했었으나, 바다를 형상화한 평범한 도색으로 바뀌었다.
* 1호차(힐링실): 일반석과 함께 전망석(측방 조망)으로 구성되어 있다.
* 1호차(힐링실): 일반석과 함께 전망석(측방 조망)으로 구성되어 있다.
* 2호차(가족실): 일반석과 함께 4인 가족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 2호차(가족실): 일반석과 함께 4인 가족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39번째 줄: 40번째 줄:
코레일관광개발 여행상품 판매 뿐만 아니라 일반 발매도 가능하다. 초기에는 남도해양열차라는 이름에 걸맞게 2편성 모두 남해에 있는 노선만 돌았는 데, 그게 하필 [[경전선]]이다 보니 지독한 공기수송에 시달렸다. 그래서 1개 편성을 중부권으로 옮겨서 전라선 셔틀을 하게 한 것이 현재의 형태로 자리잡았다.
코레일관광개발 여행상품 판매 뿐만 아니라 일반 발매도 가능하다. 초기에는 남도해양열차라는 이름에 걸맞게 2편성 모두 남해에 있는 노선만 돌았는 데, 그게 하필 [[경전선]]이다 보니 지독한 공기수송에 시달렸다. 그래서 1개 편성을 중부권으로 옮겨서 전라선 셔틀을 하게 한 것이 현재의 형태로 자리잡았다.


2개 노선 모두 매일 1왕복한다.
전라선 노선은 매주 목요일부터 월요일까지 운행하고, 경전선 노선은 매주 토요일과 금요일에만 운행한다. 각각 매일 1왕복한다.
 
* 서울~여수엑스포 (2521, 2522)
* 서울~여수엑스포 (2521, 2522)
*: 초기의 서대전~'''순천'''~광주송정 구간을 서울까지 잡아늘리고, 공기수송만 하던 광주송정행을 폐지하고 귀중한 [[전라선]]의 슬롯을 활용해 여수엑스포로 향하는 노선. 사실상 전라선 증편 역할을 한다.
*: 초기의 서대전~'''순천'''~광주송정 구간을 서울까지 잡아늘리고, 공기수송만 하던 광주송정행을 폐지하고 귀중한 [[전라선]]의 슬롯을 활용해 여수엑스포로 향하는 노선. 사실상 전라선 증편 역할을 한다.
* 부산~보성
* 부산~광주송정 (2525, 2526)
*: 초기의 부산~여수엑스포와 마산~광주를 섞어서 돈 안 되는 서부경전선은 과감히 버리고 여수엑스포행은 전라선 타고 내려오는 서울발 열차한테 주고 경전선에 집중한 것이다.
*: 초기의 부산~여수엑스포와 마산~광주를 섞은 노선으로 보성까지 운행했지만,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부활할 때 광주송정까지 다시 연장되었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23년 9월 10일 (일) 18:20 기준 최신판

남도해양열차
구 도색
나라 대한민국
종류 운행계통(관광열차)
구간 서울 ~ 여수엑스포
부산 ~ 광주송정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개통일 2013년 9월 27일
경유노선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남도해양열차(S-train)는 코레일관광개발관광열차로, 남해 지역을 훑는 데 특화되었다.

차량[편집 | 원본 편집]

7476호, 7477호가 전용 견인기로 지정되어 있고, 무궁화호 디자인리미트 객차 10량을 차출하여 기관차·발전차 포함 7량 2편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색은 원래 이순신을 상징하는 거북선과 학익진을 떠올리는 도색을 사용했었으나, 바다를 형상화한 평범한 도색으로 바뀌었다.

  • 1호차(힐링실): 일반석과 함께 전망석(측방 조망)으로 구성되어 있다.
  • 2호차(가족실): 일반석과 함께 4인 가족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 3호차(카페실): 스낵바, 추억의 놀이터와 함께 커플룸(2인 반개실)로 구성되어 있다.
  • 4호차(다례실): 일반석과 함께 다례를 배울 수 있는 다례석(평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 5호차(이벤트룸): 승무원이 이벤트를 여는 공간이다. 후부에는 자전거 거치대가 있다.

스케줄[편집 | 원본 편집]

코레일관광개발 여행상품 판매 뿐만 아니라 일반 발매도 가능하다. 초기에는 남도해양열차라는 이름에 걸맞게 2편성 모두 남해에 있는 노선만 돌았는 데, 그게 하필 경전선이다 보니 지독한 공기수송에 시달렸다. 그래서 1개 편성을 중부권으로 옮겨서 전라선 셔틀을 하게 한 것이 현재의 형태로 자리잡았다.

전라선 노선은 매주 목요일부터 월요일까지 운행하고, 경전선 노선은 매주 토요일과 금요일에만 운행한다. 각각 매일 1왕복한다.

  • 서울~여수엑스포 (2521, 2522)
    초기의 서대전~순천~광주송정 구간을 서울까지 잡아늘리고, 공기수송만 하던 광주송정행을 폐지하고 귀중한 전라선의 슬롯을 활용해 여수엑스포로 향하는 노선. 사실상 전라선 증편 역할을 한다.
  • 부산~광주송정 (2525, 2526)
    초기의 부산~여수엑스포와 마산~광주를 섞은 노선으로 보성까지 운행했지만,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부활할 때 광주송정까지 다시 연장되었다.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

한국철도공사관광열차
운영
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