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도시철도 4호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대한민국의 도시철도 노선}} +{{대한민국의 광역전철 노선}}))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부산 도시철도 목록}}
{{부산 도시철도 목록}}
[[File:전동차 4호선 단일노선도.jpg]]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노선명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노선명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11번째 줄: 10번째 줄:
|노선 =  
|노선 =  
|구간 = [[미남역|미남]] ~ [[안평역|안평]] <small>(12.7 km, 14개)</small>
|구간 = [[미남역|미남]] ~ [[안평역|안평]] <small>(12.7 km, 14개)</small>
|차량기지 = [[안평차량기지]]
|개통일 = [[2011년]] [[3월 30일]]
|개통일 = [[2011년]] [[3월 30일]]
|폐지일 =  
|폐지일 =  
21번째 줄: 19번째 줄:
|신호 = [[ATP]]/[[ATO]]
|신호 = [[ATP]]/[[ATO]]
|최고속도 =  
|최고속도 =  
|차량기지 = [[안평차량기지]]
|주석 =  
|주석 =  
}}
}}


== 개요 ==
'''부산 도시철도 4호선'''(釜山 都市鐵道 四號線)은 부산광역시에서 4번째로 개통한 도시철도 노선으로서, [[부산광역시]] [[동래구]], [[해운대구]], [[기장군]] 등을 통과한다. [[부산교통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날짜/출력|2011-3-30}} 14개 역(8개 지하역, 1개 지상역, 5개 고가역)을 갖춘 [[경전철]]로 개통하였으며, 대한민국의 도시철도 노선으로는 최초로 [[고무차륜]]과 [[콘크리트]] 노면을 도입하였다. 노선 상징색은 <span style="color:{{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span> 파란색이다. 전 구간(미남~안평)을 주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25분이다. 기관사 없이 무인운전되며, 운전실이 없으므로 승객들이 도시철도가 주행하는 방향을 창문을 통해 직접 볼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부산 도시철도 4호선'''(釜山 都市鐵道 四號線)은 부산광역시에서 4번째로 개통한 도시철도 노선으로서, [[부산광역시]] [[동래구]], [[해운대구]], [[기장군]] 등을 통과한다. [[부산교통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날짜/출력|2011-3-30}} 14개 역(8개 지하역, 1개 지상역, 5개 고가역)을 갖춘 [[경전철]]로 개통하였으며, 대한민국의 도시철도 노선으로는 최초로 [[고무차륜]]과 [[콘크리트]] 노면을 도입하였다. 노선 상징색은 <span style="color:{{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span> 파란색이다. 전 구간(미남~안평)을 주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25분이다. 기관사 없이 무인운전되며, 운전실이 없으므로 승객들이 도시철도가 주행하는 방향을 창문을 통해 직접 볼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 연혁 ==
== 연혁 ==
[[2003년]] [[12월 3일]] : 착공<br>
* [[2003년]] [[12월 3일]] : 착공
[[2011년]] [[2월 23일]] : 부산 도시철도 3호선(2단계)에서 부산 도시철도 4호선으로 변경<ref>[http://gwanbo.moi.go.kr/gwanbo/jsp/drm/ezPDFView.jsp?ebookSeq=00000000000000001319088588019000&sPage=25&tocSeq=00000000000000001319088592770000&requestType=SEARCH 국토해양부고시제2011-41호], 2011년 2월 23일</ref><br>
* [[2011년]] [[2월 23일]] : 부산 도시철도 3호선(2단계)에서 부산 도시철도 4호선으로 변경<ref>[http://gwanbo.moi.go.kr/gwanbo/jsp/drm/ezPDFView.jsp?ebookSeq=00000000000000001319088588019000&sPage=25&tocSeq=00000000000000001319088592770000&requestType=SEARCH 국토해양부고시제2011-41호], 2011년 2월 23일</ref>
[[2011년]] [[3월 30일]] : 미남 ↔ 안평 개통
* [[2011년]] [[3월 30일]] : 미남 ↔ 안평 개통
{{-}}


== 역 목록 ==
== 역 목록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 번호
! km
! km
! 번호
! 역명
! colspan="2" | 역명
! 연계 노선
! 접속 노선
! colspan="2" | 소재지
! colspan="2" |소재지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 color: white;" | 401
| style="text-align: right;" | 0.0
| style="text-align: right;" | 0.0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 color: white;" | 401
| [[미남역|미남]]
| [[미남역|미남]]
| 美南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부산|3}} [[부산 도시철도 3호선|3호선]]
| {{대한민국 철도 노선|부산|3}} [[부산 도시철도 3호선|3호선]]
| rowspan="14" style="width: 1.2em;" | [[부산광역시]]
| style="width: 1.2em;"  rowspan="14" | [[부산광역시]]
| rowspan="6" | [[동래구]]
| style="width: 1.2em;"  rowspan="6" | [[동래구]]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 color: white;" | 402
| style="text-align: right;" | 1.0
| style="text-align: right;" | 1.0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 color: white;" | 402
| [[동래역 (도시철도)|동래]]
| [[동래역 (도시철도)|동래]]
| 東萊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부산|1}}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
| {{대한민국 철도 노선|부산|1}}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 color: white;" | 403
| style="text-align: right;" | 1.7
| style="text-align: right;" | 1.7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 color: white;" | 403
| [[수안역|수안]]
| [[수안역|수안]]
| 壽安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 color: white;" | 404
| style="text-align: right;" | 2.4
| style="text-align: right;" | 2.4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 color: white;" | 404
| [[낙민역|낙민]]
| [[낙민역|낙민]]
| 樂民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부산|동해}} [[동해선 광역전철|동해선]] ([[동래역 (한국철도공사)|동래역]])
| {{대한민국 철도 노선|부산|동해}} [[동해선 광역전철|동해선]] ([[동래역 (한국철도공사)|동래역]])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 color: white;" | 405
| style="text-align: right;" | 3.1
| style="text-align: right;" | 3.1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 color: white;" | 405
| [[충렬사역|충렬사]]
| [[충렬사역|충렬사]]
| 忠烈祠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 color: white;" | 406
| style="text-align: right;" | 3.8
| style="text-align: right;" | 3.8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 color: white;" | 406
| [[명장역|명장]]
| [[명장역|명장]]
| 鳴藏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 color: white;" | 407
| style="text-align: right;" | 4.8
| style="text-align: right;" | 4.8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 color: white;" | 407
| [[서동역|서동]]
| [[서동역|서동]]
| 書洞
| style="text-align: left;" |
|
| rowspan="2" | [[금정구]]
| style="width: 1.2em;" rowspan="2" | [[금정구]]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 color: white;" | 408
| style="text-align: right;" | 5.6
| style="text-align: right;" | 5.6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 color: white;" | 408
| [[금사역|금사]]
| [[금사역|금사]]
| 錦絲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 color: white;" | 409
| style="text-align: right;" | 6.4
| style="text-align: right;" | 6.4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 color: white;" | 409
| [[반여농산물시장역|반여농산물시장]]
| [[반여농산물시장역|반여농산물시장]]
| 盤如農産物市場
| style="text-align: left;" |
|
| rowspan="4" | [[금정구]]
| style="width: 1.2em;" rowspan="4" | [[금정구]]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 color: white;" | 410
| style="text-align: right;" | 7.6
| style="text-align: right;" | 7.6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 color: white;" | 410
| [[석대역|석대]]
| [[석대역|석대]]
| 石坮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 color: white;" | 411
| style="text-align: right;" | 9.0
| style="text-align: right;" | 9.0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 color: white;" | 411
| [[영산대역|영산대]]
| [[영산대역|영산대]]
| 靈山大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 color: white;" | 412
| style="text-align: right;" | 10.1
| style="text-align: right;" | 10.1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 color: white;" | 412
| [[동부산대학역|동부산대학]]
| [[동부산대학역|동부산대학]]
| 東釜山大學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 color: white;" | 413
| style="text-align: right;" | 10.9
| style="text-align: right;" | 10.9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 color: white;" | 413
| [[고촌역 (부산)|고촌]]
| [[고촌역 (부산)|고촌]]
| 古村
| style="text-align: left;" |
|
| rowspan="2" | [[기장군]]
| style="width: 1.2em;" rowspan="2" | [[기장군]]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 color: white;" | 414
| style="text-align: right;" | 12.0
| style="text-align: right;" | 12.0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4}}; color: white;" | 414
| [[안평역|안평]]
| [[안평역|안평]]
| 安平
| style="text-align: left;" |
|  
|-
|}
|}


136번째 줄: 120번째 줄:
{{각주}}
{{각주}}
{{대한민국의 광역전철 노선}}
{{대한민국의 광역전철 노선}}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부산 도시철도]]
[[분류:부산 도시철도]]
[[분류:부산 도시철도 4호선| ]]
[[분류:부산 도시철도 4호선| ]]

2020년 11월 20일 (금) 20:06 판

부산 도시철도 및 연계 전철노선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부산김해경전철 동해선
{{{이름}}}
[[파일:파일:부산4호선.jpg|336px|alt=]]
나라 대한민국 대한민국
종류 도시철도 (경전철) / 운행 계통
구간 미남 ~ 안평 (12.7 km, 14개)
소유자 부산광역시
운영자 부산교통공사
개통일 2011년 3월 30일
차량기지 안평차량기지
시설 정보
궤간 1700 mm 콘크리트
선로 2
전기 직류 750 V, 3궤로 전차선
신호 ATP/ATO

부산 도시철도 4호선(釜山 都市鐵道 四號線)은 부산광역시에서 4번째로 개통한 도시철도 노선으로서, 부산광역시 동래구, 해운대구, 기장군 등을 통과한다. 부산교통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틀:날짜/출력 14개 역(8개 지하역, 1개 지상역, 5개 고가역)을 갖춘 경전철로 개통하였으며, 대한민국의 도시철도 노선으로는 최초로 고무차륜콘크리트 노면을 도입하였다. 노선 상징색은 파란색이다. 전 구간(미남~안평)을 주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25분이다. 기관사 없이 무인운전되며, 운전실이 없으므로 승객들이 도시철도가 주행하는 방향을 창문을 통해 직접 볼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연혁

역 목록

번호 km 역명 연계 노선 소재지
401 0.0 미남 3호선 부산광역시 동래구
402 1.0 동래 1호선
403 1.7 수안
404 2.4 낙민 동해선 (동래역)
405 3.1 충렬사
406 3.8 명장
407 4.8 서동 금정구
408 5.6 금사
409 6.4 반여농산물시장 금정구
410 7.6 석대
411 9.0 영산대
412 10.1 동부산대학
413 10.9 고촌 기장군
414 12.0 안평

그 밖에 안평차량사업소 내부에는 안평기지간이역도 있으나, 정식으로 영업하는 역사가 아닌 임시역이다.

각주

틀:대한민국의 광역전철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