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필터 기록

편집 필터 둘러보기 (처음 | 최근 필터의 바뀜 | 과거의 편집 검토하기 | 편집 필터 기록)
기록 59,499에 대한 자세한 정보

2023년 11월 14일 (화) 20:12: Text-Justify (토론 | 기여)님이 백남운에서 "edit" 동작을 수행하여 필터 14이(가) 작동했습니다. 조치: 태그; 필터 설명: 삭제가 신청된 문서 (검사)

편집에서 바뀐 내용

{{삭제|저작권 침해, 문서표절률 78%: [[:파일:카피킬러 기본 결과확인서 - 백남운 일부.pdf]]}}
[[파일:백남운.jpg|섬네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초대 교육상''']]
[[파일:백남운.jpg|섬네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초대 교육상''']]


명령 변수

변수
사용자의 편집 수 (user_editcount)
20729
사용자 계정 이름 (user_name)
'Text-Justify'
사용자 계정 만든 후 지난 시간 (user_age)
232786430
사용자 권한 그룹 (자동으로 부여된 권한 포함) (user_groups)
[ 0 => '*', 1 => 'user', 2 => 'autoconfirmed' ]
문서 ID (page_id)
214017
문서 이름공간 (page_namespace)
0
(이름공간을 뺀) 문서 제목 (page_title)
'백남운'
전체 문서 제목 (page_prefixedtitle)
'백남운'
동작 (action)
'edit'
편집 요약/이유 (summary)
''
이전 콘텐츠 모델 (old_content_model)
'wikitext'
새 콘텐츠 모델 (new_content_model)
'wikitext'
편집 전 과거 문서의 위키텍스트 (old_wikitext)
'[[파일:백남운.jpg|섬네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초대 교육상''']] = 생애 = ===== 출생 ===== 1894년 2월 11일 전북 고창군 아산면 반암리 반암마을에서 백낙규(白樂奎, 1866 ~ 1935)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1912년 19살 나이에 수원농림학교에 입학했다. 이 학교는 수업료가 무료였고 기숙사 생활을 할 수 있었던데다 백남운은 학비보조까지 받았기 때문에 학업에 열중 할 수 있었다. 1915년 수원농림학교를 졸업하고 의무규정에 따라 강화보통학교의 교원으로 발령받아 근무하였다. ===== 교육, 경제학자 활동 ===== 1925년 도쿄상대를 졸업하고 귀국하였다 연희전문하교 상과 교수가 되었으며 이 시기 조선공산당이 비밀리에 창당되었다. 1920년대 국학운동등을 계기로 일제총독부는 지속적인 공산주의 운동탄압과 조선사편수회를 만들어 조선사를 식민사관의 관점에 진행시키고 있었음에도 사회주의는 항일운동과 연결되면서 끈질기게 확산되었갔다. 그는 마르크스의 유묽사관 계급투쟁론의 입장에 서서 조선역사를 강의하여 식민사관의 '정체성론'을 정면으로 비판, 반박하였으며, 강의활동과 함께 저서로 1933년 조선사회경제사를, 1937년 조선봉건사회경제사를 각각 펴냈다. 백남운은 자치운동을 벌이는 인사들의 집중적 공격을 받았으나 이 일로 그는 유명세를 타기도 하였다. == 한국사회경제사 == 1930년대 백남운은 한국사회경제사 연구에서 봉건제 붕괴와 자본주의 맹아에 이르는 한국사의 내재적 발전과 식민지를 통한 외래 자본주의 이식이라는 문제를 동시에 제기하였으나, 이를 본격적으로 연구하지는 못하였다. 해방 이후 내재적 발전론을 제기한 연구자들은 이 문제에 대해 내재적 발전 가능성이 식민지배를 통해 억압·차단되었으며, 외래 자본주의의 이식은 왜곡된 발전으로 이어졌다는 해석을 제출한다. 내재적 발전론의 식민지 인식을 비판하는 학자들은 외래 자본주의의 온전한 이식을 전제로 이를 가능하게 한 한국사의 내재적 발전 과정을 소급적으로 설명하는 데 그쳤다. == 해방 이후 백남운의 한국사 인식, 역사 교육 == 식민지시대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였던 백남운은 해방 이후 조선학술원을 설립하고 경성대학 법문학부 교수, 민족문화연구소 소장, 조선교육심의회 위원 등을 역임하면서 학술과 교육계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했다. 이와 함께 좌익계열 정당(신민당‧사회노동당‧근로인민당)에서정치 활동을 벌이다가 월북하여 1948년 9월 북한의 교육상(교육성의 장관)이 되었다. 1956년1월 교육상을 물러난 백남운은 과학원의 원장으로 취임하여 북한 학술계의 지도적인 활동을이어간다. 『조선사회경제사』(1933)에서는 아시아적 생산양식 문제를 다루지 못했지만, 해방직후 「조선 역사학의 과학적 방법론」(1946)에서는 노예제사회 이전에 ‘아시아적 단계(부여와 삼한)’를 설정하여 시대구분을 시도하였다. 이후 『조선력사』(1951)에서는 구체적으로 ‘아시아적 단계’를 언급하지 않았지만, 자신의 고대 노예제사회설에 기반한 고대사 인식을 확장시켰다. 백남운의 한국사 체계와 인식은 한국전쟁 이후 간행된 역사교과서에 대부분 반영되어 서술되었지만, 고대와 중세의 시대구분 논쟁이 정리되는 1960년대 이후에는 삼국시대봉건사회설에 입각한 교과서 서술이 이루어진다.'
편집 후 새 문서의 위키텍스트 (new_wikitext)
'{{삭제|저작권 침해, 문서표절률 78%: [[:파일:카피킬러 기본 결과확인서 - 백남운 일부.pdf]]}} [[파일:백남운.jpg|섬네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초대 교육상''']] = 생애 = ===== 출생 ===== 1894년 2월 11일 전북 고창군 아산면 반암리 반암마을에서 백낙규(白樂奎, 1866 ~ 1935)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1912년 19살 나이에 수원농림학교에 입학했다. 이 학교는 수업료가 무료였고 기숙사 생활을 할 수 있었던데다 백남운은 학비보조까지 받았기 때문에 학업에 열중 할 수 있었다. 1915년 수원농림학교를 졸업하고 의무규정에 따라 강화보통학교의 교원으로 발령받아 근무하였다. ===== 교육, 경제학자 활동 ===== 1925년 도쿄상대를 졸업하고 귀국하였다 연희전문하교 상과 교수가 되었으며 이 시기 조선공산당이 비밀리에 창당되었다. 1920년대 국학운동등을 계기로 일제총독부는 지속적인 공산주의 운동탄압과 조선사편수회를 만들어 조선사를 식민사관의 관점에 진행시키고 있었음에도 사회주의는 항일운동과 연결되면서 끈질기게 확산되었갔다. 그는 마르크스의 유묽사관 계급투쟁론의 입장에 서서 조선역사를 강의하여 식민사관의 '정체성론'을 정면으로 비판, 반박하였으며, 강의활동과 함께 저서로 1933년 조선사회경제사를, 1937년 조선봉건사회경제사를 각각 펴냈다. 백남운은 자치운동을 벌이는 인사들의 집중적 공격을 받았으나 이 일로 그는 유명세를 타기도 하였다. == 한국사회경제사 == 1930년대 백남운은 한국사회경제사 연구에서 봉건제 붕괴와 자본주의 맹아에 이르는 한국사의 내재적 발전과 식민지를 통한 외래 자본주의 이식이라는 문제를 동시에 제기하였으나, 이를 본격적으로 연구하지는 못하였다. 해방 이후 내재적 발전론을 제기한 연구자들은 이 문제에 대해 내재적 발전 가능성이 식민지배를 통해 억압·차단되었으며, 외래 자본주의의 이식은 왜곡된 발전으로 이어졌다는 해석을 제출한다. 내재적 발전론의 식민지 인식을 비판하는 학자들은 외래 자본주의의 온전한 이식을 전제로 이를 가능하게 한 한국사의 내재적 발전 과정을 소급적으로 설명하는 데 그쳤다. == 해방 이후 백남운의 한국사 인식, 역사 교육 == 식민지시대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였던 백남운은 해방 이후 조선학술원을 설립하고 경성대학 법문학부 교수, 민족문화연구소 소장, 조선교육심의회 위원 등을 역임하면서 학술과 교육계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했다. 이와 함께 좌익계열 정당(신민당‧사회노동당‧근로인민당)에서정치 활동을 벌이다가 월북하여 1948년 9월 북한의 교육상(교육성의 장관)이 되었다. 1956년1월 교육상을 물러난 백남운은 과학원의 원장으로 취임하여 북한 학술계의 지도적인 활동을이어간다. 『조선사회경제사』(1933)에서는 아시아적 생산양식 문제를 다루지 못했지만, 해방직후 「조선 역사학의 과학적 방법론」(1946)에서는 노예제사회 이전에 ‘아시아적 단계(부여와 삼한)’를 설정하여 시대구분을 시도하였다. 이후 『조선력사』(1951)에서는 구체적으로 ‘아시아적 단계’를 언급하지 않았지만, 자신의 고대 노예제사회설에 기반한 고대사 인식을 확장시켰다. 백남운의 한국사 체계와 인식은 한국전쟁 이후 간행된 역사교과서에 대부분 반영되어 서술되었지만, 고대와 중세의 시대구분 논쟁이 정리되는 1960년대 이후에는 삼국시대봉건사회설에 입각한 교과서 서술이 이루어진다.'
편집 전후의 차이 (edit_diff)
'@@ -1,2 +1,3 @@ +{{삭제|저작권 침해, 문서표절률 78%: [[:파일:카피킬러 기본 결과확인서 - 백남운 일부.pdf]]}} [[파일:백남운.jpg|섬네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초대 교육상''']] '
편집 중 추가된 줄 (added_lines)
[ 0 => '{{삭제|저작권 침해, 문서표절률 78%: [[:파일:카피킬러 기본 결과확인서 - 백남운 일부.pdf]]}}' ]
편집이 토르 끝 노드를 통해 바뀌었는 지의 여부 (tor_exit_node)
false
바뀐 시점의 유닉스 시간 기록 (timestamp)
'169996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