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자리: 두 판 사이의 차이

(Pikabot (토론)의 1600400판 편집을 되돌림)
태그: 편집 취소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IAU (.*)\.gif +\1 IAU.svg))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별자리 정보
{{별자리 정보
|명칭=사자자리
|이름    = 사자자리
|그림=IAU Leo.gif
|그림     = [[파일:Leo IAU.svg]]
|그림설명=
|그림설명 =  
|라틴어명=Leo
|적경     = 10시 40분<ref>[http://calgary.rasc.ca/constellation.htm#list calgary.rasc.ca 별자리 목록]</ref>
|약자=Leo
|적위     = +13°09’
|소유격=Leonis
|넓이    = 946.964 평방도
|적경=10시 40분<ref>[http://calgary.rasc.ca/constellation.htm#list calgary.rasc.ca 별자리 목록]</ref>
|관측범위 = N82°~S57°<ref>[http://www.ianridpath.com/constellations2.htm ianridpath.com 별자리 목록]</ref>
|적위=+13°09’
|주요별수 =
|남중시기=[[4월 10일]]
|밝은별  =
|관측범위=N82°~S57°<ref>[http://www.ianridpath.com/constellations2.htm ianridpath.com 별자리 목록]</ref>
|이웃    =
|입체각=946.964 deg² (2.296%)
|비고    =  
}}
}}
{{황도 12궁}}
{{황도 12궁}}
== 개요 ==
 
'''사자자리'''(Leo)는 [[황도 12궁]] 중 하나로, 봄철이면 남쪽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별자리]]이다. 전체적인 모습은 서쪽을 향해 앞발을 든 [[사자]]의 모습을 하고 있다. 사자의 앞가슴쯤에 자리하고 있는 가장 밝은 별(α별)은 [[레굴루스]]로 1등성 중에서는 조금 어두운 편에 해당하는 1.4등성이나 사자자리를 구성하는 별들 중에서는 가장 밝은 별이다.
'''사자자리'''(Leo)는 [[황도 12궁]] 중 하나로, 봄철이면 남쪽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별자리]]이다. 전체적인 모습은 서쪽을 향해 앞발을 든 [[사자]]의 모습을 하고 있다. 사자의 앞가슴쯤에 자리하고 있는 가장 밝은 별(α별)은 [[레굴루스]]로 1등성 중에서는 조금 어두운 편에 해당하는 1.4등성이나 사자자리를 구성하는 별들 중에서는 가장 밝은 별이다.



2023년 9월 8일 (금) 00:17 기준 최신판

사자자리
Leo IAU.svg
중앙 적경 10시 40분[1]
중앙 적위 +13°09’
넓이 946.964 평방도
관측 범위 N82°~S57°[2]
물고기자리 양자리 황소자리 쌍둥이자리
게자리 사자자리 처녀자리 천칭자리
전갈자리 궁수자리 염소자리 물병자리
제13궁
뱀주인자리


사자자리(Leo)는 황도 12궁 중 하나로, 봄철이면 남쪽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별자리이다. 전체적인 모습은 서쪽을 향해 앞발을 든 사자의 모습을 하고 있다. 사자의 앞가슴쯤에 자리하고 있는 가장 밝은 별(α별)은 레굴루스로 1등성 중에서는 조금 어두운 편에 해당하는 1.4등성이나 사자자리를 구성하는 별들 중에서는 가장 밝은 별이다.

이 별자리 주변으로 아래 별자리들이 이웃해 있다.

전설[편집 | 원본 편집]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헤라클레스에게 주어진 과목들 중 네메아 계곡의 사자를 물리치는 것이 있었는데 이 때 헤라클레스와 싸웠던 사자가 하늘로 올라가서 별자리가 된 것이 바로 이 사자자리라고 한다.

구성 항성[편집 | 원본 편집]

황도 12궁에 해당할만큼 유서깊은(?) 별자리이다 보니 다수 별들은 고유명이 붙어있다. † 표시가 붙은 이름은 (2018년 3월 21일 기준) IAU 공식 표준 이름 목록에 없는 것들이다.

  • α Leo : 레굴루스 (Regulus) - 사자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 쌍성계로 알려져 있다. 밝기는 1.4등성
  • β Leo : 데네볼라 (Denebola) - 사자 꼬리에 해당하는 별로 두 번째로 밝은별에 해당한다. 안시등급은 2.1등성이며 봄의 대삼각형을 이루는 별 중 하나이다.
  • γ1 Leo : 알기에바 (Algieba)- 사자의 갈기 부분에 있는 별로, 쌍성계로 알려져 있다.
  • δ Leo : 조스마 (Zosma)
  • ε Leo : †알게누비 또는 †디나미데
  • ζ Leo : 아다페라 (Adhafera) - 사자의 갈기 부분에 해당하는 별로 3.4등성이다.
  • η Leo : 알파와 감마 중간에 있는 3.5등급 별.
  • θ Leo : 체르탄 (Chertan) 또는 †코호트 - 사자의 허리 부분에 해당하는 별로 3.3등성에 해당하는 별이다.
  • ι Leo
  • κ Leo
  • λ Leo : 알테르프 (Alterf)
  • μ Leo : 라스알라스 (Rasalas) - 4.1등성의 오렌지색의 어두운 별이다.
  • ο Leo : 수브라 (Subra)

심원 천체[편집 | 원본 편집]

사자자리는 은하를 다수 포함하고 있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 사자자리 유성우 : 매년 11월 중순 사자자리 감마별인 알기에바 근처에서 많은 양의 유성들이 떨어지는 현상이 관측된다.

각주

  1. calgary.rasc.ca 별자리 목록
  2. ianridpath.com 별자리 목록
  3. NGC 3371도 이 은하를 가리킨다. 번호 중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