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
문화재 정보
종목 국보 제303호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구성 3,243책
위치 서울 관악구 관악로 1103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지정일 1999년 4월 9일
2001년 (세계기록유산)
소유 국유
관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소개[편집 | 원본 편집]

승정원일기는 어마어마한 분량을 자랑하는 역사서다.

조선시대 국왕의 비서 기관인 승정원에서 왕명의 출납, 각종 행정 사무 등에 관해 기록한 일기이다. 편년체로 기록되었으며, 1개월분의 일기를 1책으로 만들었는데 분량이 많은 경우에는 2책으로 나누어 장정하기도 했다.(1년에 못해도 12권 이상이 나온다는 얘기) 처음 만들기는 조선 초기 세종대왕 시기부터 작성되었으나 조선전기의 일기는 임진왜란, 이괄의 난 등을 거치면서 소실되었고, 현존하는 것은 1623년(인조 원년) 3월부터 1910년(융희 4년) 8월(딱 경술국치일까지이다)까지 288년간의 일기만 전해지고 있다.(이것도 엄청난거다) 조선후기에도 궁궐 화재로 인해 내용이 소실된 경우들이 있었는데, 그때마다 <조보(朝報)>, <춘방일기(春坊日記)>, <일성록> 등을 참고하여 보완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방대한 기록의 가치를 인정받아 조선왕조실록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분량[편집 | 원본 편집]

그 개사기스러운 양[1]이 특히 압권이다. 서력 1623년부터 서력 1910년까지 288년간의 역사가 그대로 전해진다. 게다가 이건 번역도 다 안 됐다. 거기다가 다 번역하는 데 무려 백 년이 걸린다고 한다.(더 걸릴지도 모른다)

참고로 지금 남은 승정원일기는 원래 양의 절반이다.[2] 나머지 절반은 임진왜란 와중에 불타버렸다. 그런데도 저만큼이나 남았으니 입이 딱 벌어질 수밖에 없다. 이런 기록덕후

이래서 이 승정원일기 하나만으로도 한문역사학 전공자들을 여럿 먹여 살린다는 얘기가 나올 정도.

꼼꼼함[편집 | 원본 편집]

위 동영상에서 봐도 알 수 있듯이 하루하루의 날씨 상태까지 기록되어 있다. 가히 놀라울 수준이다. 조선왕조실록도 꽤나 꼼꼼한 기록물에 속하지만 이 승정원일기 역시 꼼꼼함이라면 오히려 둘째가라 할 정도이다. 오히려 조선왕조실록은 왕과 조정 중심으로 돌아가는 내용들이라면 승정원일기는 승정원에서 처리한 공문서들까지 포함되기 때문에 내용상으로도 훨씬 더 많은 내용을 담을 수밖에 없다.

번역의 어려움[편집 | 원본 편집]

  1. 미칠듯이 많은 분량 : 말 그대로 일기이기 때문에 조선왕조 오백년 기간동안 하루도 거르지 않고 씌어진 문서라는 점이다. 절반이 임진왜란으로 불타지 않았으면 그야말로 경악할 수준의 분량이 나왔을 듯. 그렇다고 문서가 불타버린게 잘 된 일이라는 의미는 절대 아니다.
  2. 말 그대로 어려운 해독 문제 : 매일같이 공문을 처리하고 나온 것에 대한 정리를 해야 하다보니 글씨를 또박또박 알아보게 써 놓은 경우가 거의 없다. 대부분의 글씨체는 초서인데 거짓말 하나 안보태고 그냥 막 휘갈겨 놓은 수준의 글씨들이 대다수이다. 이거 때문에 한문에 정통하면서도 서예도 일정 수준 이상으로 하는 사람이 해독에 필요한데 이런 사람 자체가 지금 대한민국에 매우 드물다.

바깥 고리[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글자 수만 2억 5000만자, 무려 3200권에 달한다.
  2. 인조 이전의 승정원일기 기록은 이괄의 난과 임진왜란 때문에 불타버리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