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륙도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사용자:Pika/대체용 틀 +{{철도 노선 정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대한민국의 광역전철 노선}} +{{대한민국의 여객열차 및 광역전철 노선}}))
79번째 줄: 79번째 줄: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대한민국의 광역전철 노선}}
{{대한민국의 여객열차 및 광역전철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부산 도시철도]]
[[분류:부산 도시철도]]

2022년 1월 12일 (수) 03:46 판

부산 도시철도 및 연계 전철노선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부산김해경전철 동해선
{{{이름}}}
종류 도시철도(부산), 운행계통
구간 경성대·부경대 ~ 이기대어귀삼거리
영업거리 1.9 km
역 수 5개
소유자 부산광역시
개통일 2023년 목표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2
전기 직류 750 V, 배터리

오륙도선부산광역시 남구에 건설할 노면전차 노선으로, 무가선 저상트램 실증노선으로 선정되었다. 실증노선은 이기대까지지만, 전체 계획은 오륙도 해맞이공원까지이다. 원래 명칭은 용호선이었다.

특징

  • 전차선 없이 배터리로 전력을 공급한다.
  • 경성대·부경대역 ~ 부경대학교 부분은 도로가 좁기 때문에 단선이다.
  • 차량기지는 부산환경공단 남부사업소 부근에 건설할 계획이다.

역사

역 목록

번호 km 역명 연계 노선
0.0 경성대·부경대 2호선
1.6
2.9
3.7
4.8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