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나이퍼 (팀 포트리스 2):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7번째 줄: 17번째 줄:
<ref>참고로 고통이 있지만 진통제를 먹어 별 통증이 없다고 한다(...)</ref> 게임 내에 등장하는 병수도 역시 이 약 덕분이다.
<ref>참고로 고통이 있지만 진통제를 먹어 별 통증이 없다고 한다(...)</ref> 게임 내에 등장하는 병수도 역시 이 약 덕분이다.


참고로 스씨 가문(...) 이라는 뉴비 가문의 한명으로,
참고로 스씨 가문 한명으로,
뉴비들은 주로 마키나를 들고 헤드샷이고 뭐고 그냥 막 쏴대서 죽이면 장땡인 플레이를 하고 다닌다.
뉴비들은 주로 마키나를 들고 헤드샷이고 뭐고 그냥 막 쏴대서 죽이면 장땡인 플레이를 하고 다닌다.
<s>이런 몸키나 플레이를 하는 뉴비한테 죽으면 헤비가 스카웃한테 죽은 것 보다 짜증난다</s>
<s>이런 몸키나 플레이를 하는 뉴비한테 죽으면 헤비가 스카웃한테 죽은 것 보다 짜증난다</s>
== 장단점 ==
*장점 : '''강력한 한 방 피해''', '''헤드샷을 통한 확실한 처치 능력''', 압도적인 사거리, 유일무이한 저격수로서 상대팀 스나이퍼의 확실한 카운터, 든든한 아군의 보조화력.
*단점 : 약한 체력, 다소 느린 기동성, '''기습에 취약함''', 정면승부에 약함.
그렇기 때문에 스나이퍼는 잘하고 못하고의 차이가 극단적이다. 잘 하면 적 팀 입장에서 보면 사신이나 다름없지만 반대로 실력이 좋지 못할 경우, 인원 수만 잡아먹는 관전자이며, 특히, 몸샷조차 맞추지 못하는 스나이퍼는 있으나 마나 한 스씨라는 욕을 먹늗다.


== 무기 ==
== 무기 ==

2021년 7월 31일 (토) 19:25 판

팀 포트리스 2의 병과들
공격형 병과
(Offensive)
방어형 병과
(Defensive)
지원형 병과
(Support)
팀 포트리스 2 스카웃 아이콘.png
스카웃
팀 포트리스 2 솔저 아이콘.png
솔저
팀 포트리스 2 파이로 아이콘.png
파이로
팀 포트리스 2 데모맨 아이콘.png
데모맨
팀 포트리스 2 헤비 아이콘.png
헤비
팀 포트리스 2 엔지니어 아이콘.png
엔지니어
팀 포트리스 2 메딕 아이콘.png
메딕
팀 포트리스 2 스나이퍼 아이콘.png
스나이퍼
팀 포트리스 2 스파이 아이콘.png
스파이


니가 만난 모든사람을 죽일 계획쯤은 있어야되지.[1]
— 스나이퍼, "스나이퍼를 만나다" 에서

스나이퍼를 만나다

마마보이

병과 소개

전문가에겐, 규범이라는 게 있지. 예의를 갖추고. 효율적으로. 마주치는 모든 이를 죽일 계획이 있을 것.

뉴질랜드에서 태어난마마보이 명사수 이며, 이름은 공식위키에 나온바로는 믹 먼디라 한다. 저격소총을 가지고 헤드샷으로 적을 죽이는 병과이며, 지원형 병과다. 이동속도는 보통이며, 체력은 125로 낮은편에 속한다. 보통 사람과는 달리 오줌이 3배(...)로 나오는데, 그 이유는 스나이퍼가 색스턴 헤일이 만든 자라테 약을 먹었기 때문이다. [2] 게임 내에 등장하는 병수도 역시 이 약 덕분이다.

참고로 스씨 가문 중 한명으로, 뉴비들은 주로 마키나를 들고 헤드샷이고 뭐고 그냥 막 쏴대서 죽이면 장땡인 플레이를 하고 다닌다. 이런 몸키나 플레이를 하는 뉴비한테 죽으면 헤비가 스카웃한테 죽은 것 보다 짜증난다

장단점

  • 장점 : 강력한 한 방 피해, 헤드샷을 통한 확실한 처치 능력, 압도적인 사거리, 유일무이한 저격수로서 상대팀 스나이퍼의 확실한 카운터, 든든한 아군의 보조화력.
  • 단점 : 약한 체력, 다소 느린 기동성, 기습에 취약함, 정면승부에 약함.

그렇기 때문에 스나이퍼는 잘하고 못하고의 차이가 극단적이다. 잘 하면 적 팀 입장에서 보면 사신이나 다름없지만 반대로 실력이 좋지 못할 경우, 인원 수만 잡아먹는 관전자이며, 특히, 몸샷조차 맞추지 못하는 스나이퍼는 있으나 마나 한 스씨라는 욕을 먹늗다.


무기

밈(meme)

각주

  1. 참고로 이 이름을 가진 도전과제가 있다.
  2. 참고로 고통이 있지만 진통제를 먹어 별 통증이 없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