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클러

  • sprinkler

물을 고루 분사하는 살수장치. 농업, 소방 등에서 사용한다. 스프링러라고 잘못 쓰는 경우가 많다. 스프링러이다.

소방 시설[편집 | 원본 편집]

헤드

소방 시설의 스프링클러는 헤드, 배관, 가압장치로 분류된다. 일반적인 상식과 달리 스프링클러는 항상 수압이 걸려있으며, 화재발생시 즉시 물이 분사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1879년 습식 스프링클러가 개발된것이 시초이다[1].

스프링클러의 생명은 "얼마나 화재 감지가 빠르냐"이지만 오작동시 소화수로 인해 침수 피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일상 생활에 지장이 없으면서 화재를 최대한 빨리 감지해내 화재 시작 ~ 분사 시작까지의 시간을 줄이는 것이 관건이다. 분사 시작까지 2~3분이 걸리는 데 이쯤 되면 안에 사람이 있었다면 유독 가스에 질식하고도 남을 시간이다. 스프링클러가 있더라도 별도의 화재감지기를 장착할 것을 권장한다.

구조[편집 | 원본 편집]

  • 습식 스프링클러
    일반적인 스프링클러 시스템으로, 폐쇄형 헤드를 사용하며 수원부터 말단 헤드까지 물이 꽉들어차 있다.
  • 건식 스프링클러
    습식 스프링클러에서 중간 벨브를 하나 추가하여 수원~중간 벨브(1차)까지는 물을 가압해두고, 중간 벨브~헤드(2차)까지는 공기를 가압해둔다. 화재로 헤드가 개방되면 공기압이 풀리면서 중간 벨브가 개방되는 구조다.
  •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
    건식 스프링클러에서 화재감지기를 추가하여 헤드 오작동(이상고온으로 인한 개방 등)으로 소방수가 분사되는 것을 막는 방식이다. 여기서 2차 계통에 물을 채우고 부압(대기압보다 낮음)을 걸면 부압식 스프링클러가 되며, 건식의 단점(분사 지연)을 메꿀 수 있다.
  • 일제분사식 스프링클러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에서 공기 가압을 생략하고 헤드를 개방형 헤드로 바꾼 방식. 화재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하면 펌프가 소방수를 밀어올려 연결된 모든 헤드에서 동시에 소방수를 분사한다.

구성[편집 | 원본 편집]

  • 헤드
    폐쇄형 헤드는 강한 수압을 견디면서 화재 발생시 즉시 개방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춰야 한다. 일반적으로 뇌관 부위에 납을 땜하여 납이 녹으면 개방되도록 하는 구조이며, 복잡한 구조를 특수 액체가 담긴 유리 앰플로 대체하는 추세이다. 개방 온도는 납의 녹는점에 따라 70~72ºC이며, 앰플 형태도 유사한 범위를 가진다. 설치 환경에 따라 개방 온도를 높이거나 낮춘다.
  • 가압장치
    상수도 직결형, 가압장치형, 가압수조형 등이 있으며 헤드가 터지면 즉시 물을 분사할 수 있는 성능이 되어야 한다. 수조가 별도로 있는 시스템은 수조 내 소화수 고갈시 스프링클러가 작동을 멈추기 때문에, 외부(주로 소방 펌프차량)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건물 외부에 입수구를 설치한다.
  • 유수검지장치
    폐쇄형 헤드를 사용하는 구조에서 헤드가 개방되면 물이 흐르게 되고, 이는 화재의 증거이므로 물이 흐르는 것을 검지하여 화재경보를 전달하는 장치. 보통 근처에 차단 벨브(화재 진화후 차단)도 같이 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