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필터 기록

편집 필터 둘러보기 (처음 | 최근 필터의 바뀜 | 과거의 편집 검토하기 | 편집 필터 기록)
기록 10,313에 대한 자세한 정보

2015년 11월 30일 (월) 10:21: Skim (토론 | 기여)님이 자연상수에서 "edit" 동작을 수행하여 필터 0이(가) 작동했습니다. 조치: 태그; 필터 설명: (검사)

편집에서 바뀐 내용

{{학술}}


<big>e</big>
== 개요 ==
자연상수란, [[수학]]에서 [[원주율]]과 함께 자주 쓰이는 상수 중 하나이다. 영어로는 natural constant...는 아니고, Euler's number<ref>사실 Euler's number가 가리키는 상수는 한 개가 아니다. 물론, 자연상수가 가장 대표적이다.</ref>나 Napier's constant라 부른다. Euler는 당연히 [[레온하르트 오일러]]를 말하고, Napier는 [[로그 (수학)|로그]]를 발명한 존 네이피어의 이름. 값은 약 2.71828이며, 고등학교에서 미적분을 배울 때 같이 배울 것이다.
처음 배울 때는 누구나 저 숫자가 어째서 '''자연'''상수인지에 대해 의문을 품을 것이다. 수치상으로는 굉장히 부자연스럽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수치상의 얘기고, 실제 수학에서는 굉장히 깔끔한 결과를 도출한다. 물론, 정의를 그렇게 한 것이기 때문에 깔끔한 경우도 있지만... 어째서 깔끔한지는 아래 정의와 성질 문단을 참조.
== 정의 ==
고교과정에서는 하나의 정의만 배우지만, 사실 정의는 하기 나름이라 굉장히 많은 정의가 존재한다. 아래는 그 일부.
#<math>\lim_{n\to\infty}\left(1+\frac{1}{n}\right)^n=\lim_{x\to0}\left(1+x\right)^{\frac{1}{x}}</math>
#*가장 많이 알고있을 정의. 학교에서는 이 정의를 사용하지만, 이 정의에는 굉장히 큰 문제가 하나 존재한다. '''저 값이 수렴하는지 어떻게 알아?''' 학교에서는 수렴함이 알려져 있다고만 하고 그냥 아무렇지 않게 쓰지만, 저 값이 수렴한다는 사실은 엄연히 증명히 필요한 명제이다. 증명을 고등학교에서 가르치지 않는 이유는 [[단조 수렴 정리]]가 쓰이기 때문. 증명은 [[단조 수렴 정리]] 항목 참조.
#*두 극한값이 같다는 사실은 <math>\frac{1}{n}=x</math>로 치환하면 유도가... 반만 된다. \(n\)이 [[무한대]]로 접근함에 따라 \(x\)는 '''오른쪽'''에서 0으로 접근하기 때문. \(x\)가 음수일 경우에는 따로 증명을 해 줘야한다. 물론, 학교에서는 그냥 그러려니 하고 사용한다.
#[[방정식]] <math>\int_1^x\frac{1}{t}\mathrm{dt}=1</math>의 해. 다르게 설명하면, 그래프 <math>y=\frac{1}{x}</math> 아래의 면적을 1부터 \(x\)까지 구했을 때, 그 값이 1이 되는 \(x\)값을 \(e\)라 정의한 것이다.
#*여기서 <math>\frac{1}{x}</math>의 부정적분을 [[자연로그]]로 정의하기도 한다. 물론 고등학교에선 밑이 \(e\)인 로그를 자연로그로 정의하지만.
#그래프 <math>y=a^x</math>의 \(x=0\)에서의 접선을 구할 때, 접선의 기울기가 1이 되는 \(a\) 값.
#<math>\sum_{n=0}^{\infty}\frac{1}{n!}</math>. [[테일러 급수]]를 사용한 정의이다. 물론, 저 급수가 수렴한다는 사실을 보여야 한다.
== 값 ==
자연상수의 값을 소수점 아래 1000자리 까지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2.71828182845904523536028747135266249775724709369995957496696762772407663035354759457
1382178525166427427466391932003059921817413596629043572900334295260595630738132328627
9434907632338298807531952510190115738341879307021540891499348841675092447614606680822
6480016847741185374234544243710753907774499206955170276183860626133138458300075204493
3826560297606737113200709328709127443747047230696977209310141692836819025515108657463
77211125238978442505695369677078544996996794686445490598793163688923009879312773617821
54249992295763514822082698951936680331825288693984964651058209392398294887933203625094
431173012381970684161403970198376793206832823764648042953118023287825098194558153017567
17361332069811250996181881593041690351598888519345807273866738589422879228499892086805
825749279610484198444363463244968487560233624827041978623209002160990235304369941849146
314093431738143640546253152096183690888707016768396424378140592714563549061303107208510
3837505101157477041718986106873969655212671546889570350354...
더 자세한 수치를 보고싶은 사람은 [http://www.gutenberg.org/files/127/127.txt 여기로]. 100만 자리까지 기록되어있다.
== 성질 ==
일부 성질은 정의와 겹친다.
#<math>\frac{\mathrm{d}}{\mathrm{dx}}e^x=e^x</math>
#<math>\int_1^e\frac{1}{x}\mathrm{dx}=1</math>
#[[초월수]]
#*\(e\)의 발견은 [[원주율]]보다 한참 늦었지만, \(e\)가 초월수임은 원주율이 초월수라는 것보다 늦게 증명되었다.
#모든 양수 \(x\)에 대해, <math>\left(1+\frac{1}{x}\right)^x< e<\left(1+\frac{1}{x}\right)^{x+1}</math>
#*첫 번째 부등식은 <math>\lim_{n\to\infty}\left(1+\frac{1}{n}\right)^n</math>가 수렴함을 증명하는 과정에서 유도된다.
#모든 [[실수]] \(x\)에 대해, <math>e^x\geq x+1</math>
#*미분을 이용하자.
#<math>e^x=\sum_{n=0}^{\infty}\frac{x^n}{n!}</math>
#<math>e^{ix}=\cos x+i\sin x</math>
#*[[오일러의 공식]]이라 부르는 그것. 여기에 <math>x=\pi</math>를 넣으면 그 유명한 <math>e^{i\pi}+1=0</math>이 나온다.
#<math>\left(\cos x+i\sin x\right)^n=e^{inx}=\cos{nx}+i\sin{nx}</math>
#*[[드 므아부르 정리]]
{{각주}}

명령 변수

변수
사용자의 편집 수 (user_editcount)
1127
사용자 계정 이름 (user_name)
'Skim'
사용자 계정 만든 후 지난 시간 (user_age)
11782988
user_mobile
false
문서 ID (page_id)
0
문서 이름공간 (page_namespace)
0
(이름공간을 뺀) 문서 제목 (page_title)
'자연상수'
전체 문서 제목 (page_prefixedtitle)
'자연상수'
동작 (action)
'edit'
편집 요약/이유 (summary)
''
사소한 편집으로 표시할지의 여부 (더 이상 쓰이지 않음) (minor_edit)
false
편집 전 과거 문서의 위키텍스트 (old_wikitext)
''
편집 후 새 문서의 위키텍스트 (new_wikitext)
'{{학술}} <big>e</big> == 개요 == 자연상수란, [[수학]]에서 [[원주율]]과 함께 자주 쓰이는 상수 중 하나이다. 영어로는 natural constant...는 아니고, Euler's number<ref>사실 Euler's number가 가리키는 상수는 한 개가 아니다. 물론, 자연상수가 가장 대표적이다.</ref>나 Napier's constant라 부른다. Euler는 당연히 [[레온하르트 오일러]]를 말하고, Napier는 [[로그 (수학)|로그]]를 발명한 존 네이피어의 이름. 값은 약 2.71828이며, 고등학교에서 미적분을 배울 때 같이 배울 것이다. 처음 배울 때는 누구나 저 숫자가 어째서 '''자연'''상수인지에 대해 의문을 품을 것이다. 수치상으로는 굉장히 부자연스럽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수치상의 얘기고, 실제 수학에서는 굉장히 깔끔한 결과를 도출한다. 물론, 정의를 그렇게 한 것이기 때문에 깔끔한 경우도 있지만... 어째서 깔끔한지는 아래 정의와 성질 문단을 참조. == 정의 == 고교과정에서는 하나의 정의만 배우지만, 사실 정의는 하기 나름이라 굉장히 많은 정의가 존재한다. 아래는 그 일부. #<math>\lim_{n\to\infty}\left(1+\frac{1}{n}\right)^n=\lim_{x\to0}\left(1+x\right)^{\frac{1}{x}}</math> #*가장 많이 알고있을 정의. 학교에서는 이 정의를 사용하지만, 이 정의에는 굉장히 큰 문제가 하나 존재한다. '''저 값이 수렴하는지 어떻게 알아?''' 학교에서는 수렴함이 알려져 있다고만 하고 그냥 아무렇지 않게 쓰지만, 저 값이 수렴한다는 사실은 엄연히 증명히 필요한 명제이다. 증명을 고등학교에서 가르치지 않는 이유는 [[단조 수렴 정리]]가 쓰이기 때문. 증명은 [[단조 수렴 정리]] 항목 참조. #*두 극한값이 같다는 사실은 <math>\frac{1}{n}=x</math>로 치환하면 유도가... 반만 된다. \(n\)이 [[무한대]]로 접근함에 따라 \(x\)는 '''오른쪽'''에서 0으로 접근하기 때문. \(x\)가 음수일 경우에는 따로 증명을 해 줘야한다. 물론, 학교에서는 그냥 그러려니 하고 사용한다. #[[방정식]] <math>\int_1^x\frac{1}{t}\mathrm{dt}=1</math>의 해. 다르게 설명하면, 그래프 <math>y=\frac{1}{x}</math> 아래의 면적을 1부터 \(x\)까지 구했을 때, 그 값이 1이 되는 \(x\)값을 \(e\)라 정의한 것이다. #*여기서 <math>\frac{1}{x}</math>의 부정적분을 [[자연로그]]로 정의하기도 한다. 물론 고등학교에선 밑이 \(e\)인 로그를 자연로그로 정의하지만. #그래프 <math>y=a^x</math>의 \(x=0\)에서의 접선을 구할 때, 접선의 기울기가 1이 되는 \(a\) 값. #<math>\sum_{n=0}^{\infty}\frac{1}{n!}</math>. [[테일러 급수]]를 사용한 정의이다. 물론, 저 급수가 수렴한다는 사실을 보여야 한다. == 값 == 자연상수의 값을 소수점 아래 1000자리 까지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2.71828182845904523536028747135266249775724709369995957496696762772407663035354759457 1382178525166427427466391932003059921817413596629043572900334295260595630738132328627 9434907632338298807531952510190115738341879307021540891499348841675092447614606680822 6480016847741185374234544243710753907774499206955170276183860626133138458300075204493 3826560297606737113200709328709127443747047230696977209310141692836819025515108657463 77211125238978442505695369677078544996996794686445490598793163688923009879312773617821 54249992295763514822082698951936680331825288693984964651058209392398294887933203625094 431173012381970684161403970198376793206832823764648042953118023287825098194558153017567 17361332069811250996181881593041690351598888519345807273866738589422879228499892086805 825749279610484198444363463244968487560233624827041978623209002160990235304369941849146 314093431738143640546253152096183690888707016768396424378140592714563549061303107208510 3837505101157477041718986106873969655212671546889570350354... 더 자세한 수치를 보고싶은 사람은 [http://www.gutenberg.org/files/127/127.txt 여기로]. 100만 자리까지 기록되어있다. == 성질 == 일부 성질은 정의와 겹친다. #<math>\frac{\mathrm{d}}{\mathrm{dx}}e^x=e^x</math> #<math>\int_1^e\frac{1}{x}\mathrm{dx}=1</math> #[[초월수]] #*\(e\)의 발견은 [[원주율]]보다 한참 늦었지만, \(e\)가 초월수임은 원주율이 초월수라는 것보다 늦게 증명되었다. #모든 양수 \(x\)에 대해, <math>\left(1+\frac{1}{x}\right)^x< e<\left(1+\frac{1}{x}\right)^{x+1}</math> #*첫 번째 부등식은 <math>\lim_{n\to\infty}\left(1+\frac{1}{n}\right)^n</math>가 수렴함을 증명하는 과정에서 유도된다. #모든 [[실수]] \(x\)에 대해, <math>e^x\geq x+1</math> #*미분을 이용하자. #<math>e^x=\sum_{n=0}^{\infty}\frac{x^n}{n!}</math> #<math>e^{ix}=\cos x+i\sin x</math> #*[[오일러의 공식]]이라 부르는 그것. 여기에 <math>x=\pi</math>를 넣으면 그 유명한 <math>e^{i\pi}+1=0</math>이 나온다. #<math>\left(\cos x+i\sin x\right)^n=e^{inx}=\cos{nx}+i\sin{nx}</math> #*[[드 므아부르 정리]] {{각주}}'
편집 전후의 차이 (edit_diff)
'@@ -1 +1,53 @@ +{{학술}} +<big>e</big> +== 개요 == +자연상수란, [[수학]]에서 [[원주율]]과 함께 자주 쓰이는 상수 중 하나이다. 영어로는 natural constant...는 아니고, Euler's number<ref>사실 Euler's number가 가리키는 상수는 한 개가 아니다. 물론, 자연상수가 가장 대표적이다.</ref>나 Napier's constant라 부른다. Euler는 당연히 [[레온하르트 오일러]]를 말하고, Napier는 [[로그 (수학)|로그]]를 발명한 존 네이피어의 이름. 값은 약 2.71828이며, 고등학교에서 미적분을 배울 때 같이 배울 것이다. + +처음 배울 때는 누구나 저 숫자가 어째서 '''자연'''상수인지에 대해 의문을 품을 것이다. 수치상으로는 굉장히 부자연스럽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수치상의 얘기고, 실제 수학에서는 굉장히 깔끔한 결과를 도출한다. 물론, 정의를 그렇게 한 것이기 때문에 깔끔한 경우도 있지만... 어째서 깔끔한지는 아래 정의와 성질 문단을 참조. + +== 정의 == +고교과정에서는 하나의 정의만 배우지만, 사실 정의는 하기 나름이라 굉장히 많은 정의가 존재한다. 아래는 그 일부. +#<math>\lim_{n\to\infty}\left(1+\frac{1}{n}\right)^n=\lim_{x\to0}\left(1+x\right)^{\frac{1}{x}}</math> +#*가장 많이 알고있을 정의. 학교에서는 이 정의를 사용하지만, 이 정의에는 굉장히 큰 문제가 하나 존재한다. '''저 값이 수렴하는지 어떻게 알아?''' 학교에서는 수렴함이 알려져 있다고만 하고 그냥 아무렇지 않게 쓰지만, 저 값이 수렴한다는 사실은 엄연히 증명히 필요한 명제이다. 증명을 고등학교에서 가르치지 않는 이유는 [[단조 수렴 정리]]가 쓰이기 때문. 증명은 [[단조 수렴 정리]] 항목 참조. +#*두 극한값이 같다는 사실은 <math>\frac{1}{n}=x</math>로 치환하면 유도가... 반만 된다. \(n\)이 [[무한대]]로 접근함에 따라 \(x\)는 '''오른쪽'''에서 0으로 접근하기 때문. \(x\)가 음수일 경우에는 따로 증명을 해 줘야한다. 물론, 학교에서는 그냥 그러려니 하고 사용한다. +#[[방정식]] <math>\int_1^x\frac{1}{t}\mathrm{dt}=1</math>의 해. 다르게 설명하면, 그래프 <math>y=\frac{1}{x}</math> 아래의 면적을 1부터 \(x\)까지 구했을 때, 그 값이 1이 되는 \(x\)값을 \(e\)라 정의한 것이다. +#*여기서 <math>\frac{1}{x}</math>의 부정적분을 [[자연로그]]로 정의하기도 한다. 물론 고등학교에선 밑이 \(e\)인 로그를 자연로그로 정의하지만. +#그래프 <math>y=a^x</math>의 \(x=0\)에서의 접선을 구할 때, 접선의 기울기가 1이 되는 \(a\) 값. +#<math>\sum_{n=0}^{\infty}\frac{1}{n!}</math>. [[테일러 급수]]를 사용한 정의이다. 물론, 저 급수가 수렴한다는 사실을 보여야 한다. + +== 값 == +자연상수의 값을 소수점 아래 1000자리 까지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 +2.71828182845904523536028747135266249775724709369995957496696762772407663035354759457 +1382178525166427427466391932003059921817413596629043572900334295260595630738132328627 +9434907632338298807531952510190115738341879307021540891499348841675092447614606680822 +6480016847741185374234544243710753907774499206955170276183860626133138458300075204493 +3826560297606737113200709328709127443747047230696977209310141692836819025515108657463 +77211125238978442505695369677078544996996794686445490598793163688923009879312773617821 +54249992295763514822082698951936680331825288693984964651058209392398294887933203625094 +431173012381970684161403970198376793206832823764648042953118023287825098194558153017567 +17361332069811250996181881593041690351598888519345807273866738589422879228499892086805 +825749279610484198444363463244968487560233624827041978623209002160990235304369941849146 +314093431738143640546253152096183690888707016768396424378140592714563549061303107208510 +3837505101157477041718986106873969655212671546889570350354... + +더 자세한 수치를 보고싶은 사람은 [http://www.gutenberg.org/files/127/127.txt 여기로]. 100만 자리까지 기록되어있다. + +== 성질 == +일부 성질은 정의와 겹친다. +#<math>\frac{\mathrm{d}}{\mathrm{dx}}e^x=e^x</math> +#<math>\int_1^e\frac{1}{x}\mathrm{dx}=1</math> +#[[초월수]] +#*\(e\)의 발견은 [[원주율]]보다 한참 늦었지만, \(e\)가 초월수임은 원주율이 초월수라는 것보다 늦게 증명되었다. +#모든 양수 \(x\)에 대해, <math>\left(1+\frac{1}{x}\right)^x< e<\left(1+\frac{1}{x}\right)^{x+1}</math> +#*첫 번째 부등식은 <math>\lim_{n\to\infty}\left(1+\frac{1}{n}\right)^n</math>가 수렴함을 증명하는 과정에서 유도된다. +#모든 [[실수]] \(x\)에 대해, <math>e^x\geq x+1</math> +#*미분을 이용하자. +#<math>e^x=\sum_{n=0}^{\infty}\frac{x^n}{n!}</math> +#<math>e^{ix}=\cos x+i\sin x</math> +#*[[오일러의 공식]]이라 부르는 그것. 여기에 <math>x=\pi</math>를 넣으면 그 유명한 <math>e^{i\pi}+1=0</math>이 나온다. +#<math>\left(\cos x+i\sin x\right)^n=e^{inx}=\cos{nx}+i\sin{nx}</math> +#*[[드 므아부르 정리]] + +{{각주}} '
새 문서 크기 (new_size)
5163
편집 중 추가된 줄 (added_lines)
[ 0 => '{{학술}}', 1 => '<big>e</big>', 2 => '== 개요 ==', 3 => '자연상수란, [[수학]]에서 [[원주율]]과 함께 자주 쓰이는 상수 중 하나이다. 영어로는 natural constant...는 아니고, Euler's number<ref>사실 Euler's number가 가리키는 상수는 한 개가 아니다. 물론, 자연상수가 가장 대표적이다.</ref>나 Napier's constant라 부른다. Euler는 당연히 [[레온하르트 오일러]]를 말하고, Napier는 [[로그 (수학)|로그]]를 발명한 존 네이피어의 이름. 값은 약 2.71828이며, 고등학교에서 미적분을 배울 때 같이 배울 것이다.', 4 => false, 5 => '처음 배울 때는 누구나 저 숫자가 어째서 '''자연'''상수인지에 대해 의문을 품을 것이다. 수치상으로는 굉장히 부자연스럽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수치상의 얘기고, 실제 수학에서는 굉장히 깔끔한 결과를 도출한다. 물론, 정의를 그렇게 한 것이기 때문에 깔끔한 경우도 있지만... 어째서 깔끔한지는 아래 정의와 성질 문단을 참조.', 6 => false, 7 => '== 정의 ==', 8 => '고교과정에서는 하나의 정의만 배우지만, 사실 정의는 하기 나름이라 굉장히 많은 정의가 존재한다. 아래는 그 일부.', 9 => '#<math>\lim_{n\to\infty}\left(1+\frac{1}{n}\right)^n=\lim_{x\to0}\left(1+x\right)^{\frac{1}{x}}</math>', 10 => '#*가장 많이 알고있을 정의. 학교에서는 이 정의를 사용하지만, 이 정의에는 굉장히 큰 문제가 하나 존재한다. '''저 값이 수렴하는지 어떻게 알아?''' 학교에서는 수렴함이 알려져 있다고만 하고 그냥 아무렇지 않게 쓰지만, 저 값이 수렴한다는 사실은 엄연히 증명히 필요한 명제이다. 증명을 고등학교에서 가르치지 않는 이유는 [[단조 수렴 정리]]가 쓰이기 때문. 증명은 [[단조 수렴 정리]] 항목 참조.', 11 => '#*두 극한값이 같다는 사실은 <math>\frac{1}{n}=x</math>로 치환하면 유도가... 반만 된다. \(n\)이 [[무한대]]로 접근함에 따라 \(x\)는 '''오른쪽'''에서 0으로 접근하기 때문. \(x\)가 음수일 경우에는 따로 증명을 해 줘야한다. 물론, 학교에서는 그냥 그러려니 하고 사용한다.', 12 => '#[[방정식]] <math>\int_1^x\frac{1}{t}\mathrm{dt}=1</math>의 해. 다르게 설명하면, 그래프 <math>y=\frac{1}{x}</math> 아래의 면적을 1부터 \(x\)까지 구했을 때, 그 값이 1이 되는 \(x\)값을 \(e\)라 정의한 것이다.', 13 => '#*여기서 <math>\frac{1}{x}</math>의 부정적분을 [[자연로그]]로 정의하기도 한다. 물론 고등학교에선 밑이 \(e\)인 로그를 자연로그로 정의하지만.', 14 => '#그래프 <math>y=a^x</math>의 \(x=0\)에서의 접선을 구할 때, 접선의 기울기가 1이 되는 \(a\) 값.', 15 => '#<math>\sum_{n=0}^{\infty}\frac{1}{n!}</math>. [[테일러 급수]]를 사용한 정의이다. 물론, 저 급수가 수렴한다는 사실을 보여야 한다.', 16 => false, 17 => '== 값 ==', 18 => '자연상수의 값을 소수점 아래 1000자리 까지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19 => false, 20 => '2.71828182845904523536028747135266249775724709369995957496696762772407663035354759457', 21 => '1382178525166427427466391932003059921817413596629043572900334295260595630738132328627', 22 => '9434907632338298807531952510190115738341879307021540891499348841675092447614606680822', 23 => '6480016847741185374234544243710753907774499206955170276183860626133138458300075204493', 24 => '3826560297606737113200709328709127443747047230696977209310141692836819025515108657463', 25 => '77211125238978442505695369677078544996996794686445490598793163688923009879312773617821', 26 => '54249992295763514822082698951936680331825288693984964651058209392398294887933203625094', 27 => '431173012381970684161403970198376793206832823764648042953118023287825098194558153017567', 28 => '17361332069811250996181881593041690351598888519345807273866738589422879228499892086805', 29 => '825749279610484198444363463244968487560233624827041978623209002160990235304369941849146', 30 => '314093431738143640546253152096183690888707016768396424378140592714563549061303107208510', 31 => '3837505101157477041718986106873969655212671546889570350354...', 32 => false, 33 => '더 자세한 수치를 보고싶은 사람은 [http://www.gutenberg.org/files/127/127.txt 여기로]. 100만 자리까지 기록되어있다.', 34 => false, 35 => '== 성질 ==', 36 => '일부 성질은 정의와 겹친다.', 37 => '#<math>\frac{\mathrm{d}}{\mathrm{dx}}e^x=e^x</math>', 38 => '#<math>\int_1^e\frac{1}{x}\mathrm{dx}=1</math>', 39 => '#[[초월수]]', 40 => '#*\(e\)의 발견은 [[원주율]]보다 한참 늦었지만, \(e\)가 초월수임은 원주율이 초월수라는 것보다 늦게 증명되었다.', 41 => '#모든 양수 \(x\)에 대해, <math>\left(1+\frac{1}{x}\right)^x< e<\left(1+\frac{1}{x}\right)^{x+1}</math>', 42 => '#*첫 번째 부등식은 <math>\lim_{n\to\infty}\left(1+\frac{1}{n}\right)^n</math>가 수렴함을 증명하는 과정에서 유도된다.', 43 => '#모든 [[실수]] \(x\)에 대해, <math>e^x\geq x+1</math>', 44 => '#*미분을 이용하자.', 45 => '#<math>e^x=\sum_{n=0}^{\infty}\frac{x^n}{n!}</math>', 46 => '#<math>e^{ix}=\cos x+i\sin x</math>', 47 => '#*[[오일러의 공식]]이라 부르는 그것. 여기에 <math>x=\pi</math>를 넣으면 그 유명한 <math>e^{i\pi}+1=0</math>이 나온다.', 48 => '#<math>\left(\cos x+i\sin x\right)^n=e^{inx}=\cos{nx}+i\sin{nx}</math>', 49 => '#*[[드 므아부르 정리]]', 50 => false, 51 => '{{각주}}' ]
편집이 토르 끝 노드를 통해 바뀌었는 지의 여부 (tor_exit_node)
0
바뀐 시점의 유닉스 시간 기록 (timestamp)
1448846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