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조선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법인 정보
<!-- '개연성 없이' 북한과 관련된 드립을 치면 문서의 전체 내용이 왜곡되어 비추어 질 수 있습니다 -->
|법인이름 = TV CHOSUN (조선방송)
{{회사 정보
|원어이름 = TV Chosun (Chosun Broadcasting)
|이름= TV조선 (조선방송)
|로고     = [[파일:TV Chosun Logo (English).svg|200px]]
|영문= TV Chosun (Chosun Broadcasting)
|그림    =  
|로고= TV Chosun logo (hangul).svg
|그림설명 =  
|크기= 200px
|법인종류 = [[주식회사]]
|형태= 주식회사
|주식코드 =  
|창립= 2011년 12월 (개국)
|분야    = 유료방송 채널 사업자
|창립자= [[조선일보]]
|창립자  = [[조선일보]]
|이전 회사=  
|창립일  = [[2011년#12월|2011년 12월]] (개국)
|이후 회사=
|해산일  =  
|해체=  
|이전회사 =  
|시장 정보=  
|이후회사 =  
|상장일=  
|본사    =  
|국가=
|지사수  =  
|장소=  
|인물    =  
|사업 지역= {{국기|대한민국}}
|자본금   = 310,000,000,000원<ref name="fss_dart">[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150409001943 금감원 감사보고서] 참조, [[2014년]]말 일반기업회계기준</ref>
|인물=  
|매출액   =  
|산업= 유료방송 채널 사업자
|영업이익 = -12,192,893,659원<ref name="fss_dart"/>
|서비스= 방송프로그램 제작
|순이익   = -6,766,746,236원<ref name="fss_dart"/>
|대표 제품=  
|자산총액 = 243,642,921,333원<ref name="fss_dart"/>
|자본금= 310,000,000,000원<ref name="fss_dart">[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150409001943 금감원 경영공시] 참조, 2014년말 일반재무제표 기준</ref>
|주주     = [[조선일보]]
|매출액=  
|모회사  = [[조선일보]]
|영업 이익= -13,799,309,967원<ref name="fss_dart"/>
|자회사   =  
|순이익= -12,192,893,659원<ref name="fss_dart"/>
|종업원   =  
|자산 총액= 243,642,921,333원<ref name="fss_dart"/>
|웹사이트 = http://tv.chosun.com/
|주주= [[조선일보]]
|비고    =
|모기업= [[조선일보]]
|자회사=  
|종업원=  
|웹사이트= http://tv.chosun.com/
}}
}}


37번째 줄: 40번째 줄:
모회사인 [[조선일보]] 만큼이나 보수적인 논조를 가진 방송사이며 이 때문에 중도좌파에서 좌파까지의 스팩트럼을 가진 사람은 이 방송사에 대해 가진 반감이 매우 크다. <s>방송사고가 일어나거나 실언을 내뱉었다면 좀 많이 까인다</s>
모회사인 [[조선일보]] 만큼이나 보수적인 논조를 가진 방송사이며 이 때문에 중도좌파에서 좌파까지의 스팩트럼을 가진 사람은 이 방송사에 대해 가진 반감이 매우 크다. <s>방송사고가 일어나거나 실언을 내뱉었다면 좀 많이 까인다</s>


그 특유의 보수적 정파성 때문인지 뉴스 진행 중 반공주의적 발언이 종종 나오며 타 종편에 비해 북한뉴스가 많아서 반대진영에서 조롱을 당하기도 한다. 다만, 다르게 보자면 북한 관련 소식이 많이 나오니 그 쪽에 관심이 있다면 나쁘지만은 않다. 물론 종종 확인되지 않은 [[카더라]]를 진짜인양 보도하는 경우도 많으니 좀 가려서 볼 필요는 있다.
그 특유의 보수적 정파성 때문인지 뉴스 진행 중 반공주의적 발언이 종종 나오며 타 종편에 비해 북한뉴스가 많아서 반대진영에서 조롱을 당하기도 한다.
 
[[2015년]] [[6월 1일]] 시장경제 전문채널 [http://businesstv.chosun.com/ 비즈니스&]이 영 신통치 않았던지 예능채널 [http://www.tvctime.com/ C'TIME]으로 장르를 전환해서 재개국하였다. 이는 [[JTBC]]의 QTV보다는 늦고 [[채널A]]의 채널A 플러스 보다는 빠른 편.
 
== 논란 ==
종편 방송들 중 유달리 논란이 심각한 편이기도 하다. 이는 채널 자체가 정치색이 너무 확연하기 때문. 마찬가지로 정치색이 심한 미국의 FOX채널이 종종 놀림거리가 되는 것과 같은 이치라 할 수 있다.
 
[[파일:형광등 100개를 켜 놓은 듯한 아우라.jpg|섬네일]]
첫 개국일 진행한 뉴스부터 보수 취향 채널답게 [[박근혜]] 당시 [[한나라당]] 대표를 모셔가지고는 '''[[형광등]] 100개를 켜놓은 듯한 아우라'''라는 자막으로 예능도 아닌 뉴스에서 대놓고 특정 출연자를 과도한 표현까지 써가며 찬양하는 모습을 보여 시청자들의 불쾌감을 샀고 결국 [[무한도전]]을 필두로 한 다른 방송국/프로그램/뉴스들로부터 신나게 패러디 당하는 영광(?)을 누렸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18&aid=0002530832 관련기사] 참고로 당시 TV조선은 이 사건을 빗대어 '일개 예체능 하나가 뉴스보다 더 공신력이 있다'라고 평가될 정도로 미친듯이 까였다. 심지어 이 '형광등 100개' 표현은 4년이나 지난 [[2015년]]에도 여전히 뉴스 기사에 인용되는 등 미친 생명력을 과시하고 있다(...).
 
한편 [[2015년]] <엄성섭 윤슬기의 이슈격파>라는 프로그램에서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의 발언을 녹취해 새정치민주연합에 건넨 한국일보 기자에 대해 논하다가 엄성섭 앵커가 "이게 기자입니까? 쓰레기지."라는 발언을 하여 물의를 빚었다. 결국 TV조선은 이 발언으로 방송심의위원회로부터 '권고' 조치를 받았고 다음날  사과 방송을 내보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6&aid=0000074148 관련기사]


== 주요 프로그램 ==
== 주요 프로그램 ==
56번째 줄: 49번째 줄:
** 고봉실 아줌마 구하기 - 개국작
** 고봉실 아줌마 구하기 - 개국작
* 보도 프로그램
* 보도 프로그램
** [[TV조선 뉴스9]] - 아침뉴스
** [[TV조선 뉴스7]] - 아침뉴스, 이 프로그램과 2015년 6월 1일부터 "뉴스9" 사이에 정보 프로그램 "광화문의 아침"이 편성된다.
** 엄성섭, 정혜전의 뉴스를 쏘다 - [[2015년]] [[6월 1일]] 신설
** [[TV조선 뉴스9]] - 아침뉴스 {{ㅊ|아침뉴스가 두 번 보도전문채널인가?}}
** 정치부장 이하원의 시사Q -[[2015년]] [[6월 1일]] 신설
** 엄성섭, 정혜진의 뉴스를 쏘다 - 2015년 6월 1일 신설
** 정치부장 이하원의 시사Q -2015년 6월 1일 신설
** 네트워크뉴스 3488 오늘!
** 뉴스 특급 730 - 2015년 6월 1일 신설, 보도자료에서는 "Today 뉴스 브리핑"이라는 제목이었으나 방송이 시작하면서 이름이 바뀌었다.
** [[TV조선 뉴스쇼 판]]/[[TV조선 스포츠 판]]
** [[TV조선 뉴스쇼 판]]/[[TV조선 스포츠 판]]
** [[TV조선 주말뉴스]]
** [[TV조선 주말뉴스]]
** {{ㅊ|뉴스특보}}
** {{ㅊ|뉴스특보}}
* 교양 프로그램
* 교양 프로그램
** 생방송 광화문의 아침 - [[2015년]] [[6월 8일]] 신설, [[TV조선 뉴스7|앞 시간대 프로그램]]이 [[모닝와이드 1, 2부]]같은 역할의 아침뉴스라면 이 프로그램은 [[모닝와이드|모닝와이드 3부]]처럼 연예계 가십이나 생활정보를 소개해 주는 교양프로그램이다. 그러나 직후 시간대 [[TV조선 뉴스9]]은 폐지하지 않아 TV조선을 잘 보지 않는 사람은 <s>의식의 흐름대로</s> 뉴스프로그램이라고 판단해버린다
** 생방송 광화문의 아침 - 2015년 6월 8일 신설, [[TV조선 뉴스7|앞 시간대 프로그램]]이 [[모닝와이드 1, 2부]]같은 역할의 아침뉴스라면 이 프로그램은 [[모닝와이드|모닝와이드 3부]]처럼 연예계 가십이나 생활정보를 소개해 주는 교양프로그램이다. 그러나 직후 시간대 [[TV조선 뉴스9]]은 폐지하지 않아 TV조선을 잘 보지 않는 사람은 <s>의식의 흐름대로</s> 뉴스프로그램이라고 판단해버린다
** 김광일의 신통방통(新通放通) - 신문을 주제로 한 뉴스쇼
** 김광일의 신통방통(新通放通) - 신문을 주제로 한 뉴스쇼
** [[장성민의 시사탱크]]
** [[장성민의 시사탱크]]
** 이슈해결사 박. 대 장. - [[2015년]] [[6월 1일]] 신설
** 이슈해결사 박. 대 장. - 2015년 6월 1일 신설
** 이봉규의 정치옥타곤
** 이봉규의 정치옥타곤
** [[시사토크 판|최.박의 시사토크 판]] - '뉴스쇼 판'의 2부 편성
** [[시사토크 판|최.박의 시사토크 판]] - '뉴스쇼 판'의 2부 편성
** 엄마의 봄날 - [[2015년]] [[6월 6일]] 신설
** 엄마의 봄날 - 2015년 6월 6일 신설
** 인물탐구 정진홍이 끝까지 간다 - [[2015년]] [[6월 11일]] 신설
** 인물탐구 정진홍이 끝까지 간다 - 2015년 6월 11일 신설
** 변정수의 기적의 밥상 - 2015년 6월 20일 신설
** 열린비평 TV를 말하다 - 옴부즈맨 프로그램
** 열린비평 TV를 말하다 - 옴부즈맨 프로그램
* 예능 프로그램
* 예능 프로그램
** 살림9단의 만물상
** 살림9단의 만물상
77번째 줄: 76번째 줄:
** 대찬인생
** 대찬인생
** 강적들 - [[썰전]]처럼 정치/문화 이슈를 논평하는 토크쇼, 하지만 썰전과 달리 분야별로 코너를 독립하지는 않았다. 출연자 중에 [[JTBC|경쟁사]] [[썰전]]의 고정패널인 [[강용석]] 변호사와 [[채널A|또 다른]] [[MBN|경쟁사]]에서 이적한 [[박종진]] 전 기자 같은 특이한 경력을 가진사람이 있다.
** 강적들 - [[썰전]]처럼 정치/문화 이슈를 논평하는 토크쇼, 하지만 썰전과 달리 분야별로 코너를 독립하지는 않았다. 출연자 중에 [[JTBC|경쟁사]] [[썰전]]의 고정패널인 [[강용석]] 변호사와 [[채널A|또 다른]] [[MBN|경쟁사]]에서 이적한 [[박종진]] 전 기자 같은 특이한 경력을 가진사람이 있다.
** 솔깃한 연예토크 호박씨 - [[2015년]] [[6월 2일]] 신설, [[김구라]]의 첫 TV조선 출연작
** 솔깃한 연예토크 호박씨 - 2015년 6월 2일 신설, [[김구라]]의 첫 TV조선 출연작
** 정보끝판왕 황금마차 - [[2015년]] [[6월 28일]] 신설
** 재밌는 세상구경 오중주 - 2015년 6월 25일 신설
** [[내일은 미스트롯]] - [[송가인]]을 발굴하면서 일약 트로트붐을 이끈 경연예능
** 정보끝판왕 황금마차 - 2015년 6월 28일 신설
** [[내일은 미스터트롯]] - 미스트롯의 열기를 살려서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면서 화재를 모은 프로그램
** 백년식당 - 2015년 6월 7일 신설, 예능인들이 오랜 전통을 가진 식당에서 취업한다는 컨셉으로 진행되는 체험예능
** [[내일은 미스트롯2]]
** [[내일은 국민가수]]
** [[내일은 미스터트롯2]]


* 폐지 프로그램
* 폐지 프로그램
** {{ㅊ|[[TV조선 뉴스7]] - 아침뉴스}}
** {{ㅊ|[[데스크 360°]] }} - 2015년 6월 1일 폐지된 뉴스, "엄성섭, 정혜진의 뉴스를 쏘다"로 교체
** {{ㅊ|네트워크뉴스 3488 오늘!}}
** {{ㅊ|TV조선 뉴스5감}} - 2015년 5월 18일 폐지된 뉴스, "엄성섭, 윤슬기의 이슈격파"로 교체
** {{ㅊ|뉴스 특급 730}} - [[2015년]] [[6월 1일]] 신설, 보도자료에서는 "Today 뉴스 브리핑"이라는 제목이었으나 방송이 시작하면서 이름이 바뀌었다.
** {{ㅊ|엄성섭, 윤슬기의 이슈격파}} - 2015년 6월 1일 폐지된 뉴스, "정치부장 이하원의 시사Q"로 교체
** {{ㅊ|재밌는 세상구경 오중주}} - [[2015년]] [[6월 25일]] 신설, [[2015년]] [[7월 4일]] 폐지
** {{ㅊ|[[돌아온 저격수다]]}} - 2015년 6월 1일 폐지된 교양, 시간대가 아예 사라지고 "뉴스를 쏘다"와 "시사Q"로 교체
** {{ㅊ|변정수의 기적의 밥상}} - [[2015년]] [[6월 20일]] 신설, [[2015년]] [[7월 4일]] 폐지
** {{ㅊ|황금펀치}} - 2015년 6월 1일 폐지된 교양, "이슈해결사 박. 대 장."으로 교체
** {{ㅊ|백년식당}} - [[2015년]] [[6월 7일]] 신설, [[2015년]] [[7월 4일]] 폐지. 예능인들이 오랜 전통을 가진 식당에서 취업한다는 컨셉으로 진행되는 체험예능
** {{ㅊ|[[데스크 360°]] }} - [[2015년]] [[6월 1일]] 폐지된 뉴스, "엄성섭, 정혜진의 뉴스를 쏘다"로 교체
** {{ㅊ|TV조선 뉴스5감}} - [[2015년]] [[5월 18일]] 폐지된 뉴스, "엄성섭, 윤슬기의 이슈격파"로 교체
** {{ㅊ|엄성섭, 윤슬기의 이슈격파}} - [[2015년]] [[6월 1일]] 폐지된 뉴스, "정치부장 이하원의 시사Q"로 교체
** {{ㅊ|[[돌아온 저격수다]]}} - [[2015년]] [[6월 1일]] 폐지된 교양, 시간대가 아예 사라지고 "뉴스를 쏘다"와 "시사Q"로 교체
** {{ㅊ|황금펀치}} - [[2015년]] [[6월 1일]] 폐지된 교양, "이슈해결사 박. 대 장."으로 교체


=== 편성 성향 ===
=== 편성 성향 ===
{{ㅊ|종합편성채널인데 뉴스의 비중이 많다고 생각되면 기분 탓이다}}
{{ㅊ|종합편성채널인데 뉴스의 비중이 많다고 생각되면 기분 탓이다}} <s>진짜 종합편성채널이 아니라 보도전문채널인가...?</s>


원래 뉴스 프로그램으로 방송 편성표를 도배하기 시작한건 개국 당시부터 이런 편성을 했던 [[MBN]]이나 언제부턴가 욕은 죄다 TV조선이 먹고 있다.
원래 뉴스 프로그램으로 방송 편성표를 도배하기 시작한건 개국 당시부터 이런 편성을 했던 [[MBN]]이나 언제부턴가 욕은 죄다 TV조선이 먹고 있다.
105번째 줄: 95번째 줄:
TV조선도 이런 문제점을 인지하고 있는지 [[2015년]] [[6월 1일]] MBC PD 출신으로 개국당시부터 장기간 [[tvN]]의 편성을 담당했던 송창의 편성본부장을 영입한 이후 [http://v.media.daum.net/v/20150601030454341 프로그램 대 개편]을 단행하였다. 예능 위주로 TV조선의 "보도채널化" 이미지를 벗기 위한 개편으로 보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편후의 보도프로그램도 전체 비중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은 편
TV조선도 이런 문제점을 인지하고 있는지 [[2015년]] [[6월 1일]] MBC PD 출신으로 개국당시부터 장기간 [[tvN]]의 편성을 담당했던 송창의 편성본부장을 영입한 이후 [http://v.media.daum.net/v/20150601030454341 프로그램 대 개편]을 단행하였다. 예능 위주로 TV조선의 "보도채널化" 이미지를 벗기 위한 개편으로 보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편후의 보도프로그램도 전체 비중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은 편


{{각주}}
{{한국의 방송}}
{{한국의 방송}}
[[분류:종합편성채널]]
[[분류:케이블 방송]] [[분류:종합편성채널]]
[[분류:TV조선| ]]
[[분류:2011년 설립]]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