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수귀문도

지수귀문도(地數龜文圖)는 마방진의 변형된 형태인 마법진의 하나로, 벌집 모양으로 배열된 숫자들이 1부터 1개씩 커지면서 각 육각형의 여섯 꼭짓점의 숫자의 합이 모두 일치하는 형태를 말한다.

유래[편집 | 원본 편집]

지수귀문도는 최석정의 구수략(九數略)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구수략에서는 칸이 9개, 꼭짓점이 30개인 다음과 같은 지수귀문도가 나온다.

Magic Honeycome1.png

지수귀문도는 육각형의 꼭짓점의 합을 계산할 때 모두 합해서 한 번만 합하는 꼭짓점, 두 번 합하는 꼭짓점, 그리고 세 번 합하는 꼭짓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지수귀문도의 육각형의 원소의 합은 다르게 나올 수 있다.

지수귀문도 풀이법[편집 | 원본 편집]

지수귀문도를 가장 쉽게 푸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게 지수귀문도의 배열을 만족한다는 것은 파란색 꼭짓점의 경우 육각형이 왼쪽 아래 혹은 오른쪽 아래로 내려갈 때 각각 +1씩/+4씩 커지고, 노란색 꼭짓점의 경우 육각형이 왼쪽 아래/오른쪽 아래로 내려갈 때마다 각각 -1씩/-4씩 작아지는 것으로 쉽게 보일 수 있다. 참고로 이 경우는 육각형의 꼭짓점의 원소의 합이 위와는 다르게 나오는 것을 참조하자. 육각형이 단지 아래의 배열일 뿐만 아니라 정사각 배열일 때 모두 풀 수 있다. 또한 시작점을 아래 그림의 맨 위쪽 노란색 점으로 하거나 꼭짓점 채우는 규칙을 위/아래/위/아래 형식으로 변형하는 방법으로도 다른 지수귀문도 배열을 만들 수 있다.

Magic Honeycome2.png

  1. 우선 맨 위의 꼭짓점을 하나의 색깔로 칠한 뒤(파란색) 인접한 꼭짓점의 색은 다른 색깔(노란색)로 칠한다. 위의 그림처럼 인접한 꼭짓점은 서로 다른 색깔로 칠해질 것이다.
  2. 그 다음 맨 위의 꼭짓점에 숫자 1을 쓴다.
  3. 위의 그림처럼 왼쪽 아래의 육각형의 꼭짓점에는 2를 쓴다. 2는 왼쪽 아래 육각형의 맨 위 꼭짓점과 동일하다.
  4. 위의 그림처럼 2의 왼쪽 아래에 3, 3의 왼쪽 아래에 4를 쓴다.
  5. 이제 1과 같은 육각형의 오른쪽 아래에 5를 쓴다.
  6. 3~4번과 마찬가지로 왼쪽 아래로 내려가면서 6~8을 채운다.
  7. 마찬가지로 9~12, 13~15까지 채울 수 있다.
  8. 이제는 맨 아래에 노란색 꼭짓점에 16을 적는다.
  9. 1↙2와는 반대로 노란색 꼭짓점에서 ↗방향으로 올라가면서 17, 18, 19를 채운다.
  10. 16에서 왼쪽 위 방향의 노란색 꼭짓점에 20을 채운 뒤 (9)번처럼 ↗방향으로 21,22,23을 채운다. 마찬가지로 20의 왼쪽 위 방향의 노란색 꼭짓점 24를 채운 뒤 마찬가지로 25~27, 28을 채운 뒤 마찬가지로 29 30을 채울 수 있다.

참조[편집 | 원본 편집]

각주

이 문서 내용의 일부는 마방진 문서의 624245판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