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동수 (1887년)

류동수 (1887년).jpg

柳東洙. 자는 노승(魯昇 또는 魯升). 대한민국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생애[편집 | 원본 편집]

1887년 12월 11일 경상도 안동대도호부 임하현 마령동(현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마령리)에서 아버지 유연교(柳淵敎)와 어머니 의성 김씨 김병주(金秉周)의 딸 사이의 1남 1녀 중 외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1919년 3월 15일 편항시장에서 류연성으로부터 전국에서 3.1 운동이 전개되고 있으니 우리도 이 틈을 타 독립만세를 부르고 관청을 파괴하면 반드시 조국이 독립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이에 흔쾌히 찬성하였다.

이후 류연성·류교희·박재식·이강욱(李康郁)등 7명의 동지와 함께 편항시장의 공동 타작장에 모여 장날인 21일을 거사일로 정하고, 그 진행방법으로써 만일 일본 경찰이 제지하면 편항주재소를 파괴하기로 결의하였다. 그리고 각각 인근 지역의 주민들에게 독립만세운동의 취지를 설명하고 동참케 하기로 하고 자신은 마령동 지역을 담당하였다.

3월 21일 오후 2시경, 500여명의 군중이 편항시장에 모이자, 그는 선두에 서서 독립만세를 선창하며 시위운동을 지휘하였다. 이때 주재소에서 2명의 일본경찰이 출동하여 유연성을 강제로 체포해가자 계획대로 편항주재소로 달려가 그곳에서 유연성의 석방을 요구하며 독립만세시위를 벌였다. 그러나 일본경찰이 위협사격을 가하자 동시에 군중들의 분노도 폭발하여 유동수 등의 지휘아래 투석과 몽둥이로 주재소와 순사의 숙사를 파괴하고 공문서를 파기하였다.

이어 여세를 몰아 임동면사무소까지 행진하여 건물을 파괴하고 문서와 비품을 파기하는 등 격렬한 독립만세시위를 전개한 그는 당국의 추적을 피해 영양군에 잠입한 뒤 이강욱(李康郁)·홍명성(洪明聖) 등과 함께 영양군 입암면 대천동에 거주하는 이원오(李元五)의 집에 모여 비밀회합을 갖고, 3월 25일 영양읍 장날을 이용하여 독립만세운동을 주동하기로 결의했다. 그러나 일제 헌병분견소가 이 사실을 미리 탐지하는 바람에 체포되었다. 하지만 시위는 예정대로 전개되어 천여 명에 달하는 군중이 영양읍내에서 독립만세를 고창했다.

이후 재판에 회부된 유동수는 1919년 5월 31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소요, 건조물 손괴, 가택침입, 상해,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6년을 선고받았다.[1]이에 불복해 공소했으나 8월 18일 대구복심법원에서 기각되었다.[2] 이에 불복해 상고하면서, 상고취의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본인은 가정이 곤란하여 낮엔 나무하고 밤에 자고 했다. 우연찮게 안동군 길안면 탁복상을 만났는데, 그 육촌 동생이 작년 12월 파형 로마 모자 제조를 배우고 이익금이 다대함에 유동수도 동 제조를 배우는 것이 좋겠다고 극력 권유한 것에 대해 저쪽으로 간 것은 즉 음력 2월 4일이고, 동인 집에 머문 것은 10여 일 동안으로 해서 제법을 마치고 집에 돌아오는 것으로 정했는데, 청송군 파천면 어천동 박만규를 만나 동인과도 모자제조를 상담했는데, 전습을 희망하는 자가 몇명 있다고 하여 함께 피동 용굉호 집에 6일 동안 체류하여 전습을 마치고 또 파천면 신기동 이성락 집에 간 것은 음력 2월 21일이다.


본인은 만세를 불렀는지 아닌지 또 주재소를 파괴했는지 아닌지 전혀 모른다. 이성락 집에서 묵고 5일 집으로 돌아온 것이고 한편 요란이 일어난 말도 이달 처음으로 들었는데, 한 몸을 분리할 수는 없다. 하물며 만세를 부르고 주재소를 타파했다는 말은 어찌 합당하겠는가. 1심이 불명하고 2심이 미상한데 체포관청의 서류에 따라 행하고 본인의 사실은 살피지 않은 것이다. 어찌 원통하지 않겠는가. 곤장으로 때리고 사람을 거의 사경에 이르게 하고, 만세를 부르고 주재소를 타파했다는 말은 전혀 알지 못하는 바이고, 수형 6년은 원통하지 않지만 명료한 고등법원장은 사실 가부를 명료하고 빠르게 특별히 내리기를 천만 엎드려 바란다.

그러나 1919년 10월 16일 고등법원에서 기각되면서 옥고를 치렀다.[3] 출옥 후 안동에서 조용히 지내다 1978년 2월 25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82년 류동수에게 건국포장을 추서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외부 링크[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